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증에 대한 이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자폐증(AUTISM)
II. 역사
III.세 가지 핵심 증상
IV. 원인
V.자폐증 진단법
VI.돕는 방법

본문내용

(또는 그 이상)항목, 적어도 (1)에서 2개 항목, (2)와 (3)에서 각각 1개 항목이 충족되어야 한다:
1.사회적 상호 작용에서의 질적인 장해가 다음 항목들 가운데 적어도 2개 항목으로 표현된다.
a.사회적 상호작용을 조절하기 위한 눈 마주치기, 얼굴 표정, 몸 자세, 몸짓과 같은 다양한 비언어적 행동을 사용함에 현저한 장해
b.발달수준에 적합한 친구 관계 발달의 실패
c.자발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기쁨, 관심, 성공을 나누지 못한다 (예: 관심의 대상을 보여주거나, 가져오거나, 지적하지 못함)
d.사회적으로나 감정적으로 서로 반응을 주고 받는 상호 교류의 결여
2.질적인 의사소통 장해는 다음 항목들 가운데 적어도 1개 항목으로 표현된다.
a.구두 언어 발달의 지연 또는 완전한 발달 결여 (몸짓이나 흉내내기 같은 의사소통의 다른 방법에 의한 보상 시도가 수반되지 않는다)
b.적절하게 말을 하는 경우라도, 다른 사람과 대화를 시작하거나 지속하는 능력의 현저한 장해
c.발달수준에 적합한 자발적이고 다양한 가상적 놀이나 사회적 모방 놀이의 결여
3.제한적이고 반복적이며 상동증적인 행동이나 관심, 활동이 다음 항목들 가운데 적어도 1개 항목으로 표현된다.
a.강도나 초점에 있어서 비정상적인, 한 가지 이상의 상동증적이고 제한적인 관심에 집착
b.특이하고 비효율적인 틀에 박힌 일이나 의식에 고집스럽게 매달림
c.상동증적이고 반복적인 동작성 매너리즘(예: 손이나 손가락으로 딱딱 때리기나 틀기, 또는 복잡한 몸 전체 움직임)
d.대상의 부분에 지속적으로 몰두
B.다음 영역 가운데 적어도 한 가지 영역에서 기능이 지연되거나 비정상적이며, 3세 이전에 시작된다.
1.사회적 상호작용 2.사회적 의사소통에서 사용되는 언어 3.상징적 또는 상상적 놀이
C.장애가 레트 장애 또는 소아기 붕괴성 장애로 잘 설명되지 않는다.
이 장애의 특징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훈련기간이 짧고 경험이 적은 임상가에게는 진단이 매우 어렵다. 자폐증에 대한 경험이 많은 의료 전문가나 임상가를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신경과 의사(neurologist), 심리학자(psychologist), 소아정신과 의사, 언어치료사(speech/language therapist), 학습치료사(learning consultant) 등 자폐증에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여러 전문가로 구성된 팀이 아동을 평가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평가의 과정: 평가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원칙은 다음의 두 가지 과정이다.
1.지능, 언어, 의학적 그리고 신경학적 검사 등 여러 전문가가 실시하는 병원에서의 평가
2.놀이 또는, 사회적 교류나 의사소통과 관련된 상황에 대한 자폐 아동의 집, 학교, 보호기관에서의 평가
이러한 과정은 다소간 시간이 걸리지만, 주의 깊은 평가를 통해 자폐와 유사한 다른 상태를 식별하는데 도움이 된다. 즉, 레트 증후군(Rett's syndrome 손을 뒤트는 동작이나 다른 특이한 손동작을 보이는 주로 여아에게서 발생하는 신경학적 문제)이나 Laundau-Kleffner증후군(정상적인 언어발달 후에 언어 능력이 점차 소실되고 간질이 동반되는 상태)과 같은 질환을 판별해낼 수 있다.
자폐증을 진단하는데 있어 모호한 경우도 있는데, '비전형 자폐증'(3세 이전에는 전형적인 양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거나, '자폐 양상'(autistic feature 증상의 전부가 아닌 일부분만 존재하는 경우)이라는 말이 사용된다.
진단 연령: 자폐증은 항상 영유아기(infancy)에 시작하는데, 후향적 연구(retrospective study: 과거를 되돌아보는 형식으로 연구하는 방법)에 의하면 부모들이 생후 첫 일년 안에 아이의 발달에 대해 심각한 걱정을 했던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러한 걱정은 의사소통, 놀이, 사회적 반응의 이상에 대한 것들이었다.
진단 결과 : 자신의 자녀가 자폐증이라는 진단에 접하게 된 부모들은 매우 당황하고 혼란에 빠지기 쉽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영국에서는 국립 자폐협회(UK's National Autistic Society)가 만들어졌고 전 세계적으로 수백 개의 자조모임(self help groups)이 만들어졌다.(우리나라의 경우 아직 체계적인 전국 조직은 없다.)
VI.돕는 방법
자폐증 99(http://www.autism99.org/)를 방문, 정보센터(Information Centre)를 찾을 수 있는데, 자폐증을 앓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다양한 형태의 치료와 교육 프로그램이 제시되어 있다.
상호작용치료 : 아동과 부모 또는 치료자 사이의 관계와 의사소통 발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아이들의 행동을 좋은 것, 나쁜 것으로 간주하지 않는 방식으로 아동에 대해 판단하지 않으며, 대신에 아동 자신이 그가 할 수 있는 최선을 하고 있다고 간주한다.
통합치료 : 자폐증을 가진 사람들이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살아가는 것이 가능한 것을 목표로 추구한다. 대표적인 예는 미국의 북 캐롤라이나 대학에서 개척한 TEACCH(Treatment and Education of Autistic and related Communication-handicapped Children 자폐증 및 관련 의사소통 장애 아이들의 치료와 교육)이다.
일상생활치료 : 일본에서 시작되었으며, 일상생활 기술, 신체적 교육, 음악, 공예 등을 집중적으로 시행하는 전체적으로 통합된 24시간 교과 과정으로 구성되어있다. 집단 수행과 그룹 안에서의 동일화라는 일본 문화가 주된 철학이다
행동치료 : 특수 교육에서 행동치료적인 접근이 여러 해 동안 시도되었다. 특정한 행동에 대한 훈련이 가능한 것이 성공적이라는 그 동안의 실적이 있지만, 비판은 학습된 기술들이 의존성을 유발하며 그 기술이 일반화하는 데는 실패한다는 것이다. Lovaas 기법(Lovaas techniques)은 아주 초기(생후 42개월 이전)에 시작하는데, 연구결과 상당한 정도의 성공을 거두었다.
절충치료 :
부가적인 치료법 : 다양한 다른 방법, 예를 들어 청각통합훈련, 음악치료, 식이 변화들이 특정한 소수의 아동들에게는 삶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18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