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있다.
비즈니스 유형
특 징
판매자가 통제하는 시장
Information-only vendor Web sites(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Vendor Web sites with online ordering(온라인 주문 서비스 제공 사이트)
구매자가 통제하는 시장
Web site procurement postin(제품 구입 광고 게재 사이트)Purchasing agents(구매 담당)Purchasing aggregators
중립적 시장
Industry/product-specific search engines(산업/제품 검색엔진 제공 사이트)Information marts(정보 시장) Business malls(multiple vendors store fronts)(비즈니스 몰)Auction spaces(경매 시장)
기존 분류법에서 놓치고 있는 것들
앞에서 소개한 기존 분류의 문제점은 재화의 이동을 중심으로 분류됨에 따라 시장에서 판매자와 구매자의 거래를 지원해주는 다른 기능에 대해서는 간과하고 있다는 점이다. 시장은 정보, 상품,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기능과 대금을 지불하는 기능만 있는 것이 아니라, 판매자와 구매자, 중개자들 사이에서 신용도를 높여서 거래를 촉발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비즈니스를 제품과 정보의 이동만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경우 프로모션을 위한 사이트인 보물찾기 (www.bomul.co.kr), 링크익스체인지 (www.linkexchange.com)와 같은 비즈니스는 기존 분류 체계의 어디에도 포함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앞의 세가지 분류 방법을 통합한다면, 티머스의 분류에서의 상점형(e-shop)은 직접 제품을 제조해 판매하는 제조업자 상점형(Manufacturer E-shop)과 제조는 하지 않고 소비자와 제조업체를 중개해 주는 중개업자 상점형(Broker E-shop)으로 세분화할 필요가 생긴다.
상점형(E-shop) 모델의 재분류
몰형(E-mall) 모델의 경우도 구매 지원 기능의 구비 여부에 따라 구분될 필요가 있다. 몰형은 하나의 브랜드 이름으로 여러 종류의 상점이 한 곳에 모여 소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비즈니스 형태로 다양한 제품을 비교해 소비자에게 제품 정보를 제공하고, 소비자가 제품 구매시 이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구매를 지원하는 비교 쇼핑의 개념을 가지고 출발했다. 그러나 실제 인터넷에서는 하나의 몰 안에 다수의 상점이 존재하고 있을 뿐, 제품에 대한 비교 정보를 제대로 제공하지 못하고 있어 소비자의 탐색 비용을 증가시키고 있다.
첫 번째 그림이 구매지원 기능을 제공하는 몰을 나타내고 있다면, 두번째 그림은 구매지원 기능이 약하고 단지 다수의 상점을 모아놓은 형태의 몰을 표시한다.
구매지원 기능을 가지는 몰구매지원 기능이 없는 몰
헤쳐모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분류
앞서의 세가지 분류법을 통합해 하나의 트리구조에 포함되는 분류 체계를 만들어 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제일 먼저 비즈니스 형태를 시장 주도자를 기준으로 분류하는데, 판매자 기반의 시장(Seller-oriented marketplaces), 구매자 기반의 시장(Buyer-oriented places), 중립적 시장(Neutral marketplaces)의 세가지 분류에 시장에서의 거래를 촉발하는 기능을 가지는 촉발자 기반의 시장(Facilitator-oriented marketplaces)을 추가해 4가지로 분류로 전체를 나눈다.
판매자 기반의 시장
판매자 기반의 시장은 상점형(E-shop)과 몰형(E-mall) 두 유형으로 분화되고, 다시 상점형은 제품 제조는 하지 않고 단순히 중개만을 담당하는 중개자 상점형(Broker E-shop)과 제조에서부터 제품의 판매까지 주도하는 제조업자 상점형(Manufacturer E-shop)으로 세분할 수 있다. 몰형(E-mall)은 현재 인터넷에서 관찰돼지는 형태인 하나의 브랜드로 여러 개의 상점이 모여있는 단순 형태의 몰과 비교쇼핑까지 제공하는 몰로 구분된다.
