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1) 어린이집의 시설설비 현황조사
2) 어린이집의 운영현황조사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1. 조사대상
1) 대상의 선정방법
2) 대상의 특성
2. 조사도구
1) 관찰지
2) 질문지
3. 조사방법 및 절차
1)시설·설비관찰
2) 질문지조사
4. 자료처리 및 분석
Ⅳ. 결과 및 해석
1. 시설·설비의 현황
1) 위치와 면적
2) 건물의 사용형태
3) 실내공간의 시설·설비
4) 실외공간의 시설설비
2. 어린이집의 운영현황
1) 운영단체
2) 운영시간
3) 아동연령과 학급구성
4) 재정
5) 종사자의 인적구성과 배경
6) 장애아에 대한 복지적 접근
7) 교사·보육사의 근무조건
8) 교사·보육사의 학급연령 구성에 대한 의견
9) 교사·보육사의 재교육
10) 교사·보육사의 어린이집과 정부에 대한 요구
Ⅴ. 논의 및 결론
1. 논의
1) 건물의 최상층
2) 활동실의 방향 및 채광실태
3) 활동실의 면적
4) 활동실의 설비
5) 화장실
6) 안전시설
7) 운영시간
8) 수탁아동 최저연령
9) 교사·보육사 대 아동 수의 비율
10) 재정
11) 어린이집 종사자 구성과 자질
12) 교사·보육사의 근문조건
13) 교사·보육사의 재교육
14) 교사·보육사의 바라는 사항
2. 결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1) 어린이집의 시설설비 현황조사
2) 어린이집의 운영현황조사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1. 조사대상
1) 대상의 선정방법
2) 대상의 특성
2. 조사도구
1) 관찰지
2) 질문지
3. 조사방법 및 절차
1)시설·설비관찰
2) 질문지조사
4. 자료처리 및 분석
Ⅳ. 결과 및 해석
1. 시설·설비의 현황
1) 위치와 면적
2) 건물의 사용형태
3) 실내공간의 시설·설비
4) 실외공간의 시설설비
2. 어린이집의 운영현황
1) 운영단체
2) 운영시간
3) 아동연령과 학급구성
4) 재정
5) 종사자의 인적구성과 배경
6) 장애아에 대한 복지적 접근
7) 교사·보육사의 근무조건
8) 교사·보육사의 학급연령 구성에 대한 의견
9) 교사·보육사의 재교육
10) 교사·보육사의 어린이집과 정부에 대한 요구
Ⅴ. 논의 및 결론
1. 논의
1) 건물의 최상층
2) 활동실의 방향 및 채광실태
3) 활동실의 면적
4) 활동실의 설비
5) 화장실
6) 안전시설
7) 운영시간
8) 수탁아동 최저연령
9) 교사·보육사 대 아동 수의 비율
10) 재정
11) 어린이집 종사자 구성과 자질
12) 교사·보육사의 근문조건
13) 교사·보육사의 재교육
14) 교사·보육사의 바라는 사항
2. 결론
본문내용
기대하기 어려울 정도의 큰 차이로, 현행보육료가 현실적이고 합당한 수준으로 인상되지 않는다면, 어린이집의 바람직한 보육실제를 전혀 기대할 수 없는 실정이다.
아홉째, 어린이집 종사자 중 교사(보육사)는 거의 모두 유치원교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어서, 교사와 보육사로 구별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현행제도는, 역할과 자격이 같은 사람을 다른 명칭으로 부르는 불리한 점을 가지고 있었다.
어린이집의 교사(보육사)는 거의 모두 전문대 이상의 학력에 유치원교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었다. 현재 어린이집에서는 교사와 보육사를 구별하여 배치하고 있는데, 실제로 이들의 여할이 다르지 않으며, 자격과 학력면에서도 차이가 나지 않는 모순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와같이 교사·보육사의 역할과 자격이 구별되어지지 않는 이유는 아동을 보육할 때 보호와 교육이 따로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교사·보육사의 명칭이 통일되고, 둘 다 동등한 자격을 요구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열번째, 현재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사(보육사)는 장시간의 근무시간과 저임금의 어려운 근무조건 속에서 일하고 있었다.
어린이집 교사(보육사)는 하루 평균 9시간 이상 근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10시간 이상 근무하는 경우도 절반 이상이 되었고, 월보수는 경력에 상관없이 거의 모두 20∼30만원을 받고 있었다. 이는 국민학교 초임교사의 월급(약 60만원)에 비해 형편없이 낮은 것이며, 법정 1일 노동시간 8시간을 초과하는 근무시간을 고려할 때, 어린이집 교사(보육사)가 대단히 열악한 근무조건속에서 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사(보육사)의 역할의 중요성에 비추어볼 때 이러한 열악한 근무조건은 개선되어야 한다.
열한번째, 현 어린이집 교사·보육사는 거의 모두 재교육을 요구하고 있었다.
어린이집 교사·보육사는 거의 모두 재교육 받기를 원하고 있었으며, 재교육의 내용은 '아동 및 놀이 지도에 관한 실기', '영·유아 발달에 대한 내용'등을 원하고 있었다.
