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산유동화증권의 개념
2. 자산유동화증권의 특징
3. 자산유동화증권의 발행구조
4. 자산유동화증권발행효과
1) 발행자 측면
2) 투자자 측면
5.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의 주요내용
2. 자산유동화증권의 특징
3. 자산유동화증권의 발행구조
4. 자산유동화증권발행효과
1) 발행자 측면
2) 투자자 측면
5.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의 주요내용
본문내용
위탁받은 유동화자산과 이를 관리 운용·운용·처분함에 따라 취득하는 금전을 그의 고유재산과 구분하여 관리하는 한편 유동화자산의 관리에 관한 장부를 별도로 작성·비치하여야 합니다(제11조).
자산보유자가 유동화전문회사 등에 유동화자산을 양도하는 경우, 자산양도의 방식은 담보목적의 양도가 아닌 매매계약 등에 의한 완전매각(True Sale)에 의하도록 하고 있으며(제13조), 유동화자산의 매각과 관련한 절차의 간소화 및 비용의 최소화를 통해 자산유동화증권의 발행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채권양도의 대항요건에 관한 특례(제7조), 저당권 등의 취득에 관한 특례(제8조), 시설대여계약 등의 변경 또는 해지(제14조) 등의 규정을 마련하여 민법 또는 파산법 및 회사정리법의 관련 규정에 대한 특례를 인정하고 있습니다
자산보유자가 유동화전문회사 등에 유동화자산을 양도하는 경우, 자산양도의 방식은 담보목적의 양도가 아닌 매매계약 등에 의한 완전매각(True Sale)에 의하도록 하고 있으며(제13조), 유동화자산의 매각과 관련한 절차의 간소화 및 비용의 최소화를 통해 자산유동화증권의 발행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채권양도의 대항요건에 관한 특례(제7조), 저당권 등의 취득에 관한 특례(제8조), 시설대여계약 등의 변경 또는 해지(제14조) 등의 규정을 마련하여 민법 또는 파산법 및 회사정리법의 관련 규정에 대한 특례를 인정하고 있습니다
추천자료
자산유동화증권시장
[투자론]자산유동화증권(ABS)에 대하여 (A+리포트)
[ABS][자산유동화증권]외국의 ABS(자산유동화증권) 사례를 통해 본 ABS(자산유동화증권)의 개...
[ABS][자산유동화증권]ABS(자산유동화증권) 개념, ABS(자산유동화증권) 발달, ABS(자산유동화...
[ABS]ABS(자산유동화증권)의 대상 자산, ABS(자산유동화증권)의 발행, ABS(자산유동화증권)의...
자산유동화증권의 종류
자산담보부채권(자산유동화증권, ABS)의 의미, 성격, 자산담보부채권(자산유동화증권, ABS) ...
ABS(자산담보부채권, 자산유동화증권)의 개념, 특성, ABS(자산담보부채권, 자산유동화증권)의...
ABS(자산유동화증권, 자산담보부채권) 정의, 대상, ABS(자산유동화증권, 자산담보부채권) 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