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도개방 증진
1) Pursed-lip breathing
2) 복식 호흡
3) 체위배액
4) 타진과 진동
2. 기도청결 유지
1) 기침
2) 기도가습요법
3. 환기증진
1) Endotracheal intubation (기관내 삽관)
2) 기관절개술 관리
3) 밀봉흉곽 배액
4. 산소요법
1)목적
2)산소투여의 위험성
3) 산소전달체계
4) 간호
5. 기계적 환기
1) 기계적 환기 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환자 간호
2) 간헐적 양압 호흡 IPPB
참고문헌
1) Pursed-lip breathing
2) 복식 호흡
3) 체위배액
4) 타진과 진동
2. 기도청결 유지
1) 기침
2) 기도가습요법
3. 환기증진
1) Endotracheal intubation (기관내 삽관)
2) 기관절개술 관리
3) 밀봉흉곽 배액
4. 산소요법
1)목적
2)산소투여의 위험성
3) 산소전달체계
4) 간호
5. 기계적 환기
1) 기계적 환기 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환자 간호
2) 간헐적 양압 호흡 IPPB
참고문헌
본문내용
불편감을 준다. 장기요법에는 비실용적이다.
수행
① 고무테두리(rubber flap) 위치를 제대로 맞춘다.
② mask를 환자에게 씌우기 전에 reservoir bag에 산소가 차도록 한다.
③ Reservoir bag이 움직이지 않거나 산소가 새는 느낌이 없는지 확인한다.
④ 피부상태를 자주 관찰하고 얼굴 마사지를 자주 해준다.
(5) 벤츄리 마스크 Venturi-mask ( High-flow system )
장점
① 일정한 FiO2를 공급한다.
② 환자의 호흡양상에 상관없이 정확한 산소를 투여할 수 있다.
③ 점막이 건조하지 않다.
④ 가습 또는 분무요법이 가능하다.
⑤ 처방된 산소보다 더 들어가는 경우는 없다.
단점
① 덥고 가두는 느낌이 있으며 피부에 자극을 준다.
② mask가 맞지 않거나 tube가 꼬였거나 oxygen port가 막혔거나
③ 원하는 liter flow보다 낮게 투여가 되면 FiO2 level은 변할 수 있다.
수행
① 산소농도에 맞는 적절한 adapter를 준비한다.
② 유량계에 O2 line과 adapter, venturi-mask를 연결한다.
③ venturi mask 옆에 뚫린 구명으로 공기가 새어 나오는 것을 확인한다.
④ 환자의 코와 입 위로 mask를 씌우고 잘 고정시킨다.
(4) oxygen tent
주로 유아에게 사용되며 정확한 산소농도의 유지가 어렵다. 텐트는 환자의 머리와 흉곽이 텐트 내에 잇도록 하기 위해 침대의 가장 높은 부분에 고정된다. 산소텐트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어서 산소의 확산이나 공기의 유통이 불가능하며, 산소텐트내의 산소 농도는 보통 50~60%, 온도는 20~21℃정도가 좋으며, 규칙적으로 텐트내의 산소농도를 측정하도록 해야한다. 산소텐트 내의 환자는 흔히 격리된 느낌을 갖게 되므로 정서적 지지가 필요하다.
(5) T-piece
기관절개술, 후두절제술, 기관내관 등이 있는 대상자에게 원하는 FiO₂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
4) 간호
(1) 이산화탄소 분압을 확인하여 산소투여량과 방법 결정
(2) 튜브를 길게하여 활동 불편감 최소
(3) 마스크 사용 환자 식사시에는 비강 캐뉼러로 교체
(4) 비강캐뉼러, 마스크 사용환자는 구강체온 측정 금지
(5) 합병증 관리 : 산소독성, 저산소성 환기 자극억압
5. 기계적 환기
1) 기계적 환기 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환자 간호
인공 기도의 유지(Intubation or Tracheostomy)
: 흡입되는 가스는 체온 정도로 가온, 100% 가습되어야 함
가습장치과 연결 튜브는 정기적 점검(역류 방지)
기도의 suction
ventilator pattern을 평가
position & Chest physiotherapy
: 매 2시간마다 체위변경, ROM, 안구의 습기유지, 피부사정
환자의 기도를 병원 감염으로부터 보호
: 습화하는 용액은 무균적으로 준비, 모든 기구는 24시간마다 교환, 구강간호, 규칙적인 객담검사 시행, 인공호흡기와 가습기, 필터를 규칙적으로 소독하고 교환
정서적 지지 및 의사소통 증진
2) 간헐적 양압 호흡 IPPB
: short time(1회 20분씩, 3~4회/일)
-> 폐포의 환기량 증진과 기관지확장제의 효과적 분무, 객담배출 도움
적응증 : 무기폐, 기침을 잘 못하는 사람, 수술 후 무기폐 예방, 깊은 숨을 쉴 수 없는 사람에게 분무요법으로 약 투여시, 과소호흡을 교정할 때
금기사항 : 자연 기흉, 진단 안된 객혈 환자, 심맥관계 장애, 다른 생리적 장애, 만성 CO₂정체, 뇌압 상승 된 사람
참고문헌
최신 임상간호메뉴얼, 현문사, 2004
전시자 외(2011). 성인간호학(상). 서울. 현문사
수행
① 고무테두리(rubber flap) 위치를 제대로 맞춘다.
