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ntilator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Ventilator 적용목적, 적응증

2. 각각의 Ventilator mode의 종류, 적응증, 장단점(PEEP 포함)

3. Ventilator setting (구성요소, tidal volume)

4. 인공호흡기 중단기준

5. 인공호흡기 방법

6. 인공호흡기 합병증

7. Nursing care plan(간호계획)(진단, 계획, 중재-제공방법)

8. 인공호흡기 간호 시 주의사항

※ 참고문헌

본문내용

ighting, pain, dry mouth & throat,소음,
7. Nursing care plan(간호계획) (진단, 계획, 중재-제공방법)
1) 인공기도와 관련된 간호
(1) E-tube 의 patency 유지
- E-tube 위치, 구경을 기록하고 자세 변경 시 잘 고정이 되었는지 확인하며 튜브가 꺾이거나 당기지 않도록 한다.
- 기관 절개술 테이프나 ET관 테이프를 필요할 때마다 교환한다.
- ET관을 삽입하고 있는 대상자의 입 주위에 욕창이 있는지 관찰한다.
(2) 기도분비물의 humidification & suctioning
- suctioning 은 8-12초를 넘지 말고 suction power도 150mmHg 이상 걸리지 않게 한다.
- 1회 suction으로 PaO2가 약 35mmHg 떨어지므로 reoxygenation 이 반드시 필요하다.
- normal saline toileting은 최근에 사용을 추천하지 않는다.
(3) 감염관리 : VAP의 잠재적인 감염원
- 환자(구인두) : 구강 간호를 매일하며, 입술에 습기제공
- 의료진(손) : 환자 간호 전 후 손 씻기
- 장비와 기구(호흡장비, nebulizer, humidifier, E-tube, L-tube, Ambu)
(4) Fluid & electrolyte balance
- 체액균형을 사정하기 위해 정확한 I/O를 기록한다.
(5) Nutrition
- 부적절한 영양공급 : 호흡근육의 피로초래로 폐 기능 저하.weaning의 어려움
- low carbohydrate high fat diet, phosphate공급 : 에너지 섭취 최대화,O2사용,CO2생산 최소화
(6) 인공 환기에서의 약물 치료시 간호
- nebulized drug
- 기관지 확장제
- 신경근육 차단제 : 기관 삽관용이, 인공 환기와의 synchronization, 호흡근 이완
- 안정제, 항불안제 : 인공 환기를 잘 견딜 수 있게 산소소모 감소, 불안감소
(7) Psychological Care
-환자에게 담당 간호사임을 설명하고 자신의 이름, 날짜 시간을 알려준다.
- 인공호흡기의 setting을 정기적으로 확인한다.
- 교대근무시간마다 인공호흡기의 설치가 처방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경보장치, 특히 고 압력과 저 흡기량에 대한 경보가 켜져 있는지 확인한다.
- 환자가 흥분하거나 안절 부절시, 호흡량이나 분비물 양 증가 정도 등 신체적 원인을 파악한다.
- 환자가 인공호흡기와 잘 못 맞출 때 원인 파악 및 호흡법을 알려준다.
- 불가피하게 억제대 사용 시 안전을 위해 사용함을 설명한다.
- 의사소통할 수 있게 글 쓰는 도구나 문자판을 준비한다.
- 조명, 소음을 조절하며 가능한 환자의 보이는 곳에, 환자의 옆에 있어준다.
- 인공호흡기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을 모니터 하고 평가한다.
- V/S 사정하고, 처음에는 30~60분마다 호흡음을 듣고, 맥박 산소측정계수를 모니터하고, ABGA수치를 점검한다. (V/S는 과 탄산증과 저산소혈증 상태에서 변하므로 주의 깊게 사정)
- 대상자가 적응하고 있는지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 기관내관위치가 적절한지 확인하기위해 양측 호흡음을 사정하고 기록 한다.
- 대상자의 피부색깔(특히 입술과 손톱 기저부)을 관찰 한다.
- 양측 흉곽 팽창을 관찰한다.
- 나음, 수포음, 천명음, 동일 호흡음, 호흡음의 감소나 상실이 있는지 폐를 청진한다
8. 인공호흡기 간호 시 주의사항
- 기계적 환기를 위한 지침을 명확히 알 수 있어야 한다.
- Intubation을 위한 준비단계를 알고 있어야 한다.
- 호흡기에 주어진 FiO, TV, 호흡기의 횟수와 Mode를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 다양한 호흡기의 mode와 그들의 적용을 기술할 수 있어야 한다.
- 기계적 환기의 환자반응에 관련된 최소한 두 가지의 합병증과 그 징후와 증상을 기술할 수 있어야 한다.
- 문제 발생 경보시의 원인과 간호행위를 기술할 수 있어야 한다.
- 기관 내 삽관과 관련된 다른 합병증의 예방을 위한 예방적 행위를 기술할 수 있어야 한다.
- 호흡기 부착 환자를 위한 간호계획에서 선택된 간호중재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들 수 있어야 한다.
- 호호흡기 부착환자의 checklist를 작성 할 수 있어야 한다.
- Suctioning Checklist를 작성 할 수 있어야 한다.
※ 참고문헌
중환자 통합실습교육. 송소현 외. 2003. 정담미디어.
기본간호간호학Ⅱ. 송경애 외. 2008. 수문사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3.07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42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