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계합병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호흡기계합병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호흡기계 구조
Ⅱ. 폐의 기능
Ⅲ. 호흡기계 방어기전
Ⅳ. 수술 후 폐합병증
Ⅴ. 치료
Ⅵ. 폐기능 문제와 관련하여 내려질 수 있는 간호진단
Ⅶ. 폐기능 합병증 예방 간호수행
Ⅷ. 관련된 진단 검사

본문내용

격려한다. 깊은 흡기는 폐포를 팽창시켜 무기폐와 다른 폐합병증의 발생을 예방한다. 흡기시에 기침을 한다든지, 병의 주둥이를 부는 것과 같은 운동으로 인한 호기시보다 통증이 심하지 않다.
- 기침 : 기침은 흉부분비물 제거에 도움이 된다. 입을 조금 열고 숨을 충분히 들이쉰다. 3회 또는 4회 짧은 헛기침을 하도록 한다. 입을 연 채 심호흡을 하고 짧게 1회 또는 2회 강하게 기침한다. 분비물이 폐로부터 깨끗이 제거되어 호흡기계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폐렴, 무기폐 등).
Ⅷ. 관련된 진단 검사
- ABGA, PFT, chest x-ray, CT
- ABGA 분석
: pH - 7.36 ~7.44 / 대사성 산증과 호흡성 산증에서 낮아지고 대사성 알칼리증과 호흡성 알칼리증에서 높아진다.
: PaCO2 - 34~45mmHg / 호흡성산증과 보상기의 대사성 알칼리증에서 증가하며 호흡성알칼리증과 보상기의 대사성산증에서 감소한다.
: HCO3(bicarbonate) - 20~25mEq/l
: PaO2 - 80~100mmHg / 동맥혈 산소압이 저하되어 산소요법을 필요로 하는 경우 일산화탄소 중독, 모든 급성 폐질환, 심근경색증, 급성 호흡부전 증후군, 폐부종, 심한 기관지천식, 폐혈전 전색증, 울혈성 심부전등을 의심하여야 한다.
: O2 saturation - 94%이상 / 혈을을 운반하는 최대의 산소의 양을 표시하는 것이나 조직의 산화를 표시하지는 않는다.
- 저유량 장시 사용시 FiO2 평가
100% O2 floww rate(L)
FiO2
nasal cannula
1
0.24
2
0.28
3
0.32
4
0.36
5
0.40
6
0.44
oxygen mask
5~6
0.40
6~7
0.50
7~8
0.60
partial rebreathin bag
6
0.60
7
0.70
8
0.80
9
0.80
10
0.80
** PFT 란?
목적
- 호흡기질환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폐활량측정기를 이용하여 폐기능을 평가하고 폐질환의 치료효과 및 예후 판정, 수술 전 마취 가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적응증
- 폐결핵, 폐암, 기관지천식, 폐기종, 기관지확장증, 만성기관지염
금기
- 토혈, 고령이나 의식이 없어 검사에 협조할 수 없는 환자, 1달 이내 심근경식이 있었던 환자, 흉부 또는 복부 통증으로 심호흡을 할 수 없는 환자
검사시 체위 - 좌위, 직립위
과정
- 환자에게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 검사 6시간 전부터 기관지 확장제 사용이나 흡연을 금한다.
- 환자의 체중과 신장을 기록하여 환자를 검사실로 보낸다.
- 검사과정 : 환자는 바른 자세를 취하고 코마개를 착용한 후 마우스 피스를 새지않게 물고 숨을 빠르게 끝까지 들이쉰 후 더 이상 공기가 나오지 않을 때 까지 최대한 숨을 내쉰다. 기계를 통하여 노력폐활량, 1초 동안의 노력 호기량, 노력호기량/노력폐활량, 최대중간노력 호기량이 계산되어 나온다. 이과정을 3번 이상 반복시행하여 재현성 있는 결과 같을 산출한다.
