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비 이오카스테, 즉 그의 어머니를 취하게 되었다. 그들 사이에서 에테오클레스·폴리네이케스·안티고네·이스메네 등 4명의 아이들이 태어났다. 그후 진실이 밝혀지자 이오카스테는 자살했으며, 오이디푸스는(다른 출전에 따르면) 자신의 눈을 찔러 눈을 멀게 한 다음, 처남 크레온을 섭정으로 남기고 딸 안티고네·이스메네와 함께 나라를 떠났다고 한다. 마침내 그는 아테네 근처 콜로노스에서 죽었으며, 그곳 땅이 그를 삼켰고 그는 땅의 수호신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1-2. 스핑크스 전설상 가장 유명한 스핑크스는 보이오티아 테베의 날개달린 스핑크스로, 그것은 뮤즈가 가르쳐준 수수께끼(목소리는 같지만 발이 4개가 되기도 하고 2개가 되기도 하고 3개가 되기도 하는 것은 무엇인가?)를 사람들에게 묻고 그 답을 요구하여 틀린 답을 말하는 사람을 잡아먹어 사람들을 공포에 떨게 했다고 한다. 마침내 오이디푸스가 정답(유아기에는 4발로 기고 자라서는 2발로 걷고 노년기에는 지팡이에 의지하는 사람)을 맞추자 스핑크스는 그 자리에서 자결했다. 이 이야기에서 스핑크스가 전지(全知)하다는 전설이 나왔음이 분명한데, 오늘날에도 스핑크스의 지혜는 속담이 될 만큼 유명하다. 엘렉트라 콤플렉스 (Electra Complex) 여자아이가 아버지에게 애정을 품으면서 어머니를 경쟁자로 인식하고 질투하거나 적대시하는 경향. 프로이트가 제시한 이론으로 융에 의해 명명되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서 생식기 단계(phallic stage:3-5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그의 학문체계에서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대비가 되지만 그것만큼 중요시되지 않고 있다. 프로이트에 의하면 이 단계의 여자아이는 자신의 성기(clitoris)에 관심을 갖는데 남자아이의 성기(penis)에 비해 열등감을 느끼고 그것을 선망하게(penis envy) 된다. 그러나 남자와 같아지려는 희망을 포기하고 거세(castration)된 사실을 받아들이면서 아버지를 사랑하고 어머니에 대해 반감을 품게 된다. 엘렉트라 콤플렉스는 어머니와 자신을 동일시하고 초자아(superego)를 발전시킴으로써 해소되어 다음 단계인 잠복기로 넘어가는데 이것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노이로제의 주요원인이 된다. 엘렉트라는 그리스 신화의 인물로, 동생 오레스테스와 함께 어머니 클리템네스트라와 그녀의 정부(情夫) 아이기스토스를 살해했다. 엘렉트라 (Electra) 그리스어로 '현명한 자'라는 뜻 그리스 전설에 나오는 인물. 아가멤논과 클리템네스트라의 딸이다. 아버지가 살해될 때 동생 오레스테스를 멀리 보내 그의 생명을 구했다. 동생이 돌아왔을 때 어머니와 정부를 살해하는 것을 도왔다. 그리고 동생의 친구 필라데스와 결혼했다. 아가멤논 Agamemnon 그리스 신화 나오는 인물. 미케네 또는 아르고스의 왕으로, 미케네 왕 아트레우스와 그의 아내 아이로페의 아들이며 메넬라오스의 형이다. 티에스테스와 그의 아들 아이기스토스에 의해 아버지 아트레우스가 살해당한 뒤, 아가멤논과 메넬라오스 형제는 스파르타 왕 틴다레우스에게로 피신하여 틴다레우스의 딸들인 클리템네스트라 및 헬레네와 각기 결혼했다. 아가멤논은 클리템네스트라와의 사이에서 아들 오레스테스와 3명의 딸인 이피게네이아(이피아나사)·엘렉트라(라오디케)·크리소테미스를 낳았다. 메넬라오스는 뒤에 틴다레우스를 계승했고, 아가멤논은 아버지의 왕국을 되찾았다. 트로이 왕 프리아모스의 아들 파리스(알렉산드로스)가 헬레네를 납치해가자, 아가멤논은 트로이에게 복수를 하기 위해 그리스의 왕들을 방문하여 연합군을 만들자고 제의했다. 그 자신은 100척의 배로 무장하고 그리스 연합군의 총사령관으로 선출되었다. 연합군의 함대는 보이오티아에 있는 아울리스 항구에 모였는데, 어떤 날은 바람이 없고 어떤 날은 역풍이 불어 계속 출항할 수가 없었다. 이것은 아가멤논이 여신 아르테미스의 비위를 거슬렀기 때문에 아르테미스가 방해하는 것이었다. 아가멤논은 그녀의 분노를 가라앉히기 위해 자신의 딸 이피게네이아를 제물로 바쳤다. 트로이를 함락한 이후 전리품을 분배하는 과정에서 프리아모스 왕의 딸 카산드라는 아가멤논의 차지가 되었다. 귀향길에서 그가 아르골리스에 이르렀을 때, 아이기스토스는 아가멤논과 그의 동료들, 카산드라를 살해했다. 아이기스토스가 아가멤논이 전쟁에 나간 사이에 그의 아내를 유혹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리스의 시인 아이스킬로스는 그 살인을 클리템네스트라의 탓으로만 돌렸다. 오레스테스는 어머니와 어머니의 정부 아이기스토스를 죽이고 아버지의 원수를 갚았다. 아가멤논은 역사상의 인물이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그리스 본토의 미케네나 아르카이아의 대군주였던 듯하다. 헬레니즘 시대에 스파르타 사람들은 그에게 제우스 아가멤논이라는 칭호를 붙이고 숭배했다. 헬레네 Helene 그리스 전설에 나오는 인물. 그리스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이었으며 트로이 전쟁의 간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제우스의 딸이었다고 하며 어머니는 레다 또는 네메시스라고 전한다. 또한 디오스쿠오리 형제의 여동생이었고 아가멤논과 결혼한 클리템네스트라와 자매간이며 아가멤논의 동생 메넬라오스의 아내였다. 그러나 메넬라오스가 집을 비운 동안 그녀는 트로이 왕 프리아모스의 아들인 파리스와 함께 트로이로 도망갔다. 파리스가 죽은 뒤 그의 동생인 데이포보스와 결혼했으나 트로이가 함락되자 그를 배신하고 메넬라오스에게 돌아갔다. 메넬라오스와 그녀는 함께 스파르타로 돌아가서 죽을 때까지 행복하게 살았다. 카산드라 Cassandra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트로이 최후의 왕 프리아모스와 헤카베 사이에서 태어난 딸. 아폴론의 총애를 받았으며 아폴론은 그녀가 자기의 요구에 따르기만 한다면 예언의 능력을 주겠다고 약속했다. 카산드라는 그 제안을 받아들여 예언 능력은 받았지만 아폴론의 요구는 거절했다. 그러자 아폴론은 사람들이 그녀의 예언을 전혀 믿지 않게 만듦으로써 복수했다. 트로이가 함락된 후에 전리품을 분배하는 과정에서 카산드라는 아가멤논에게 돌아갔으며 결국 아가멤논과 함께 살해되었다. 그녀는 알렉산드라라는 이름으로 아폴론과 함께 숭배되었다.
[출처] 프로이드 Sigmund Freud (1856-1939) [생애] |작성자 동분서주
[출처] 프로이드 Sigmund Freud (1856-1939) [생애] |작성자 동분서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