판매자 기반 시장의 상세 분류
구매자 기반의 시장
구매자 기반의 시장(Buyer-oriented marketplaces)은 구매자 주도의 커머스형(Buyer-driven commerce), 조달형(e-procurement), 가상 커뮤니티형(Virtual community)으로 나눌 수 있다. 특히 구매자 주도의 커머스형은 구매자 스스로 가격과 서비스의 질을 결정하는 시스템을 말하며, 프라이스라인 (www.priceline.com), 어컴퍼니 (www.accompany.com) 등이 대표적인 비즈니스 모델이라 할 수 있다.
구매자 기반 시장의 상세 분류
중립적 시장
중립 시장은 협동 플랫폼형(Collaboration platform), 경매형(E-auction), 써드파티 시장형(Third party marketplace)으로 나눌 수 있다.
중립적 시장의 상세 분류
촉발자 기반의 시장
촉발자 기반의 시장(Facilitator-oriented marketplaces)은 크게 가치사슬 지원 모델과 프로모션 모델로 나눌 수 있다. 가치사슬 지원 모델은 가치사슬 서비스 제공자와 가치사슬 통합자로 나눠지며, 프로모션 모델은 정보 중개형(Information Brokerage), 보안 서비스 제공형(Trust Provider), 사이트 프로모터형(Site Promoter)으로 나뉜다. 사이트 프로모터 모델은 보물찾기 (www.bomul.co.kr) 와 링크익스체인지 (www.linkexchange.com)처럼 인터넷 사이트의 광고를 도와주고 그로 인한 수수료가 수익의 원천이 되는 모델이다.
이러한 4가지 그림을 트리 구조로 표시하면 통합분류가 되며, 이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여기에서 제시한 인터넷 상거래 비즈니스 모델 통합분류는 인터넷 상거래 비즈니스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업자에게는 자신의 사업을 포지셔닝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미 사업을 진행하는 사업자들에게는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호에서는 이러한 분류법을 토대로 여러 인터넷 비즈니스 사이트를 간단하게 분석하고자 한다.
비즈니스 유형
특 징
판매자가 통제하는 시장
Information-only vendor Web sites(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Vendor Web sites with online ordering(온라인 주문 서비스 제공 사이트)
구매자가 통제하는 시장
Web site procurement postin(제품 구입 광고 게재 사이트)Purchasing agents(구매 담당)Purchasing aggregators
중립적 시장
Industry/product-specific search engines(산업/제품 검색엔진 제공 사이트)Information marts(정보 시장) Business malls(multiple vendors store fronts)(비즈니스 몰)Auction spaces(경매 시장)
기존 분류법에서 놓치고 있는 것들
앞에서 소개한 기존 분류의 문제점은 재화의 이동을 중심으로 분류됨에 따라 시장에서 판매자와 구매자의 거래를 지원해주는 다른 기능에 대해서는 간과하고 있다는 점이다. 시장은 정보, 상품,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기능과 대금을 지불하는 기능만 있는 것이 아니라, 판매자와 구매자, 중개자들 사이에서 신용도를 높여서 거래를 촉발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비즈니스를 제품과 정보의 이동만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경우 프로모션을 위한 사이트인 보물찾기 (www.bomul.co.kr), 링크익스체인지 (www.linkexchange.com)와 같은 비즈니스는 기존 분류 체계의 어디에도 포함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앞의 세가지 분류 방법을 통합한다면, 티머스의 분류에서의 상점형(e-shop)은 직접 제품을 제조해 판매하는 제조업자 상점형(Manufacturer E-shop)과 제조는 하지 않고 소비자와 제조업체를 중개해 주는 중개업자 상점형(Broker E-shop)으로 세분화할 필요가 생긴다.
