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신하고 묻는 형식이다.
가) 남아 있던 떡 네가 먹었지 않니? 아무리 아니라고 해도 소용없어.
우리 수학여행 가서 재미 있었지 않니? 그게 생각이 안 나?
'-지 않니(-잖니)'에 의한 확인 질문은 외견상 장형 부정문과 흡사하지만 다르다.
우선 억양에서 확인 질문은 하강조, 장형 부정문은 상승조이며, 둘째, 과거 선어말어미가 개재될 확인
질문에서는 본동사 어간에 붙는 데 반해, 장형 부정문에서는 '아니하(않)-' 뒤에 붙는다.
또한 장형 부정문은 평서문으로도 쓸 수 있지만 확인 질문은 당연히 의문문으로만 가능하다.
나) 남아 있던 떡 네가 먹지 않았니?(↗) - 장형 부정문
남아 있던 떡 네가 먹었지 않니?(↘) - 확인 질문
다) 남아 있던 떡 네가 먹지 않았다.
*남아 있던 떡 네가 먹었지 않다.
가) 남아 있던 떡 네가 먹었지 않니? 아무리 아니라고 해도 소용없어.
우리 수학여행 가서 재미 있었지 않니? 그게 생각이 안 나?
'-지 않니(-잖니)'에 의한 확인 질문은 외견상 장형 부정문과 흡사하지만 다르다.
우선 억양에서 확인 질문은 하강조, 장형 부정문은 상승조이며, 둘째, 과거 선어말어미가 개재될 확인
질문에서는 본동사 어간에 붙는 데 반해, 장형 부정문에서는 '아니하(않)-' 뒤에 붙는다.
또한 장형 부정문은 평서문으로도 쓸 수 있지만 확인 질문은 당연히 의문문으로만 가능하다.
나) 남아 있던 떡 네가 먹지 않았니?(↗) - 장형 부정문
남아 있던 떡 네가 먹었지 않니?(↘) - 확인 질문
다) 남아 있던 떡 네가 먹지 않았다.
*남아 있던 떡 네가 먹었지 않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