어린이집 교사·보육사는 거의 모든 유치원교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어, 아동보육에 기본적 소양을 갖추고 있으나, 어린이집은 유치원과 달리 하루 온종일 어린 영아를 돌보게 되므로 새로이 알아야 할 지식이 많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어린이집 교사(보육사)의 재교육에 대한 고려가 시급히 요청된다.
열두번째, 어린이집 교사·보육사는 어린이집에 대해 보수의 인상과 교육자료 및 시설·설비확충을 가장 바라고 있었으며, 정부에 대해서는 어린이집에 대해서는 어린이집에 대한 재정적 지원과 체계적인 지휘·감독을 바라고 있었다.
어린이집 교사·보육사는 어린이집에 대해 보수의 인상, 종사자 후생복지 마련, 근무시간 단축 등의 근무조건 개선을 가장 바라고 있었고, 정부에 대해서는 재정적 지원의 확대를 가장 바라고 있었다. 이러한 교사·보육사의 요구는 현재 걸음마 단계인 어린이집이 발전해 나아가는데 있어서 반드시 수렴되어져야 할 중요한 요구이다.
[부록]
단위:명성별\통계치N%남성20.5여성40799.5합계409100.0
단위:명연령\통계치N%20-2420750.725-2915237.230-34338.135-3971.740세이상102.3합계409100.0,
단위:명학력\통계치N%고등학교졸업307.3전문대학졸업33381.44년제대학졸업348.3대학원 졸업41.0기타82.0합계409100.0,
단위:명전공\통계치N%유아교육34183.4아동학174.2아동복지1.2사회복지51.2교육학2.5기타51.3무응답389.3합 계409100.0
%(N)경력\구분탁아경력유치원경력6개월~1년미만55(225)13.7(56)1년~2년미만6.4(26)18.6(76)2년~3년미만2.4(10)13.4(55)3년~4년미만1.0(4)10.3(42)4년~5년미만.5(2)6.6(27)5년 이상1.0(4)22.7(93)무응답33.7(138)14.7(60)합 계100.0(409)100.0(409)
참 고 문 헌
경제기획원(1989).경제활동 인구 연보.
박숙자(1988).한국여성정책 수립방안을 위한 기초 연구.
박혜정, 강혜원, 장명림(1987).유아교육기관 평가준거 개발 연구. 연구보고86-48,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변홍주, 박혜정,윤점용(1983).유아교육 정책의 진단과 발전 방향 세미나 보고.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보건사회부(1990).탁아사업 업무처리 지침.
보건사회부 가정복지국(1989).아동복지법 시행령 중 개정령안(미간행).
이경우(1989). 가정, 교육, 탁아의 본질 - 아동의 권리 : 가정, 교육, 탁아. 한국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회,한국아동학회 공동 학술심포지움.
이기숙(1985).한국유아교육기관의 시설·설비기준에 관한 연구Ⅱ- 시설·설비모형의 작용 및 실외환경(미간행).
이기숙(1987).유아교육과정. 서울 : 교문사.
이기숙,이은화, 이은해,이영자, 이경우(1984).한국 유아교육기관의 시설·설비에 관한 연구(미간행).
사회과학연구소(1989). 유아보육 및 탁아사업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 성균관 대학교.
이상금, 이정환, 이은화, 이경우, 이기숙(1988).영아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시설·설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인간발달연구소,인간발달연구보고 16.
이성진,김지영, 황영자,전숙희, 이기우(1990a).한국의 탁아 사업시행에 관한 기초연구. 행동과학연구, 제23권 제1호, 서울 : 한국행동과학연구소.
이성진 외 7인(1990b).전국탁아수요 및 부모의 요구조사연구,행동과학연구, 제23권 제3호, 서울 : 한국행동과학연구소.
이영(1990). 탁아와 유아발달. 탁아와 유아교육 세미나, 덕성여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최혜식(1990). 지장 탁아현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미간행).
한국여성개발원(1986).가정탁아제 정착을 위한 시범사업. 사업보고서 300 - 1.
Killmer, S.(1977). Infant-toddler group day care : A review of research,current top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vol. Ⅱ).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아홉째, 어린이집 종사자 중 교사(보육사)는 거의 모두 유치원교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어서, 교사와 보육사로 구별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현행제도는, 역할과 자격이 같은 사람을 다른 명칭으로 부르는 불리한 점을 가지고 있었다.
어린이집의 교사(보육사)는 거의 모두 전문대 이상의 학력에 유치원교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었다. 현재 어린이집에서는 교사와 보육사를 구별하여 배치하고 있는데, 실제로 이들의 여할이 다르지 않으며, 자격과 학력면에서도 차이가 나지 않는 모순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와같이 교사·보육사의 역할과 자격이 구별되어지지 않는 이유는 아동을 보육할 때 보호와 교육이 따로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교사·보육사의 명칭이 통일되고, 둘 다 동등한 자격을 요구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열번째, 현재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사(보육사)는 장시간의 근무시간과 저임금의 어려운 근무조건 속에서 일하고 있었다.