상점형(E-shop) 모델의 재분류
몰형(E-mall) 모델의 경우도 구매 지원 기능의 구비 여부에 따라 구분될 필요가 있다. 몰형은 하나의 브랜드 이름으로 여러 종류의 상점이 한 곳에 모여 소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비즈니스 형태로 다양한 제품을 비교해 소비자에게 제품 정보를 제공하고, 소비자가 제품 구매시 이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구매를 지원하는 비교 쇼핑의 개념을 가지고 출발했다. 그러나 실제 인터넷에서는 하나의 몰 안에 다수의 상점이 존재하고 있을 뿐, 제품에 대한 비교 정보를 제대로 제공하지 못하고 있어 소비자의 탐색 비용을 증가시키고 있다.
첫 번째 그림이 구매지원 기능을 제공하는 몰을 나타내고 있다면, 두번째 그림은 구매지원 기능이 약하고 단지 다수의 상점을 모아놓은 형태의 몰을 표시한다.
구매지원 기능을 가지는 몰구매지원 기능이 없는 몰
헤쳐모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분류
앞서의 세가지 분류법을 통합해 하나의 트리구조에 포함되는 분류 체계를 만들어 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제일 먼저 비즈니스 형태를 시장 주도자를 기준으로 분류하는데, 판매자 기반의 시장(Seller-oriented marketplaces), 구매자 기반의 시장(Buyer-oriented places), 중립적 시장(Neutral marketplaces)의 세가지 분류에 시장에서의 거래를 촉발하는 기능을 가지는 촉발자 기반의 시장(Facilitator-oriented marketplaces)을 추가해 4가지로 분류로 전체를 나눈다.
판매자 기반의 시장
판매자 기반의 시장은 상점형(E-shop)과 몰형(E-mall) 두 유형으로 분화되고, 다시 상점형은 제품 제조는 하지 않고 단순히 중개만을 담당하는 중개자 상점형(Broker E-shop)과 제조에서부터 제품의 판매까지 주도하는 제조업자 상점형(Manufacturer E-shop)으로 세분할 수 있다. 몰형(E-mall)은 현재 인터넷에서 관찰돼지는 형태인 하나의 브랜드로 여러 개의 상점이 모여있는 단순 형태의 몰과 비교쇼핑까지 제공하는 몰로 구분된다.
판매자 기반 시장의 상세 분류
구매자 기반의 시장
구매자 기반의 시장(Buyer-oriented marketplaces)은 구매자 주도의 커머스형(Buyer-driven commerce), 조달형(e-procurement), 가상 커뮤니티형(Virtual community)으로 나눌 수 있다. 특히 구매자 주도의 커머스형은 구매자 스스로 가격과 서비스의 질을 결정하는 시스템을 말하며, 프라이스라인 (www.priceline.com), 어컴퍼니 (www.accompany.com) 등이 대표적인 비즈니스 모델이라 할 수 있다.
구매자 기반 시장의 상세 분류
중립적 시장
중립 시장은 협동 플랫폼형(Collaboration platform), 경매형(E-auction), 써드파티 시장형(Third party marketplace)으로 나눌 수 있다.
중립적 시장의 상세 분류
촉발자 기반의 시장
촉발자 기반의 시장(Facilitator-oriented marketplaces)은 크게 가치사슬 지원 모델과 프로모션 모델로 나눌 수 있다. 가치사슬 지원 모델은 가치사슬 서비스 제공자와 가치사슬 통합자로 나눠지며, 프로모션 모델은 정보 중개형(Information Brokerage), 보안 서비스 제공형(Trust Provider), 사이트 프로모터형(Site Promoter)으로 나뉜다. 사이트 프로모터 모델은 보물찾기 (www.bomul.co.kr) 와 링크익스체인지 (www.linkexchange.com)처럼 인터넷 사이트의 광고를 도와주고 그로 인한 수수료가 수익의 원천이 되는 모델이다.
이러한 4가지 그림을 트리 구조로 표시하면 통합분류가 되며, 이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여기에서 제시한 인터넷 상거래 비즈니스 모델 통합분류는 인터넷 상거래 비즈니스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업자에게는 자신의 사업을 포지셔닝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미 사업을 진행하는 사업자들에게는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호에서는 이러한 분류법을 토대로 여러 인터넷 비즈니스 사이트를 간단하게 분석하고자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