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 교조와 역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음을 결정하지 못하고 머뭇거리며 의심하는 마음,
탐욕은 지나친 욕심,
나(懶)는 게으른 마음,
우(愚)는 어리석은 마음이다. 불신·탐욕·나·우는 삼학 수행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버려야 할 것이라 하여 사연 4조라 한다.
⑹ 사대강령 ‥ 원불교의 교리를 종합해서 교리실천의 방향을 네가지
로 제시한 것으로서, 정각정행·지은보은·불법활용·무아봉공을 말한다.
정각정행은 일원상의 진리를 바르게 깨닫고 일상생활에 그대로 활용하려는 것이다.
지은 보은은 사은의 큰 은혜를 발견하고 깨달아서 감사 보은생활을 하려는 것이다.
불법활용은 소태산 대종사와 모든 성현들의 가르침을 믿어서 일상생활에 실천하려는 것이다.
무아봉공은 참 나·큰 나를 발견하여 보은 봉공생활을 하려는 것이다.
정각정행을 실천하면 부처님과 같이 큰 지혜를 갖추게 되고, 지행합일·신행일치의 도덕세계가 건설된다.
지은보은을 실천하면 상생상화·상부상조하는 평등세계가 건설된다.
불법활용을 실천하면 일원상의 진리를 일상생활에 활용하여 부처님의 은혜가 가득찬 불국정토가 건설된다.
무아봉공을 실천하면 헌신 봉공하는 성현정신을 회복하게 되고, 서로 남을 위해 헌신 봉사하는 아름다운 세계가 건설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21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