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미술치료의 이해 및 미술치료란 무엇인가?
본문내용
테두리법, 난화 이야기법, 콜라주법, 역할 교환법, 색채선택법, 갈겨 그리기법, 그림완성법, 이미지 묘화법, 자아감각발달법, 감정차트 만들기, 과거, 현재, 미래 나타내기법, 생활선 그리기, 잡지 콜라주법, 그림대화법, 집단만다라 벽화그리기법, 만다라 그리기, 핑거페인팅, 조소활동법, 동물가족화, 동물자화상 그리기, 난화와 콜라주 합쳐 표현하기, 삼각관계 그리기, 가계도 그리기, 자기집 평면도 그리기 등
(1) 동적가족화
- “너를 포함한 너의 가족 모두가 무엇인가 하고 있는 그림을 그려보자. 만화나 움직이지 않고 서 있는 사람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가족들이 무엇인가 하고 있는 장면을 그려야 한다. 가족들이 어떤 종류의 활동을 하고 있는 그림을 그려야 한다.”
▷ 다섯 개의 요소에 따라 해석
① 인물상의 행위
- 가족구성원간의 상호작용측면
- 각 인물상의 행위를 중심으로 가족 내 역할유형
② 양식
- 가족관계에서 자기의 감정과 상태, 신뢰감을 나타냄
- 일반양식: 복잡한 혹은 명백한 장벽을 나타내지 않고 온화한 우호적인 상호관계를 암시하는 그림을 그림
- 구분: 직선이나 곡선을 사용하여, 그림에서 인물들을 의도적으로 분리
- 포위: 인물을 어떤 사물이나 선으로 둘러싸는 경우, 주로 책상, 그네, 줄넘기, 자동차 등으로 교묘히 표현되는 경우가 많음
- 가장자리: 방어적, 회피, 저항
- 인물하선: 불안감
- 상부의 선: 날카로운 불안, 산만한 걱정, 공포
- 하부의 선: 구조 받고 싶은 욕구
③ 상징
▷ 보편적으로 발견되는 사물과 거기에 공통된 임상적 의미: p255
④ 역동성
- 가족 간의 감정을 용지의 전체적 맥락에서 파악할 수 있는 영역
- 인물묘사의 순위, 인물상의 위치, 인물상의 크기, 인물상 간의 거리, 인물상의 얼굴의 방향, 인물상의 생략, 타인의 묘사 등
⑤ 인물상의 특징
- 음영이나 갈기기, 윤곽선 형태, 신체 부분의 과장, 신체 부분의 생략, 얼굴 표정, 의복의 장식, 회전 된 인물상, 정교한 묘사, 필압
(2) 동물가족화
- 가족관계에서 아동의 정서적 상태를 평가
- 가족구성원의 역할과 역동성 파악을 위해 사용
(3) 동적학교화
- 아동의 학교, 교사, 다른 학생들에 대한 태도, 사고, 그리고 감정들을 변화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중 재도구로써 사용
(4) 신체도식과 자아감의 척도로서의 인물화검사
- 가장 기본이 되는 그림심리검사
- 도화지 한 장을 제시하고 전신사의 사람 모습을 그리라고 함
- 남녀 상에 관한 지시는 하지 않음
- 한 장의 그림이 완성되면 다른 종이를 주면서 그 그림과 반대 성의 인물을 그리라고 함
▷인물화에 나타낸 특징의 의미: p264
▷ 20명의 전문가에게 노이로제 내담자, 정신장애자, 정신분열증자, 동성연애자, 관리대상자 등의 그림을 평가하도록 함: 전문가들은 단지 정신장애자의 그림만을 가려냄
- 그림 검사는 결코 그것만으로 진단용으로 사용해서는 안됨
(5) 나무그림검사
- 나무는 자기상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며 무의식적으로 느끼고 있는 자기 자신의 모습을 나타낸다는 가정에서 출발
