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코의 역할
1. 호흡기능
코는 우리가 호흡을 할 때 마시는 공기의 통로(passage)역할을 한다.
2. 인체의 라디에이터
흡입된 공기는 비강을 통하여 따뜻해지고 적당히 습해진다. 이는 코의 가온가습작용이다. 이런 작용이 없으면 건조하고 찬 공기가 인두나 기관으로 들어가 자극이 되고 염증이 생길 수 있다. 습도가 부족하면 코의 섬모운동이 활발하지 못하여 비염에 잘 걸린다.
3. 코는 공기청정기
외부로부터 들어온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공기중의 오염된 물질이 코털에 걸려 걸러지게 되고 비점막의 콧물도 깨끗한 공기가 폐에 들어갈 수 있도록 먼지등을 걸러준다.
4. 코는 자동센서
냄새를 맡을 수 있기에 음식이 상했는지 가스냄새를 맡거나 향기를 느낄 수도 있는 것이다.
1. 호흡기능
코는 우리가 호흡을 할 때 마시는 공기의 통로(passage)역할을 한다.
2. 인체의 라디에이터
흡입된 공기는 비강을 통하여 따뜻해지고 적당히 습해진다. 이는 코의 가온가습작용이다. 이런 작용이 없으면 건조하고 찬 공기가 인두나 기관으로 들어가 자극이 되고 염증이 생길 수 있다. 습도가 부족하면 코의 섬모운동이 활발하지 못하여 비염에 잘 걸린다.
3. 코는 공기청정기
외부로부터 들어온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공기중의 오염된 물질이 코털에 걸려 걸러지게 되고 비점막의 콧물도 깨끗한 공기가 폐에 들어갈 수 있도록 먼지등을 걸러준다.
4. 코는 자동센서
냄새를 맡을 수 있기에 음식이 상했는지 가스냄새를 맡거나 향기를 느낄 수도 있는 것이다.
본문내용
해지며 열이 떨어진다.
7. 코(鼻)에 개공(開孔)
폐는 호흡을 관장하며 코는 호흡이 출입하는 문이기 때문에 폐에 병변이 있으면 언제나 코에 영향을 준다.
‘폐기는 코에 통하고 폐화(肺和)하며 곧 코는 향취를 잘 분간한다.’
따라서 폐기가 풍한(風寒)헤 침해되었을 때는 코가 막히기도 하고 콧물이 나와 향취를 분간하지 못하게 된다.
만약 폐열(肺熱)이 심하면 정기(正氣)가 소통하지 못하여 사기(邪氣)가 배설되지 않기 때문에 해수, 천식, 호흡촉박을 일으키며 대개 비첨(鼻尖-코끝)이 자주 움직이는 증상이 동시에 나타난다.
8. 목(喉)과 소리에 관계
목은 폐관(肺管)의 상구(上口)에 있으면서 폐기가 출입하는 경로가 된다. 폐는 또 발성(發聲)의 그릇이며 목은 음성(音聲)의 문호(門戶)이다. 때문에 폐부(肺部)에 병변이 있으면 대개 목의 질병을 일으키고, 혹은 음성의 변화에 영향을 주며 시만 경우에는 소리가 나오지 않게 된다.
가령 풍사(風邪)를 앓고 폐가 막혀서(鬱肺) 해수(咳嗽)를 일으키고 담(痰)이 실해지고 기가 정체한 병자는 대개 목이 아프거나 소리가 쉬게 된다.
‘금(金)이 실(實)하면 울지 않는다.’ / ‘금(金)이 깨어져 울리지 않는다.
7. 코(鼻)에 개공(開孔)
폐는 호흡을 관장하며 코는 호흡이 출입하는 문이기 때문에 폐에 병변이 있으면 언제나 코에 영향을 준다.
‘폐기는 코에 통하고 폐화(肺和)하며 곧 코는 향취를 잘 분간한다.’
따라서 폐기가 풍한(風寒)헤 침해되었을 때는 코가 막히기도 하고 콧물이 나와 향취를 분간하지 못하게 된다.
만약 폐열(肺熱)이 심하면 정기(正氣)가 소통하지 못하여 사기(邪氣)가 배설되지 않기 때문에 해수, 천식, 호흡촉박을 일으키며 대개 비첨(鼻尖-코끝)이 자주 움직이는 증상이 동시에 나타난다.
8. 목(喉)과 소리에 관계
목은 폐관(肺管)의 상구(上口)에 있으면서 폐기가 출입하는 경로가 된다. 폐는 또 발성(發聲)의 그릇이며 목은 음성(音聲)의 문호(門戶)이다. 때문에 폐부(肺部)에 병변이 있으면 대개 목의 질병을 일으키고, 혹은 음성의 변화에 영향을 주며 시만 경우에는 소리가 나오지 않게 된다.
가령 풍사(風邪)를 앓고 폐가 막혀서(鬱肺) 해수(咳嗽)를 일으키고 담(痰)이 실해지고 기가 정체한 병자는 대개 목이 아프거나 소리가 쉬게 된다.
‘금(金)이 실(實)하면 울지 않는다.’ / ‘금(金)이 깨어져 울리지 않는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