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노인관련프로그램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애인,노인관련프로그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나 최근에는 웹 기반의 가상 학습 환경이 제공됨으로써 이러한 일 방향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원격 교육을 실시할 수 있게 되었다. 그 한 예로 한국교육개발원(2000)은 정부의 지정에 따라 평생교육센터를 설립하고 평생교육 종합정보시스템 구축에 대한 계획을 표명하여 현재 사업을 진행 중에 있다. 따라서 가족생활교육의 측면에서의 노인교육 역시 이러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을 on-line상에서 교육하거나 홍보하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Ⅳ. 결론
지금까지 성공적 노화 및 평생교육의 측면에서 개발되어진 노인교육 프로그램들의 현황을 살펴본 결과 노인 교육 프로그램들은 노년기 생활에 대비한 종합적 성격을 띄고 있는 것이 많았으며 앞으로의 과제를 전망해 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앞으로 특정한 주제를 심도 있게 다루는 교육들도 많이 개발되어야 필요가 있으며, 둘째 프로그램의 지속적 실행을 위해 교육의 장을 확보하여야 하며, 셋째 여가를 이용한 교육 방법의 모색 및 on-line 사회에 대비하여 구축된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방안이나 e-learning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도 시급한 과제이다.
앞으로 노인 인구가 급증하여 전체 사회의 인구구조에 큰 변화가 예상되는 바 노인 교육에 대한 관심과 수요 역시 증대될 것이므로 이에 대한 다각적 노력이 요청된다고 하겠다.
미국의 경우 지역마다 노인 교육 센터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는데 일례로 1998년에 설립된 아이오와 노인 교육 센터(Iowa Geriatric Education Center)를 들 수 있다. 이곳에서는 모두 13개의 교육이 운영되고 있으며 주요 프로그램은 노년기 적응, 노인 심리, 가족 관계, 노인 정신 병리 등에 관한 것들이다(Pringle & Maas, 2000). 또한 노인 교육에 필요한 Video를 제작하여 판매하는 등의 활동도 벌이고 있다. 이 기관은 노인들에 대한 직접적 교육을 제공한다기 보다 노인 교육자를 양성하는 것에 주된 관심을 두고 있는데 앞으로 노인 교육의 수요 증가에 대비한다는 면에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고령인구가 많은 일본의 경우도 일찍부터 평생 교육적 측면에서 노인교육을 발달시켜 왔다. 일본 노인 교육의 특징은 노인의 여가선용을 위한 교양 정도에 그치지 않고 주제가 전문적이며 세분화되어 있다는 것이다. 주제를 특성화하여 단계별로 연속적인 시행을 하고 있어 고학력 고령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교육이 여가선용의 측면에서 그치지 않도록 교육 수혜자들을 실버인재 뱅크에 등록하게 하여 학습한 내용을 사회에 환원하도록 유도하고 있다(한규량, 1998).
일찍이 에릭슨은 인간이 평생동안 발달한다는 측면에서 성인 및 노인에 이르는 발달 과제를 제시한 바 있다. 노화는 모든 사람에게 자연스럽게 발생하며 노인은 젊은이에 비해 지적능력과 운동능력이 떨어지지만 이들에게도 교육을 받고자 하는 욕구가 존재하며 새로운 것을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윤진(1983)은 학습기간과 반응기간의 길이가 충분하다면 노인층에 있어서 청년층보다 학습의 증진이 더 많이 일어나며, 학습재료가 의미 있고 동기가 충분할수록 노·소간의 차이가 줄어든다고 하였다. 결국 노년기의 교육은 이 시기의 발달 과제인 자아 통합성을 이루는데 기여하며 결과적으로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긍정적 요소가 된다.
앞으로 보다 전문적이고 세밀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와 더불어 실행의 장을 확보해 나감으로써 가족생활교육 내에서 노인 교육을 보다 전문화하며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실천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고승덕 외(1999) 노인의 죽음 준비교육이 죽음의 불안도에 미치는 요인분석 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6(2) pp 81-92.
김경신(1996) 노인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노년학연구회. 5 PP 51-70.
김미혜(1993) 노년을 위한 퇴직준비교육 모형의 개발. 한국노년학 13(2). pp 15-29.
김병묵·김욱경·정복철(1998) 평생교육의 현황와 전망에 관한 연구. 행정문제연구 5. pp117-153.
김재인·허현란(1999) 여성노인과 여가교육. 노인복지연구 '99 가을호. pp161-
김제태(1978) 노후생활과 평생교육. 서울: 한국공사
김종서(1982) 노인교육의 교육과정개발. 서울: 대한노인회.
김태현(1994) 노년학. 서울: 교문사. p2.
서혜경(1992) 죽음을 준비하는 건강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제언. 한국노년학연구. 1 pp 11-17.
성규탁·김규식(1988) 한국노인의 안녕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8. pp69-88.
안황란(1999)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죽음 준비 교육프로그램 개발. 정신간호학회지. 8(1) PP 44-68.
윤진(1983) 노년기의 심리적 특성. 「핵가족화와 노년복지」, 한국인구보건연구원.
이수명(1998) 퇴직 전 교육프로그램 구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순희(2001) 노인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결과분석. 한국노년학. 21(2) PP 65-98.
전길량·송현애·고선주·김일명(2000) 노년기 준비 교육 프로그램- 풍요로운 노후 가꾸기-. 한국노년학. 20(1) PP 69-91.
한국교육개발원(2000) 평생교육 종합정보시스템 구축과 지역평생교육정보센터의 역할. 한국교육개발원 평생교육센터 정보지원팀 자료집.
한규량(1998) 한국노인사회의 발전과 전망. 한·중·일 국제학술세미나. p81-96.
허정무(2000) 퇴직 예정자 사회적응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교육부. 교육정책연구과제 자료집.
홍기형(1984) 교원의 퇴직 후 생애설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서울특별시 교육연구원.
Rowe, J. & R, Kahn.(1997)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37(4). pp433-440.
Pringle, J. K. & M. L, Maas(2000) Geriatric Education Center. 경상대학교 노인건강연구소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pp56-66.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95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