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엇을 하였는지?
④ 지금까지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방해가 되는 가족 내부와 외부의 장벽은 무엇이지?
(3) 과정과 결과
여기서 사회복지 실천개입 모델에서 구체적인 단계들을 모두 설명할 수는 없지만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에 대해서 간략하게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시어머니인 순희씨가 건강이 매우 좋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집에 머물기를 완강히 원하기 때문에 아들 부부는 일시적이나마 그렇게 하기로 하였다. 그래서 사회복지사는 순희 씨를 위해 몇 가지 필요한 비품을 마련해 주었다. 그녀가 걸을 때 균형을 잡고 기댈 수 있는 보조구와 도움을 필요로 할 때 누르기만 하면 즉각 병원으로 연락이 가능한 부저를 그녀의 목에 걸어 두는 것 등이었다.
이후 순희씨는 4개월 동안 가족, 친구, 목사로부터 지원을 계속 받았고, 도시락 배달 서비스도 함께 제공되어졌다.
2. 종결단계
종결단계는 종결을 하기 전에 먼저 진전 정도와 목표달성을 평가하게 된다. 진전과 목표달성을 평가하는 것은 어떤 다른 클라이언트체계와 마찬가지로 가족체계도 중요하다. 평가의 일면은 장기목표가 충족되어 종결을 준비할 때를 결정하는 것이다. 목표는 사회복지사가 그 달성을 쉽게 측정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분명해야 될 것이다.
평가의 다른 면은 진전과정을 계속 측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사회복지사는 가족세션의 초기에 지난 모임 이후 어떤 일이 있었는가를 질문할 수 있다. 가족성원들의 권고와 계획에 따라 할 수 있었는가? 가족성원들은 과제를 완성했는가?
종결을 하기에 앞서 사회복지사는 가족성원들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할 것이다.
① 현재의 문제의 상황은 어떠한가?
② 가족은 현재의 상황을 얼마나 설명할 수 있는가? 중재의 시작 이후에 무엇이
일어났는가?
③ 중재과정에서 여러 가족성원들이 수행한 역할은 무엇인가?
④ 유사한 문제가 다시 일어난다면, 가족은 그것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
⑤ 어떤 이슈와 사건이 처음에 주요 문제를 초래하였는가? 가족성원들은 변화된
문제를 얼마나 생각하는가?
⑥ 가족성원들은 중재과정을 종결하는 것에 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⑦ 어떤 요인들이 앞으로 다시 상담의 필요성을 가지게 할 것인가?
종결에는 두 가지 차원이 있다.
첫째, 종결은 서비스 목표가 가족을 위해 달성되었을 때 이루어진다.
둘째, 종결은 계속적으로 가족을 자원에 연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종결에는 사후지도를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사후 지도의 일면은 가족의 항상성을 계속 유지하기 위한 자원의 확인이다. 자원은 가족이 중재과정을 통해 학습해야 하는 내부적인 자원과 그들이 그 과정의 결과로서 이용할 수 있는 학교, 공공기관, 건강보호 단체로부터의 지지와 같은 외부의 자원 두 가지 모두를 포함한다.
가족개입이 마지막 단계는 지금까지의 과정을 검토하고, 긍정적 변화를 지지하며 앞으로 충족되어야 할 욕구를 요약하는 것이다. 가족개입이 보통 8~112회로 진행된다면 마지막 2회 정도는 종결을 준비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이루어낸 다양한 변화를 논의하면서 그 변화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토의한다. 사회복지사는 그 변화에 대해 많은 지지를 보내주어야 하며, 예전의 행동이 쉽게 다시 나타날 수 있음을 주지시켜야 한다. (변화된 결과나 행동을 목록 표로 작성해두는 것도 Good)
3. 가족치료 사례
가족치료사는 다음의 가이드라인을 따라 가족문제를 측정해나간다.
① 가족성원이 서로 문제를 토론하도록 한다.
② 그들의 언어적, 비언어적 대화 패턴을 관찰한다.
③ 갖고의 가치관, 규범을 이야기하도록 요청한다.
④ 숨겨진 의제( hidden agenda)를 탐색한다.
⑤ 각 가족 성원에게 문제가 무엇인지 규정해보라고 하고 가족의 목표도 정해보라고 한다.
가족을 지켜보면서 사회복지사가 생각해야 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가족 내의 의사소통 유형은 무엇인가?
② 비언어적(nonverbal) 메시지와 언어적(verbal) 메시지는 일치하는가? 이중구속(double bind) 메시지가 있는가?
③ 어떤 가족 규범이 작용하고 있는가?
④ 각 가족 성원은 어떻게 가족의 문제를 규정하고 있나?
⑤ 문제를 규정하는 데 서로 차이를 보이고 있는가?