- 장점: 피험자의 거부감이 적고 기록이 남아서 발달이나 치료과정을 검토하는데 가치가 있음
- 단점: 실시는 간단하지만 해석하는 데 연령변인이 고려되어야 하고 문화적 차이 때문에 상징적 의미의 기계적 적용은 피해야 한다는 것
- HTP검사의 일부로 실시하고, 심리검사의 보조검사로 사용되고 있음
(6) 집-나무-사람 검사
- 자신과 환경에 대한 내면적 관점을 반영하기 때문에 아동 자신과 아동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
- 사전-사후 검사에도 유용
- 네 장의 종이
- “집을 그리세요.”(가로), “나무를 그리세요.”(세로), “사람을 그리세요.”(세로), “다른 성을 그리세요.”(세로)
▷ KHTP: A4크기 종이를 가로로 제시하면서 “여기에 집, 나무, 그리고 어떤 행동을 하는 사람의 전체 모습을 그리시오. 사람의 전체 모습을 그릴 때 만화 혹은 막대 인물상으로 그리지 마세요.” 라고 지시
- 집: 개인 현실을 반영, 가정에 대한 태도나 부모, 현제와의 관계를 반영
- 나무: 개인의 성장과정을 표현, 심층적이고 지속적이며 무의식적인 감정과 갈등을 투사
- 인물: 자아상과 밀접한 관계
- 진단목적: 연필, 종이만을 사용
- 치료목적: 색칠
(7) 신체윤곽 그리기
- “너는 이것이 누가 되기를 원하니?”
- 자아관, 타인관, 세계관에 대한 단서를 제공
- 좋아하는 장소, 다른 사람, 애완동물 등을 추가해서 그릴 것을 제안할 수 있음
(8) 만화
- 두려움, 걱정, 고통을 그림
- 만화도우미가 아동에게 줄 선물, 즉 문제를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전환시켜 줄 수 있는 것을 그림
- 모든 것이 좋아진 후 에는 문제가 어떻게 보이는 지를 그림
(9) 감정표현하기
▷ 감정 미술: 두려움을 지우는 게임, 아동이 느끼는 감정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주기 위해 사용
- “나는 …을 두려워한다”라는 빈칸을 채우는 문장을 쓰도록 함, 밑줄 친 것을 지우도록 하고, 그리고 그 종이를 구김
- “나는 두려워한다”를 쓰게 하고 “두려워한다”를 지우고 나서 그 종이를 구김
- “나는”을 쓰도록 하고 “는”을 지우고 그 종이를 구김
- “나”를 쓰게 하고 그 단어 주위에 원을 그림. 두 눈과 미소를 그림
▷ 감정차트 만들기
- 아동이 자신의 정서를 색채와 연결시키도록 도움
(10) 기타 기법들
- 자유화: 스스로 그리고 싶은 것을 결정하여 그리는 방법, 색채 사용, 선과 형태, 공간 이용과 형태, 내용을 분석
- 과제화법: 과제를 미리 주고 그리게 함
- 상상화 그리기: 한 장의 종이에 전혀 주제를 주지 않고 상상화를 그리게 하고, 또 다른 한 장에는 사람, 태양, 집 등 세 가지의 내용이 있는 상상화를 그리게 함
- 풍경구성법
- 테두리법: 용지에 테두리를 그어서 건네주는 방법
- 협동화법
- 난화게임법
- 만다라 그리기
- 콜라주 기법: 표현이 쉽고 그리는 것보다 정확한 감정전달이 우수하나, 선택할 수 있는 사진매체가 많아야 함
(1) 동적가족화
- “너를 포함한 너의 가족 모두가 무엇인가 하고 있는 그림을 그려보자. 만화나 움직이지 않고 서 있는 사람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가족들이 무엇인가 하고 있는 장면을 그려야 한다. 가족들이 어떤 종류의 활동을 하고 있는 그림을 그려야 한다.”
