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를 사용한다는 윤리적이고 종교적인 문제와 필요양의 태아뇌 취득의 곤란성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제기 되기 때문에 적절한 대체방책이 필요하다.
나의 연구실에서는 이런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불사화 인간신경 줄기세포
HB1에 티로신(tyrosine) 수산화효소 유전자와 GTP-사이크로 가수산화효소 유전자를 전입하
여 HB1.TH.GTP세포라인을 작성하였다. 이 세포라인은 도파민을 활발히 생산하며 파킨
슨병모델 랏트에 이식하였던봐 4-12주 뒤에 운동장해가 크게 개선 되었다. 나의 연구실
과 국내외 협력연구팀에서는 한팅톤병, 뇌졸중, 척수 측색경화증, 소아 뮤코폴리삭카리
드증(mucopolysaccharidosis)의 동물모델에 HB1인간신경 줄기세포를 뇌이식 하여 임상증
세가 개선 되었고 병의 진행을 정지 시키는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 불사화 신경 줄
기세포의 뇌이식이 가지는 장점은 유전자 도입이 쉬웁게 이루어진다는 점인데 유전변
이 나 유전자결손에 의하여 신경계에 필수적인 단백질이 결핍되는 질환, 선천성 대사이
상으로 이상 단백질이나 당단백질이 뇌속에 축적 되는 라이소솜 축적증에서는 필요한
유전자를 도입한 신경 줄기세포를 뇌이식하여 임상경과를 개선할 수가 있다.
8. 결 론
최근 신경 줄기세포의 배양법 및 분화기전 진보 그리고 동물모델에서의 뇌이식의 성
공에 의해서 신경 줄기세포 응용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신경 줄기세포를 뇌의
질병부위에 이식하여 뇌세포의 재생을 이룩하고 신경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이 세포대
체요법과 유전자 치료법의 최종 목적이 된다. 불사화 인간신경 줄기세포를 사용하는 우
리연구세포에서는 이러한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위하여 인간신경 줄기세포의 분화기전
연구, 동물모델에서의 뇌이식연구를 중심으로 최첨단 과학(cutting edge of biomedical
science)인 줄기세포연구 분야에서 앞으로도 노력을 경주할 것이다.
이글에서 인용한 본연구실의 연구성과는 한국과학재단. 과기부지정 우수연구센터인
아주의대 뇌질환 연구센터에서 수행된 과제이다.
참 고 문 헌
Cho T, Bae JH, Choi HB, Kim SS, McLarnon JG, Suh-Kim H, Kim SU, Min CK. Human neural
stem cells: electrophysiological properties of voltage-gated ion channels. Neuroreport, 2002, 13,
여러가지 문제점이 제기 되기 때문에 적절한 대체방책이 필요하다.
나의 연구실에서는 이런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불사화 인간신경 줄기세포
HB1에 티로신(tyrosine) 수산화효소 유전자와 GTP-사이크로 가수산화효소 유전자를 전입하
여 HB1.TH.GTP세포라인을 작성하였다. 이 세포라인은 도파민을 활발히 생산하며 파킨
슨병모델 랏트에 이식하였던봐 4-12주 뒤에 운동장해가 크게 개선 되었다. 나의 연구실
과 국내외 협력연구팀에서는 한팅톤병, 뇌졸중, 척수 측색경화증, 소아 뮤코폴리삭카리
드증(mucopolysaccharidosis)의 동물모델에 HB1인간신경 줄기세포를 뇌이식 하여 임상증
세가 개선 되었고 병의 진행을 정지 시키는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 불사화 신경 줄
기세포의 뇌이식이 가지는 장점은 유전자 도입이 쉬웁게 이루어진다는 점인데 유전변
이 나 유전자결손에 의하여 신경계에 필수적인 단백질이 결핍되는 질환, 선천성 대사이
상으로 이상 단백질이나 당단백질이 뇌속에 축적 되는 라이소솜 축적증에서는 필요한
유전자를 도입한 신경 줄기세포를 뇌이식하여 임상경과를 개선할 수가 있다.
8. 결 론
최근 신경 줄기세포의 배양법 및 분화기전 진보 그리고 동물모델에서의 뇌이식의 성
공에 의해서 신경 줄기세포 응용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신경 줄기세포를 뇌의
질병부위에 이식하여 뇌세포의 재생을 이룩하고 신경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이 세포대
체요법과 유전자 치료법의 최종 목적이 된다. 불사화 인간신경 줄기세포를 사용하는 우
리연구세포에서는 이러한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위하여 인간신경 줄기세포의 분화기전
연구, 동물모델에서의 뇌이식연구를 중심으로 최첨단 과학(cutting edge of biomedical
science)인 줄기세포연구 분야에서 앞으로도 노력을 경주할 것이다.
이글에서 인용한 본연구실의 연구성과는 한국과학재단. 과기부지정 우수연구센터인
아주의대 뇌질환 연구센터에서 수행된 과제이다.
참 고 문 헌
Cho T, Bae JH, Choi HB, Kim SS, McLarnon JG, Suh-Kim H, Kim SU, Min CK. Human neural
stem cells: electrophysiological properties of voltage-gated ion channels. Neuroreport, 2002, 1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