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통합 교육의 효과
본론
통합교육 사례
1.곡교 어린이집
2.인천 성광 유치원
3.총신대학교 부속유치원
4.이화여자대학부속 유치원
사례 분석
결론
통합교육의 장 단점
통합 교육의 효과
본론
통합교육 사례
1.곡교 어린이집
2.인천 성광 유치원
3.총신대학교 부속유치원
4.이화여자대학부속 유치원
사례 분석
결론
통합교육의 장 단점
본문내용
유아로 인한 차별이나 편견을 버릴 수 있다.
- 올바른 자기 개념의 형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통합교육의 단점>
- 체계적인 개별화 지도가 곤란하다.
- 일반 유아의 어느 정도의 희생이 필요하다.
- 특별한 치료와 검사를 받을 기회가 부족해진다.
- 집중적인 특수 지원이 곤란하다.
- 주의 집중이 곤란할 수 있다.
- 가족의 고뇌와 경제적인 부담이 증가한다.
- 일반 교사의 적응과 대상을 위한 재교육이 필요하다.
- 부정적인 자기 개념이 생길 수 있다.
- 일반 사회의 시설, 설비의 확충 또는 개선을 위한 경비의 증가가 필요 하다
○ 장애유아의 측면에서
- 일반유아 또래 친구들과의 교류를 통하여 나이에 걸맞은 일상생활 적응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을 신장한다.
- 정상적인 발달을 보이는 또래들과의 통합을 통해 보다 바람직한 생활태도를 형성한다.
- 친구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사회성이 발달 촉진된다.
- 또래 친구와 어울리면서 자신이 그 집단에 소속되어 있다는 정서적인 안정을 찾게 된다.
- 원에서의 통합교육을 통하여 사회생활에서의 보다 자연스럽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 일반유아와 서로 도우며 협력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 독립심과 자아를 발달 시킨다.
○ 일반유아의 측면에서
- 인성발달 및 도덕심을 기른다. 예를 들면, 부모와 형제 그리고 다른 사람에 대해서도 많은 이해를 할 수 있는 마음을 기른다.
- 자기중심적이기보다는 타인 중심적인 사고를 형성하며, 타인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능력을 기른다.
- 일종의 사회적 책임감을 학습하므로 폭넓은 인생관과 세계관을 형성한다.
- 다양한 개성들이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공존하는 것을 자연스럽게 생각할 수 있는 기초능력을 기르며, 한 사회의 구성원의 이질성의 인정과 수용, 그리고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의 기초를 형성한다.
- 장애인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편견을 줄이고 보다 더 긍정적인 태도로 행동의 변화를 가져온다.
- 원에서나 사회에서 장애유아와 통합을 할 경우 자연스럽게 그들을 사회의 구성원으로 받아 드리며, 인생의 파트너로 여길 수 있는 태도를 기른다.
- 자신의 생에 대해 보다 긍정적이고 자율적인 자아형성을 도모한다. 통합교육이 비 장애 학생에게 미친 부정적인 영향은 없었으며 오히려 교과과정과 교육방법에 대한 신중한 배려로 인하여 발달 면에서 혜택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Bailey & Wolery, 1992).
출처: 네이버 지식인
- 올바른 자기 개념의 형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통합교육의 단점>
- 체계적인 개별화 지도가 곤란하다.
- 일반 유아의 어느 정도의 희생이 필요하다.
- 특별한 치료와 검사를 받을 기회가 부족해진다.
- 집중적인 특수 지원이 곤란하다.
- 주의 집중이 곤란할 수 있다.
- 가족의 고뇌와 경제적인 부담이 증가한다.
- 일반 교사의 적응과 대상을 위한 재교육이 필요하다.
- 부정적인 자기 개념이 생길 수 있다.
- 일반 사회의 시설, 설비의 확충 또는 개선을 위한 경비의 증가가 필요 하다
○ 장애유아의 측면에서
- 일반유아 또래 친구들과의 교류를 통하여 나이에 걸맞은 일상생활 적응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을 신장한다.
- 정상적인 발달을 보이는 또래들과의 통합을 통해 보다 바람직한 생활태도를 형성한다.
- 친구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사회성이 발달 촉진된다.
- 또래 친구와 어울리면서 자신이 그 집단에 소속되어 있다는 정서적인 안정을 찾게 된다.
- 원에서의 통합교육을 통하여 사회생활에서의 보다 자연스럽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 일반유아와 서로 도우며 협력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 독립심과 자아를 발달 시킨다.
○ 일반유아의 측면에서
- 인성발달 및 도덕심을 기른다. 예를 들면, 부모와 형제 그리고 다른 사람에 대해서도 많은 이해를 할 수 있는 마음을 기른다.
- 자기중심적이기보다는 타인 중심적인 사고를 형성하며, 타인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능력을 기른다.
- 일종의 사회적 책임감을 학습하므로 폭넓은 인생관과 세계관을 형성한다.
- 다양한 개성들이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공존하는 것을 자연스럽게 생각할 수 있는 기초능력을 기르며, 한 사회의 구성원의 이질성의 인정과 수용, 그리고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의 기초를 형성한다.
- 장애인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편견을 줄이고 보다 더 긍정적인 태도로 행동의 변화를 가져온다.
- 원에서나 사회에서 장애유아와 통합을 할 경우 자연스럽게 그들을 사회의 구성원으로 받아 드리며, 인생의 파트너로 여길 수 있는 태도를 기른다.
- 자신의 생에 대해 보다 긍정적이고 자율적인 자아형성을 도모한다. 통합교육이 비 장애 학생에게 미친 부정적인 영향은 없었으며 오히려 교과과정과 교육방법에 대한 신중한 배려로 인하여 발달 면에서 혜택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Bailey & Wolery, 1992).
출처: 네이버 지식인
추천자료
특수아동의 조기특수교육의 중요성
특수아동 교육의 '평등한 기회'의 의미
특수&#8729;장애아의 통합교육과 의미변화단계
장애아동 통합교육의 방법과 원리, 필요성, 운영실태, 통합교육 개선을 위한 방안, 고려사항 ...
특수아동의 유형과 교육지도
[부모학/특수아동교육A+] 장애아가정의 자녀교육에 관한 논의와 부모의 역할 논의
[놀이활동][놀이][학습부진아동][자폐아동][정신지체아동][특수교육아동]학습부진아동 놀이활...
[아동복지론] 장애 및 장애아동의 개념, 장애아동발생의 원인, 장애에 대한 정의 및 유형, 통...
통합교육이 장애아동과 비장애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 통합교육
특수아동지도 내용 중 개별화 교육에 대한 이론 및 실제 (개별화교육의 의미, 수립&#8729...
특수아동의 부모교육 및 전환교육 - Chater. 17 부모교육 & Chapter. 18 전환교육
특수아동을 교육하는 교사는 어떠해야 하는가?
[특수아동이해] 특수교육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논하시오 [특수교육]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방안을 증진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