② mask를 환자에게 씌우기 전에 reservoir bag에 산소가 차도록 한다.
③ Reservoir bag이 움직이지 않거나 산소가 새는 느낌이 없는지 확인한다.
④ 피부상태를 자주 관찰하고 얼굴 마사지를 자주 해준다.
(5) 벤츄리 마스크 Venturi-mask ( High-flow system )
장점
① 일정한 FiO2를 공급한다.
② 환자의 호흡양상에 상관없이 정확한 산소를 투여할 수 있다.
③ 점막이 건조하지 않다.
④ 가습 또는 분무요법이 가능하다.
⑤ 처방된 산소보다 더 들어가는 경우는 없다.
단점
① 덥고 가두는 느낌이 있으며 피부에 자극을 준다.
② mask가 맞지 않거나 tube가 꼬였거나 oxygen port가 막혔거나
③ 원하는 liter flow보다 낮게 투여가 되면 FiO2 level은 변할 수 있다.
수행
① 산소농도에 맞는 적절한 adapter를 준비한다.
② 유량계에 O2 line과 adapter, venturi-mask를 연결한다.
③ venturi mask 옆에 뚫린 구명으로 공기가 새어 나오는 것을 확인한다.
④ 환자의 코와 입 위로 mask를 씌우고 잘 고정시킨다.
(4) oxygen tent
주로 유아에게 사용되며 정확한 산소농도의 유지가 어렵다. 텐트는 환자의 머리와 흉곽이 텐트 내에 잇도록 하기 위해 침대의 가장 높은 부분에 고정된다. 산소텐트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어서 산소의 확산이나 공기의 유통이 불가능하며, 산소텐트내의 산소 농도는 보통 50~60%, 온도는 20~21℃정도가 좋으며, 규칙적으로 텐트내의 산소농도를 측정하도록 해야한다. 산소텐트 내의 환자는 흔히 격리된 느낌을 갖게 되므로 정서적 지지가 필요하다.
(5) T-piece
기관절개술, 후두절제술, 기관내관 등이 있는 대상자에게 원하는 FiO₂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
4) 간호
(1) 이산화탄소 분압을 확인하여 산소투여량과 방법 결정
(2) 튜브를 길게하여 활동 불편감 최소
(3) 마스크 사용 환자 식사시에는 비강 캐뉼러로 교체
(4) 비강캐뉼러, 마스크 사용환자는 구강체온 측정 금지
(5) 합병증 관리 : 산소독성, 저산소성 환기 자극억압
5. 기계적 환기
1) 기계적 환기 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환자 간호
인공 기도의 유지(Intubation or Tracheostomy)
: 흡입되는 가스는 체온 정도로 가온, 100% 가습되어야 함
가습장치과 연결 튜브는 정기적 점검(역류 방지)
기도의 suction
ventilator pattern을 평가
position & Chest physiotherapy
: 매 2시간마다 체위변경, ROM, 안구의 습기유지, 피부사정
환자의 기도를 병원 감염으로부터 보호
: 습화하는 용액은 무균적으로 준비, 모든 기구는 24시간마다 교환, 구강간호, 규칙적인 객담검사 시행, 인공호흡기와 가습기, 필터를 규칙적으로 소독하고 교환
정서적 지지 및 의사소통 증진
2) 간헐적 양압 호흡 IPPB
: short time(1회 20분씩, 3~4회/일)
-> 폐포의 환기량 증진과 기관지확장제의 효과적 분무, 객담배출 도움
적응증 : 무기폐, 기침을 잘 못하는 사람, 수술 후 무기폐 예방, 깊은 숨을 쉴 수 없는 사람에게 분무요법으로 약 투여시, 과소호흡을 교정할 때
금기사항 : 자연 기흉, 진단 안된 객혈 환자, 심맥관계 장애, 다른 생리적 장애, 만성 CO₂정체, 뇌압 상승 된 사람
참고문헌
최신 임상간호메뉴얼, 현문사, 2004
전시자 외(2011). 성인간호학(상). 서울.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