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코의 역할
1. 호흡기능
2. 인체의 라디에이터
3. 코는 공기청정기
4. 코는 자동센서
5. 코는 공명기
6. 코에 분포된 경락
Ⅱ. 폐의 주요 기능
1. 기(氣)를 관장 (폐는 기를 낳는 근본)
2. 호흡(呼吸) 주관
3. 선발(宣發)기능
4. 숙강(肅降)기능
5. 통조수도(通調水道)
6. 피모(皮毛-주로 피부를 말함) 관장
7. 코(鼻)에 개공(開孔)
8. 목(喉)과 소리에 관계
1. 호흡기능
2. 인체의 라디에이터
3. 코는 공기청정기
4. 코는 자동센서
5. 코는 공명기
6. 코에 분포된 경락
Ⅱ. 폐의 주요 기능
1. 기(氣)를 관장 (폐는 기를 낳는 근본)
2. 호흡(呼吸) 주관
3. 선발(宣發)기능
4. 숙강(肅降)기능
5. 통조수도(通調水道)
6. 피모(皮毛-주로 피부를 말함) 관장
7. 코(鼻)에 개공(開孔)
8. 목(喉)과 소리에 관계
본문내용
해지며 열이 떨어진다.
7. 코(鼻)에 개공(開孔)
폐는 호흡을 관장하며 코는 호흡이 출입하는 문이기 때문에 폐에 병변이 있으면 언제나 코에 영향을 준다.
‘폐기는 코에 통하고 폐화(肺和)하며 곧 코는 향취를 잘 분간한다.’
따라서 폐기가 풍한(風寒)헤 침해되었을 때는 코가 막히기도 하고 콧물이 나와 향취를 분간하지 못하게 된다.
만약 폐열(肺熱)이 심하면 정기(正氣)가 소통하지 못하여 사기(邪氣)가 배설되지 않기 때문에 해수, 천식, 호흡촉박을 일으키며 대개 비첨(鼻尖-코끝)이 자주 움직이는 증상이 동시에 나타난다.
8. 목(喉)과 소리에 관계
목은 폐관(肺管)의 상구(上口)에 있으면서 폐기가 출입하는 경로가 된다. 폐는 또 발성(發聲)의 그릇이며 목은 음성(音聲)의 문호(門戶)이다. 때문에 폐부(肺部)에 병변이 있으면 대개 목의 질병을 일으키고, 혹은 음성의 변화에 영향을 주며 시만 경우에는 소리가 나오지 않게 된다.
가령 풍사(風邪)를 앓고 폐가 막혀서(鬱肺) 해수(咳嗽)를 일으키고 담(痰)이 실해지고 기가 정체한 병자는 대개 목이 아프거나 소리가 쉬게 된다.
‘금(金)이 실(實)하면 울지 않는다.’ / ‘금(金)이 깨어져 울리지 않는다.
7. 코(鼻)에 개공(開孔)
폐는 호흡을 관장하며 코는 호흡이 출입하는 문이기 때문에 폐에 병변이 있으면 언제나 코에 영향을 준다.
‘폐기는 코에 통하고 폐화(肺和)하며 곧 코는 향취를 잘 분간한다.’
따라서 폐기가 풍한(風寒)헤 침해되었을 때는 코가 막히기도 하고 콧물이 나와 향취를 분간하지 못하게 된다.
만약 폐열(肺熱)이 심하면 정기(正氣)가 소통하지 못하여 사기(邪氣)가 배설되지 않기 때문에 해수, 천식, 호흡촉박을 일으키며 대개 비첨(鼻尖-코끝)이 자주 움직이는 증상이 동시에 나타난다.
8. 목(喉)과 소리에 관계
목은 폐관(肺管)의 상구(上口)에 있으면서 폐기가 출입하는 경로가 된다. 폐는 또 발성(發聲)의 그릇이며 목은 음성(音聲)의 문호(門戶)이다. 때문에 폐부(肺部)에 병변이 있으면 대개 목의 질병을 일으키고, 혹은 음성의 변화에 영향을 주며 시만 경우에는 소리가 나오지 않게 된다.
가령 풍사(風邪)를 앓고 폐가 막혀서(鬱肺) 해수(咳嗽)를 일으키고 담(痰)이 실해지고 기가 정체한 병자는 대개 목이 아프거나 소리가 쉬게 된다.
‘금(金)이 실(實)하면 울지 않는다.’ / ‘금(金)이 깨어져 울리지 않는다.
키워드
추천자료
호흡기계
빈혈 실험 레포트
갈등과 사회 변동의 관계
갈등과 사회변동의 관계에 관한 고찰
호흡기계
림프관평활근종증 (Lymphangioleiomyomatosis, LAM)
성인간호학 외과병동 - Thyroid cancer case study
한국사회문제 수도권 집중 억제책과 억제책 폐기 중 어느 쪽이 더 바람직한지에 대해 서술jo
특수검사에 관한 환자사례보고서
[호흡][호흡 계통][호흡 조절][호흡 가스교환][호흡과 뇌호흡][호흡과 단전호흡][호흡과 동물...
호흡기계합병증
[간호학] 순환기계 (Circulatory system)
[검사][혈역학검사][방사선투과검사(RT)][주관절검사][흉곽검사][요추천자검사][덴버발달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