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적가족화(KFDKinetic-Family-Drawing)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적가족화(KFDKinetic-Family-Drawing)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문제성향이 없는 청소년들이나 아동의 경우도 자신의 가족을 노출하기란 쉽지 않다. 더욱이 문제성향을 가진 아동 및 청소년들은 더욱더 자신의 가족을 노출하기를 꺼린다. 또한 치료자와의 라포형성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신을 노출하기란 쉽지 않다. 자신뿐 아니라 자신의 가족을 노출하기란 더욱더 어려운 상태에서 치료자가 가족화를 그리라고 요구한다면 분명 아동 및 청소년들은 거부할 가능성이 높다. 이런 경우 가족의 정보를 얻기 위해 내담자에 맞는 가족화를 요구할 필요성이 있다. 즉, 저항이 덜한 순서에 입각해서 가족화를 요구할 필요성이 있다.

아동에게 인물화를 그리게 할 경우에, 아동이 검사자를 모델로 하여 그리는 일이 적지 않음을 임상 전문가들을 보고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그 아동이 인물에 대한 지적으로 이해했던 것을 그리는 것으로서 아동의 정서적인 면의 투영이 상대적으로 적어진다고 볼 수 있다. 반대로 자신의 모습이나 가상의 인물, 그 자리에 없는 인물을 아동이 선택하여 묘사하는 경우에는 아동의 주관적 판단이나 정서적 경향이 포함되는 비율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인물화에는 그 아동의 지적이해와 정서적 이해의 양면이 투영되는 것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전자의 입장에서는 인물화를 지능검사로 이용한 Goodenough (1926)의 이론이 성립되고, 후자의 입장에서는 Machover (1946)가 개발한 인물화에 의한 성격검사를 들 수 있다.

아동의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려진 인물에 나타나는 정서적인면의 이해가 더 중요하다. 이 같은 이론에서 보면 인물화(DAP)가 더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아동과 가장 밀접한 환경이라고 할 수 있는 가족구성원에 대한 개인의 행동이나 반응으로서의 태도, 감정이 가족화에 나타나기 때문이다. Di Leo(1970)는 아동의 가족화는 매우 정서적이며, 아동의 감정에 의해서 강하게 채색된다고 하며, 가족에 대한 자신의 느낌을 전해 준다고 하였다. 이러한 DAF의 장점에 대해서는 많은 임상가들이 인정하고 있다.

본문내용

많음
34) TV : 안식, 오락, 사람의 의미(단수, 복수)
35) 전선 : 충격, 지배(전기와 번개), 상부의 선
36) 전등 ; 밝음, 애정, 따스함, 빛의 방향에 유의
37) 진흙, 오물, 변소, 배설물 : 부정적 감정, 충동적 표현
38) 줄넘기 ; 포위 양식, 갈등, 자기고착(그네)
39) 바늘 : 억제된 공격행동(칼), 부적응행동
40) 고양이 : 부드러움과 예리함의 양가적 감정, 침대와 고양이
41) 붓(솔) : 부친, 페인트칠은 보수, 재생
42) 뱀, 개구리 : 억압된 공격 충동, 성적 욕구, 초조감
43) 빗자루, 먼지털이 : 어머니, 지배 역할자, 공격, 거부감
44) 별 : 박탈, 비애감
45) 모자 : 수동적 태도, 자기 방어
46) 공 : 힘, 갈등
47) 물 : 바다, 강의 물은 억울 감정
48) 냉장고 : 어머니에 대한 의존욕구
4. 그림의 역동성 해석
1) 인물묘사의 순위 :
부친상은 먼저 그리고 자기를 나중에 그린다. 피험자의 가족의 위치 고찰
2) 인물상의 위치 :
① 화면 위쪽 - 리더 표시. 가족 전체의 윗쪽 표현은 피험자의 가족에 대한 불안이다.
② 화면 아래쪽 - 억울 감정이나 침체와 관계 한다 (예 : 하단, 순위제일 끝, 잠자는 모습).
③ 우측의 표현 - 외향성, 활동성 표현, 좌측은 내폐성과 관계. 예컨대, 부적응자는 자기상을
④ 우측(남자)에 , 여자는 좌측에 그리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좌측의 부친상이나 우측에 표현된 모친은 해석에 주의한다. 대개 적응자는 남녀 모두가 자기상을 우측에 그리는 경우가 많다.
⑤ 중앙부 - 인물상은 가족의 중심인물이며, 중앙주의 자기상은 자기중심성, 미성숙을 의미하기도 한다.
3) 인물상의 크기 : 가족성원의 관심도와 관계, 상대적인지, 청년기 남자, 부적응자는 자기상을 크게 그린다.
4) 인물상의 생략 또는 지우기 ; 가족성원의 동일 장면에서 두기 어려울 정도의 공격, 불안 등의 부적 감정을 지닌 인물에게 나타난다.
5) 타인의 묘사 : 친구의 묘사는 가족과의 격리, 친구와의 우정관계
6) 인물상의 방향 : 피험자의 가족관계 방향 표현, 자고 있는 모습은 다른 가족과 다른 위치, 얼굴방향이 정면이면 긍정적, 옆모습(반긍정, 반부정), 뒷면은 부정적 감정
7) 인물상간의 거리 : A와 B의 거리는 친밀성 정도, 감정의 강약을 나타냄, 모자관계의 갈등 (용지의 양끝에 그림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98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