어린이집 교사(보육사)는 하루 평균 9시간 이상 근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10시간 이상 근무하는 경우도 절반 이상이 되었고, 월보수는 경력에 상관없이 거의 모두 20∼30만원을 받고 있었다. 이는 국민학교 초임교사의 월급(약 60만원)에 비해 형편없이 낮은 것이며, 법정 1일 노동시간 8시간을 초과하는 근무시간을 고려할 때, 어린이집 교사(보육사)가 대단히 열악한 근무조건속에서 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사(보육사)의 역할의 중요성에 비추어볼 때 이러한 열악한 근무조건은 개선되어야 한다.
열한번째, 현 어린이집 교사·보육사는 거의 모두 재교육을 요구하고 있었다.
어린이집 교사·보육사는 거의 모두 재교육 받기를 원하고 있었으며, 재교육의 내용은 '아동 및 놀이 지도에 관한 실기', '영·유아 발달에 대한 내용'등을 원하고 있었다.
어린이집 교사·보육사는 거의 모든 유치원교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어, 아동보육에 기본적 소양을 갖추고 있으나, 어린이집은 유치원과 달리 하루 온종일 어린 영아를 돌보게 되므로 새로이 알아야 할 지식이 많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어린이집 교사(보육사)의 재교육에 대한 고려가 시급히 요청된다.
열두번째, 어린이집 교사·보육사는 어린이집에 대해 보수의 인상과 교육자료 및 시설·설비확충을 가장 바라고 있었으며, 정부에 대해서는 어린이집에 대해서는 어린이집에 대한 재정적 지원과 체계적인 지휘·감독을 바라고 있었다.
어린이집 교사·보육사는 어린이집에 대해 보수의 인상, 종사자 후생복지 마련, 근무시간 단축 등의 근무조건 개선을 가장 바라고 있었고, 정부에 대해서는 재정적 지원의 확대를 가장 바라고 있었다. 이러한 교사·보육사의 요구는 현재 걸음마 단계인 어린이집이 발전해 나아가는데 있어서 반드시 수렴되어져야 할 중요한 요구이다.
[부록]
단위:명성별\통계치N%남성20.5여성40799.5합계409100.0
단위:명연령\통계치N%20-2420750.725-2915237.230-34338.135-3971.740세이상102.3합계409100.0,
단위:명학력\통계치N%고등학교졸업307.3전문대학졸업33381.44년제대학졸업348.3대학원 졸업41.0기타82.0합계409100.0,
단위:명전공\통계치N%유아교육34183.4아동학174.2아동복지1.2사회복지51.2교육학2.5기타51.3무응답389.3합 계409100.0
%(N)경력\구분탁아경력유치원경력6개월~1년미만55(225)13.7(56)1년~2년미만6.4(26)18.6(76)2년~3년미만2.4(10)13.4(55)3년~4년미만1.0(4)10.3(42)4년~5년미만.5(2)6.6(27)5년 이상1.0(4)22.7(93)무응답33.7(138)14.7(60)합 계100.0(409)100.0(409)
참 고 문 헌
경제기획원(1989).경제활동 인구 연보.
박숙자(1988).한국여성정책 수립방안을 위한 기초 연구.
박혜정, 강혜원, 장명림(1987).유아교육기관 평가준거 개발 연구. 연구보고86-48,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변홍주, 박혜정,윤점용(1983).유아교육 정책의 진단과 발전 방향 세미나 보고.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보건사회부(1990).탁아사업 업무처리 지침.
보건사회부 가정복지국(1989).아동복지법 시행령 중 개정령안(미간행).
이경우(1989). 가정, 교육, 탁아의 본질 - 아동의 권리 : 가정, 교육, 탁아. 한국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회,한국아동학회 공동 학술심포지움.
이기숙(1985).한국유아교육기관의 시설·설비기준에 관한 연구Ⅱ- 시설·설비모형의 작용 및 실외환경(미간행).
이기숙(1987).유아교육과정. 서울 : 교문사.
이기숙,이은화, 이은해,이영자, 이경우(1984).한국 유아교육기관의 시설·설비에 관한 연구(미간행).
사회과학연구소(1989). 유아보육 및 탁아사업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 성균관 대학교.
이상금, 이정환, 이은화, 이경우, 이기숙(1988).영아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시설·설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인간발달연구소,인간발달연구보고 16.
이성진,김지영, 황영자,전숙희, 이기우(1990a).한국의 탁아 사업시행에 관한 기초연구. 행동과학연구, 제23권 제1호, 서울 : 한국행동과학연구소.
이성진 외 7인(1990b).전국탁아수요 및 부모의 요구조사연구,행동과학연구, 제23권 제3호, 서울 : 한국행동과학연구소.
이영(1990). 탁아와 유아발달. 탁아와 유아교육 세미나, 덕성여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최혜식(1990). 지장 탁아현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미간행).
한국여성개발원(1986).가정탁아제 정착을 위한 시범사업. 사업보고서 300 - 1.
Killmer, S.(1977). Infant-toddler group day care : A review of research,current top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vol. Ⅱ).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