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序
2. 자폐증 아동과 교육
3. 結-바람직한 특수 교육을 위한 방안
2. 자폐증 아동과 교육
3. 結-바람직한 특수 교육을 위한 방안
본문내용
님은 무릎을 꿇리고 고집 센 우석은 먹지 않겠다고 버티다가 오줌을 쌌다. 그러나 선생님은 다시 옷을 갈아입히고 벌을 계속 주었다. 엄마로서 선생님이 특수아동에 대한 편견이 있는 것 같아 야속한 마음도 들었다. 일반아동이 저지른 실수는 그 나이에 할 수 있는 당연한 일인데 우석이의 실수는 문제행동으로 보이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 때문이었다. 그러나 그 시간만큼은 선생님께 믿고 교육을 맡겼기에, 또한 봉사 희생정신이 아니면 우리 아이들을 보실 수 없는 직업임을 알기에 인내하였다. 그런 여러 과정들을 겪으면서 다행히도 우석은 어린이집에서는 선생님 말씀 잘 듣고 친구들과 원만하게 지내고 있다.
목련 통합학교의 우석이의 예에서 보듯이 제대로 된 통합 교육의 효과는 상당하다. 그러나 이것은 여러 전제들이 이루어져 있어야 가능한 성공이다.
단지 장애학생을 단순히 일반학교에 물리적으로 배치하는 차원의 통합에서 벗어나 장애학생의 일반학교에의 동등한 구성원 자격이 강조되고,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사이의 사회적 관계 형성에 관심을 두며 개별학생에게 최선의 적합한 교육프로그램을 특수교육, 일반교육의 양측에서 함께 마련해 주는 것으로 통합의 관점이 달라져야 할 것이다.
3. 結-바람직한 특수 교육을 위한 방안
특수 교육을 크게 통합교육과 특수학교로 구분해 보았지만 사실 우리나라에서 적용되고 있는 어느 특수 교육도 그 중간 즈음의 단계인 과도기를 거치고 있다. 통합교육도 완전한 형태의 일반학급에서의 교육이기보다는 일반 학교의 특수학급에서 교육을 받고 일정 수업만을 통합수업을 받는 시간제 통합수업이 대부분이고 특수학교에서도 일반학교와의 교류를 통해 순환 교육을 실시, 특수학교학생도 일반학교 학생과 같이 수업을 받고 활동하는 등의 모습을 보임으로써 어느 쪽에 치우치지 않고 나름의 단점을 보완하려는 시도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 우리의 교육 현실은 자폐아동, 나아가 장애아동이 적절한 교육을 받고 성장하기엔 부족하기 그지없다. 바람직한 특수 교육을 위해 어떤 점이 필요한지 다음에서 살펴보도록 한다.
우리 현실에서 특수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선 역시 특수교육 예산의 확충이 우선 되어야 한다. 특수교육은 교육 시설, 특수교사, 특수교육 보조원의 확충과 투자에 적지 않은 돈이 들어가는 만큼 그에 필요한 예산은 필수적이다. 각급 학교에서는 특수교사나 교장, 교감 외에도 전 교원에게 장애아동을 위한 특수 교육에 대한 연수를 반드시 받도록 하고 적극 감독하여야 한다. 또한 일반 학생들에게도 초등학교 입학 때부터 장애아동에 대한 교육을 의무적으로 받게 하여 장애와 장애아에 대한 올바른 사회적 인식을 가지고 적절히 행동 할 수 있게 지도하여야 한다. 또 장애아동의 가족의 교육에도 적극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자폐아 그리고 장애인과 그 가족에게 가장 힘든 점은 역시 사회적 냉대 무관심, 기피이다. 아이들뿐 아니라 일반 사회인 전체에 켐페인, 홍보와 꾸준한 교육으로 사회 전반적으로 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시각과 가치관을 가질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목련 통합학교의 우석이의 예에서 보듯이 제대로 된 통합 교육의 효과는 상당하다. 그러나 이것은 여러 전제들이 이루어져 있어야 가능한 성공이다.
단지 장애학생을 단순히 일반학교에 물리적으로 배치하는 차원의 통합에서 벗어나 장애학생의 일반학교에의 동등한 구성원 자격이 강조되고,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사이의 사회적 관계 형성에 관심을 두며 개별학생에게 최선의 적합한 교육프로그램을 특수교육, 일반교육의 양측에서 함께 마련해 주는 것으로 통합의 관점이 달라져야 할 것이다.
3. 結-바람직한 특수 교육을 위한 방안
특수 교육을 크게 통합교육과 특수학교로 구분해 보았지만 사실 우리나라에서 적용되고 있는 어느 특수 교육도 그 중간 즈음의 단계인 과도기를 거치고 있다. 통합교육도 완전한 형태의 일반학급에서의 교육이기보다는 일반 학교의 특수학급에서 교육을 받고 일정 수업만을 통합수업을 받는 시간제 통합수업이 대부분이고 특수학교에서도 일반학교와의 교류를 통해 순환 교육을 실시, 특수학교학생도 일반학교 학생과 같이 수업을 받고 활동하는 등의 모습을 보임으로써 어느 쪽에 치우치지 않고 나름의 단점을 보완하려는 시도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 우리의 교육 현실은 자폐아동, 나아가 장애아동이 적절한 교육을 받고 성장하기엔 부족하기 그지없다. 바람직한 특수 교육을 위해 어떤 점이 필요한지 다음에서 살펴보도록 한다.
우리 현실에서 특수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선 역시 특수교육 예산의 확충이 우선 되어야 한다. 특수교육은 교육 시설, 특수교사, 특수교육 보조원의 확충과 투자에 적지 않은 돈이 들어가는 만큼 그에 필요한 예산은 필수적이다. 각급 학교에서는 특수교사나 교장, 교감 외에도 전 교원에게 장애아동을 위한 특수 교육에 대한 연수를 반드시 받도록 하고 적극 감독하여야 한다. 또한 일반 학생들에게도 초등학교 입학 때부터 장애아동에 대한 교육을 의무적으로 받게 하여 장애와 장애아에 대한 올바른 사회적 인식을 가지고 적절히 행동 할 수 있게 지도하여야 한다. 또 장애아동의 가족의 교육에도 적극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자폐아 그리고 장애인과 그 가족에게 가장 힘든 점은 역시 사회적 냉대 무관심, 기피이다. 아이들뿐 아니라 일반 사회인 전체에 켐페인, 홍보와 꾸준한 교육으로 사회 전반적으로 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시각과 가치관을 가질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