⑥ 각 가족성원의 개인 목표는 무엇인가?
⑦ 가족의 목표는 분명한가?
우리 자신의 가정을 뒤돌아보자. 편안한 자세로 눈을 감고, 복식호흡을 두 번 한 후에 다음 질문과 함께 가족에 대해 생각해보자.
* 누가 가정의 주요 리더인가?
* 누가 주요 결정을 하고 있는가?
* 리더는 독재적, 민주적, 자유 방임적 중 어느 쪽인가?
* 각 영역에 따라 리더십이 공유되고 있나?
* 일반적으로 누가 물리적인 과제의 해결사 역할을 하는가?
* 누가 정서적 과제의 해결사 역할을 하는가?
* 누가 가장 큰 권한을 갖고 있나? 그 권한의 기반은 무엇인가?
* 그 권한은 강제적인가? 적합한가? 전문적인가?
* 다음에 대한 가족규범은? 데이트, 음주, 옷 입는 법, 종교, 대학
* 누가 규범을 정하는가? 어떻게 정해지는가?
* 가족에서 당신의 역할은?
* 가족의 논쟁은 어떻게 해결되는가? 누가 지고 이기면서 끝나는가?
* 현재 주요 스트레스의 원인은 무엇인가?
* 어떤 해결방법을 사용하고 있는가? 여행, 휴식 또는 친구와 이야기하기
* 일을 미루기만 하는 사람이 있는가? 어떻게 그걸 멈출 수 있다고 생각하나?
* 당신 가족은 무엇에 대해 슬퍼하는가?
* 그 슬픔을 다루는 방법은 무엇인가?
* 가족성원들은 자기 정체감이 뚜렷한가? 낮은 자존감을 가진 성원이 있다면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가?
* 가족의 가치는 무엇인가?(종교, 대학, 담배 피우는 것 등에 대한 가족 의견)
* 가족의 의사소통이 원활한가? 누군가 애매모호한 간접 메시지를 보내는가?
* 가족성원 중에 자신의 욕구 표현을 주저하는 사람이 있는가?
* 어떻게 가족 대화를 향상시킬 수 있을까?
* 부모 체계의 역기능은 무엇인가?
* 부부 체계의 역기능은 무엇인가?
* 형제 체계의 역기능은 무엇인가? 어떻게 향상될 수 있을까?
영자씨(funny_edu)
④ 지금까지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방해가 되는 가족 내부와 외부의 장벽은 무엇이지?
(3) 과정과 결과
여기서 사회복지 실천개입 모델에서 구체적인 단계들을 모두 설명할 수는 없지만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에 대해서 간략하게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시어머니인 순희씨가 건강이 매우 좋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집에 머물기를 완강히 원하기 때문에 아들 부부는 일시적이나마 그렇게 하기로 하였다. 그래서 사회복지사는 순희 씨를 위해 몇 가지 필요한 비품을 마련해 주었다. 그녀가 걸을 때 균형을 잡고 기댈 수 있는 보조구와 도움을 필요로 할 때 누르기만 하면 즉각 병원으로 연락이 가능한 부저를 그녀의 목에 걸어 두는 것 등이었다.
이후 순희씨는 4개월 동안 가족, 친구, 목사로부터 지원을 계속 받았고, 도시락 배달 서비스도 함께 제공되어졌다.
2. 종결단계
종결단계는 종결을 하기 전에 먼저 진전 정도와 목표달성을 평가하게 된다. 진전과 목표달성을 평가하는 것은 어떤 다른 클라이언트체계와 마찬가지로 가족체계도 중요하다. 평가의 일면은 장기목표가 충족되어 종결을 준비할 때를 결정하는 것이다. 목표는 사회복지사가 그 달성을 쉽게 측정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분명해야 될 것이다.
평가의 다른 면은 진전과정을 계속 측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사회복지사는 가족세션의 초기에 지난 모임 이후 어떤 일이 있었는가를 질문할 수 있다. 가족성원들의 권고와 계획에 따라 할 수 있었는가? 가족성원들은 과제를 완성했는가?
종결을 하기에 앞서 사회복지사는 가족성원들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할 것이다.
① 현재의 문제의 상황은 어떠한가?
② 가족은 현재의 상황을 얼마나 설명할 수 있는가? 중재의 시작 이후에 무엇이
일어났는가?
③ 중재과정에서 여러 가족성원들이 수행한 역할은 무엇인가?
④ 유사한 문제가 다시 일어난다면, 가족은 그것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
⑤ 어떤 이슈와 사건이 처음에 주요 문제를 초래하였는가? 가족성원들은 변화된
문제를 얼마나 생각하는가?
