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정구의 개요
정구의 기본기술
정구의 시설
코트의 명칭
정구의 용구
정구경기의 해설

본문내용

(game set) : 시합의 종료. 모든 게임이 끝났을 때 구령한다.
○ 기타 다음 용어를 때에 따라 구령한다.
풋폴트(foot tault), 타임(time), 네트 터치(net touth), 터치(touth), 보디 터치(body touth), 다이렉트(direct), 네트 오버(net over), 팁(tip), 투 바운드(two bound), 드리블(dirbble), 인터피어(interfere), 드루(throught), 노터치(no touth), 노타임(no time), 컬렉션(correction), 레프리 스톱 게임 세트(referee stop game set), 타임 아웃 게임 세트(time out game set), 서버(server), 또는 리시버(or receiver), 페널티 포인트(penalty point), 리시버 인터피어(receiver interfere), 서버(또는 리시버) 패널티(server or receiver penalty)의 사항
정구 시합에 있어서 심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정말로 훌륭하고 좋은 시합은 뛰어난 기술을 가진 선수, 정구를 이해하는 많은 관중, 명심판의 3박자가 갖추어 졌을 때 탄생한다고 한다. 따라서 심판의 능숙한 게임 운영 여부가 시합의 진행뿐만 아니라, 선수의 심리나 관중에 큰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정구의 심판은 누구나 할 수 있지만, 능숙한 심판은 흔하지 않는 것이다. 선수라면 경기규칙에 정통해야 기술의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모두가 훌륭한 선수임과 동시에 훌륭한 심판원이 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에 그 일반적인 주의 사항을 알아본다.
(1) 복장
① 정해진 복장이 있을 때는 반드시 착용한다.
② 정해져 있지 않더라도 선수나 관중에게 주는 인상을 고려해서 산뜻한 차림을 한다.
(2) 태도
① 공평한 마음가짐으로 심판에 임하며 엄격하고 정확한 심판으로 선수들에게 신뢰감을 준다.
② 정중하고 소상하며 친절해야 하고 경솔할 행동을 하지 않는다.
③ 시원하고 민첩한 태도를 취하고 우유 부단한 태도는 버린다.
④ 감정을 억제하고 선수나 관중의 소리에 마음을 쓰지 않는다.
⑤ 판정을 내리는데 가장 좋은 위치와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⑥ 실수했을 경우에도 그 보충은 결코 하지 않는다.
⑦ 심판 중에는 타인이나 선수와 사적인 말을 하지 않는다.
(3) 심판상의 책임
① 선수가 코트에 들어가기 전에 코트 컨디션을 조정해 둔다.
② 선수의 확인, 토스의 입회, 볼의 선택 등 필요 사항을 빠뜨리지 않는다.
③ 플레이의 판정만이 아니라 시합의 진행이나 질서를 유지하게 한다.
④ 낙하점을 확인하여 분명하고 뚜렷하게 알린다(부심은 사인).
⑤ 심판원끼리 판정이 다르거나 이의 신청이 있을 때는 협의해서 확정한다.
(4) 기 타
평소부터 준비, 연습하고 심판 기술의 습득에 노력하여 즐겁게 할 수 있게 한다.
Ⅳ. 정구의 용어
* 그라운드 스트로크(ground stroke) : 한번 바운드 된 볼의 打法
* 그립(grip) : 라켓을 잡는 방법
* 네트플레이(net play) : 네트 근처에서의 플레이
* 드라이브(drive) : 볼에 스핀을 주어 낮으 svhanftjs을 그리면서 나는 打球
* 랠리(rally) : 서로 볼을 놓치지 않고 계속해서 치는 것
* 로브(lob) : 높은 포물선을 그리며 느리게 나는 打球
* 리시브(receive) : 서브의 球. 상대의 볼을 받아 넘김.
* 모션(motion) : 경기자의 몸짓, 동작
* 발리(volley) : 볼이 땅에 떨어지기 전에 되받아치는 것(바운드 없이 직접 打球하 는 것
* 백핸드(back hand) : 잘 쓰는 쪽의 팔(보통 오른쪽)의 반대(라켓을 갖지 않은)쪽
* 사인플레이(sign play) : 두 사람이 신호(사인)하는 연결 기술
* 서비스(service) : 공을 치기 시작하는 것. 서브(serve)
* 스윙(swing) : 라켓을 휘두르는 방법. 라켓을 휘두르는 일련의 동작
* 슬라이스(slice) : 볼을 얇게 깍아 회전을 주는 것(역스핀 타법)
* 스매시(smash) : 높은 볼을 각도를 크게 하여 세게 내려 치는 것
* 스트로크(stroke) : 볼을 치는 것, 볼을 치는 방법
* 스핀(spin) : 볼의 회전, 順스핀, 스핀, 사이드 스핀이 있다
* 시어리(theory) : 테니스의 기술이나 작전의 정석, 이론.
* 올코트 플레이어(all court player) : 전위, 후위, 중진 플레이를 할 수 있는 경기자
* 임팩트(impact) : 라켓에 볼이 맞는 순간(타구의 순간)
* 커팅(cutting) : 깎아치기(볼을 세차게 깎아 회전이나 변화를 주는 타법)
* 코스(course) : 볼의 진로. 볼이 나는 방향이나
* 콘트롤(control) : 타구의 조절. 타구의 제구.
* 콤비네이션(combination) : 복식경기일 때의 동작의 일치
* 포메이션(formation) : 복식경기의 진형
* 포치(poach) : 파트너의 볼을 가로 채는 것
* 포핸드(fore hand) : 잘 쓰는 팔쪽(라켓을 잡고 있는 쪽)
* 폴로우(follow) : 타구를 따라 가는 것
* 플레이스(place) : 볼의 송구나, 반구의 장소
* 플랫(flat) : 볼에 거의 또는 전혀 회전을 주지 않는 것. 라켓의 평면으로 치는 타구
타구의 코스에 대한 경우
* 드라이브(슈튼(shoot)라고도 함) : 코트와 수평으로 네트 위로 낮게 넘어가는 강한 타구
* 로브(lob) : 높은 포물선을 그리면서 느리게 나는 타구
* 드롭(drop) : 네트 곁에 바로 떨어지는 타구
* 스매시(smash) : 높은 위치에서 빠른 속도로 급강하되게 하는 타구
타구의 바운드에 의한 경우
* 그라운드 스트로크(ground stroke) : 한번 코트에 바운드한 볼의 타법
* 발리(volley) : 바운드하지 않은 볼의 타법
가. 발리 : 드라이브에 대한 타구법
나. 스매시 : 로브에 대한 타구법
다. 서비스 : 스스로 토스(toss)한 볼의 타법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99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