- 검사 후 환자가 돌아오면 환자상태를 화긴하고 검사시간, 검사명, 환자의 반응을 사정하여 기록한다.
**흉부물리요법
목적
- 기도의 점막섬모의 청결을 증진시키고 기도폐쇄를 감소시키고 가스교환과 환기-관규 상호관계를 개선시키키 위함이며, 수술 후 호흡기계 감염과 폐포허탈의 위험을 최소화 시키기 위함이다.
적응증
- 급성 또는 만성 병리적 호흡기 질환으로 많은 양의 분비물이 있는 환자의 효과적인 분비물 배출을 목적으로 한다. (수술 후 무기폐, 폐렴, 기관지확장증, 폐쇄성폐질환, 낭포성섬유증, 급성기관지염, 만성기관지염)
금기
- 식사 직후의 환자, 뇌압 상승이 우려되는 환자, 인공호흡기로부터 이탈기간인 환자, 흉곽내 혹은 두 개강내 출혈이 있는 환자, 심한 부정맥이 있는 환자,제한적인 폐감염이 있는환자는 금하여햐 한다.
합병증
- 부정맥, 두 개강내압 상승, 혈액역학의 변화(예: 저산소혈증), 과환기/저환기, 피곤, 폐감염의 이환, 손상, 늑골의 골절의 합병증을 주의 해야한다.
과정 및 환자 간호
- 환자에게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환자의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협조를 얻기 위함이다)
- 준비한 물품을 침대 옆에 놓는다.
- 흉부 X-ray 결과를 보고 청진을 하여 병변이 있는 곳과 폐쇄 정도를 사정한다.
- 대부분의 심한 기도폐쇄는 공기 움직임이 적거나 우발음이 거의 없다. 호흡음의 소실이나 감소는 시끄러운 수포음이나 건성수포보다 더욱 심한 장애를 의미할 수 있다.
- 병변 부위에 따라 적절한 체위를 취하게 하여 분비물의 배액을 돕는다.
- 시행자는 치료부위의 반대쪽으로 가서 타월로 가슴을 싼후 규칙적으로 흉벽을 두드린 다.
- 손을 컵 모양으로 손가락을 모두 모은 다음 손목에서부터만 힘을 가한다. 팔꿈치와 어 깨는 힘을 빼고 긴장을 풀도록 한다.
- 컵모양의 손과 흉벽 사이의 공기는 쿠션을 형성한다. 흉부타진은 통증을 유발할 정도로 너무 강해서는 안된다.
- 심호흡과 기침을 하도록 주기적으로 멈춘다.
- 흉벽에 진동을 준다. 이는 기관지의 위나 밖으로 분비물의 이동을 돕는다.
- 한 손은 손상된 폐엽 위에 놓고 다른 한손은 그 위에 놓는다.
- 환자에게 깊이 들이마신 뒤 내쉬도록 교육한다.
- 흉벽에 적당한 압력으로 호기 동안에 손을 진동시킨다
- 환자가 인공호흡중이면 수동호기 때에 맞추어서 진동시킨다.
- 휴식을 위해 심호흡을 하도록 한다. 이때 피로나 과호흡을 방지한다.
- 이상을 반복하여 흉부물리요법의 시간은 손상된 폐엽의 수, 분비물의 양상과 양, 환자가 전 과정을 견딜 수 있는 정도에 따라 달리 한다.
- 배액을 위해 몇 분간 기다린다.
- 다음 폐엽으로 이동하여 물리요법을 반복한다.
13. 물리요법을 마친 후 시간, 수행자, 활력징후, 환자의 반응을 사정하여 기록한다.
참고자료
1. 최명애 외 6인(2003), 인체 구조와 기능(Ⅱ), 서울, 계축문화사
2. 서문자외(2004), 성인간호학 上(Ⅱ), 수문사
3. 이강이외(2004), 인체생리학, 현문사
4. 전시자외(2001), 성인간호학 上(Ⅱ), 현문사
5.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 간호표준, 간호지원본부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2.02.21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86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