⑥ 가족성원들은 중재과정을 종결하는 것에 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⑦ 어떤 요인들이 앞으로 다시 상담의 필요성을 가지게 할 것인가?
종결에는 두 가지 차원이 있다.
첫째, 종결은 서비스 목표가 가족을 위해 달성되었을 때 이루어진다.
둘째, 종결은 계속적으로 가족을 자원에 연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종결에는 사후지도를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사후 지도의 일면은 가족의 항상성을 계속 유지하기 위한 자원의 확인이다. 자원은 가족이 중재과정을 통해 학습해야 하는 내부적인 자원과 그들이 그 과정의 결과로서 이용할 수 있는 학교, 공공기관, 건강보호 단체로부터의 지지와 같은 외부의 자원 두 가지 모두를 포함한다.
가족개입이 마지막 단계는 지금까지의 과정을 검토하고, 긍정적 변화를 지지하며 앞으로 충족되어야 할 욕구를 요약하는 것이다. 가족개입이 보통 8~112회로 진행된다면 마지막 2회 정도는 종결을 준비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이루어낸 다양한 변화를 논의하면서 그 변화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토의한다. 사회복지사는 그 변화에 대해 많은 지지를 보내주어야 하며, 예전의 행동이 쉽게 다시 나타날 수 있음을 주지시켜야 한다. (변화된 결과나 행동을 목록 표로 작성해두는 것도 Good)
3. 가족치료 사례
가족치료사는 다음의 가이드라인을 따라 가족문제를 측정해나간다.
① 가족성원이 서로 문제를 토론하도록 한다.
② 그들의 언어적, 비언어적 대화 패턴을 관찰한다.
③ 갖고의 가치관, 규범을 이야기하도록 요청한다.
④ 숨겨진 의제( hidden agenda)를 탐색한다.
⑤ 각 가족 성원에게 문제가 무엇인지 규정해보라고 하고 가족의 목표도 정해보라고 한다.
가족을 지켜보면서 사회복지사가 생각해야 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가족 내의 의사소통 유형은 무엇인가?
② 비언어적(nonverbal) 메시지와 언어적(verbal) 메시지는 일치하는가? 이중구속(double bind) 메시지가 있는가?
③ 어떤 가족 규범이 작용하고 있는가?
④ 각 가족 성원은 어떻게 가족의 문제를 규정하고 있나?
⑤ 문제를 규정하는 데 서로 차이를 보이고 있는가?
⑥ 각 가족성원의 개인 목표는 무엇인가?
⑦ 가족의 목표는 분명한가?
우리 자신의 가정을 뒤돌아보자. 편안한 자세로 눈을 감고, 복식호흡을 두 번 한 후에 다음 질문과 함께 가족에 대해 생각해보자.
* 누가 가정의 주요 리더인가?
* 누가 주요 결정을 하고 있는가?
* 리더는 독재적, 민주적, 자유 방임적 중 어느 쪽인가?
* 각 영역에 따라 리더십이 공유되고 있나?
* 일반적으로 누가 물리적인 과제의 해결사 역할을 하는가?
* 누가 정서적 과제의 해결사 역할을 하는가?
* 누가 가장 큰 권한을 갖고 있나? 그 권한의 기반은 무엇인가?
* 그 권한은 강제적인가? 적합한가? 전문적인가?
* 다음에 대한 가족규범은? 데이트, 음주, 옷 입는 법, 종교, 대학
* 누가 규범을 정하는가? 어떻게 정해지는가?
* 가족에서 당신의 역할은?
* 가족의 논쟁은 어떻게 해결되는가? 누가 지고 이기면서 끝나는가?
* 현재 주요 스트레스의 원인은 무엇인가?
* 어떤 해결방법을 사용하고 있는가? 여행, 휴식 또는 친구와 이야기하기
* 일을 미루기만 하는 사람이 있는가? 어떻게 그걸 멈출 수 있다고 생각하나?
* 당신 가족은 무엇에 대해 슬퍼하는가?
* 그 슬픔을 다루는 방법은 무엇인가?
* 가족성원들은 자기 정체감이 뚜렷한가? 낮은 자존감을 가진 성원이 있다면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가?
* 가족의 가치는 무엇인가?(종교, 대학, 담배 피우는 것 등에 대한 가족 의견)
* 가족의 의사소통이 원활한가? 누군가 애매모호한 간접 메시지를 보내는가?
* 가족성원 중에 자신의 욕구 표현을 주저하는 사람이 있는가?
* 어떻게 가족 대화를 향상시킬 수 있을까?
* 부모 체계의 역기능은 무엇인가?
* 부부 체계의 역기능은 무엇인가?
* 형제 체계의 역기능은 무엇인가? 어떻게 향상될 수 있을까?
영자씨(funny_edu)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