▷ 다섯 개의 요소에 따라 해석
① 인물상의 행위
- 가족구성원간의 상호작용측면
- 각 인물상의 행위를 중심으로 가족 내 역할유형
② 양식
- 가족관계에서 자기의 감정과 상태, 신뢰감을 나타냄
- 일반양식: 복잡한 혹은 명백한 장벽을 나타내지 않고 온화한 우호적인 상호관계를 암시하는 그림을 그림
- 구분: 직선이나 곡선을 사용하여, 그림에서 인물들을 의도적으로 분리
- 포위: 인물을 어떤 사물이나 선으로 둘러싸는 경우, 주로 책상, 그네, 줄넘기, 자동차 등으로 교묘히 표현되는 경우가 많음
- 가장자리: 방어적, 회피, 저항
- 인물하선: 불안감
- 상부의 선: 날카로운 불안, 산만한 걱정, 공포
- 하부의 선: 구조 받고 싶은 욕구
③ 상징
▷ 보편적으로 발견되는 사물과 거기에 공통된 임상적 의미: p255
④ 역동성
- 가족 간의 감정을 용지의 전체적 맥락에서 파악할 수 있는 영역
- 인물묘사의 순위, 인물상의 위치, 인물상의 크기, 인물상 간의 거리, 인물상의 얼굴의 방향, 인물상의 생략, 타인의 묘사 등
⑤ 인물상의 특징
- 음영이나 갈기기, 윤곽선 형태, 신체 부분의 과장, 신체 부분의 생략, 얼굴 표정, 의복의 장식, 회전 된 인물상, 정교한 묘사, 필압
(2) 동물가족화
- 가족관계에서 아동의 정서적 상태를 평가
- 가족구성원의 역할과 역동성 파악을 위해 사용
(3) 동적학교화
- 아동의 학교, 교사, 다른 학생들에 대한 태도, 사고, 그리고 감정들을 변화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중 재도구로써 사용
(4) 신체도식과 자아감의 척도로서의 인물화검사
- 가장 기본이 되는 그림심리검사
- 도화지 한 장을 제시하고 전신사의 사람 모습을 그리라고 함
- 남녀 상에 관한 지시는 하지 않음
- 한 장의 그림이 완성되면 다른 종이를 주면서 그 그림과 반대 성의 인물을 그리라고 함
▷인물화에 나타낸 특징의 의미: p264
▷ 20명의 전문가에게 노이로제 내담자, 정신장애자, 정신분열증자, 동성연애자, 관리대상자 등의 그림을 평가하도록 함: 전문가들은 단지 정신장애자의 그림만을 가려냄
- 그림 검사는 결코 그것만으로 진단용으로 사용해서는 안됨
(5) 나무그림검사
- 나무는 자기상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며 무의식적으로 느끼고 있는 자기 자신의 모습을 나타낸다는 가정에서 출발
- 장점: 피험자의 거부감이 적고 기록이 남아서 발달이나 치료과정을 검토하는데 가치가 있음
- 단점: 실시는 간단하지만 해석하는 데 연령변인이 고려되어야 하고 문화적 차이 때문에 상징적 의미의 기계적 적용은 피해야 한다는 것
- HTP검사의 일부로 실시하고, 심리검사의 보조검사로 사용되고 있음
(6) 집-나무-사람 검사
- 자신과 환경에 대한 내면적 관점을 반영하기 때문에 아동 자신과 아동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
- 사전-사후 검사에도 유용
- 네 장의 종이
- “집을 그리세요.”(가로), “나무를 그리세요.”(세로), “사람을 그리세요.”(세로), “다른 성을 그리세요.”(세로)
▷ KHTP: A4크기 종이를 가로로 제시하면서 “여기에 집, 나무, 그리고 어떤 행동을 하는 사람의 전체 모습을 그리시오. 사람의 전체 모습을 그릴 때 만화 혹은 막대 인물상으로 그리지 마세요.” 라고 지시
- 집: 개인 현실을 반영, 가정에 대한 태도나 부모, 현제와의 관계를 반영
- 나무: 개인의 성장과정을 표현, 심층적이고 지속적이며 무의식적인 감정과 갈등을 투사
- 인물: 자아상과 밀접한 관계
- 진단목적: 연필, 종이만을 사용
- 치료목적: 색칠
(7) 신체윤곽 그리기
- “너는 이것이 누가 되기를 원하니?”
- 자아관, 타인관, 세계관에 대한 단서를 제공
- 좋아하는 장소, 다른 사람, 애완동물 등을 추가해서 그릴 것을 제안할 수 있음
(8) 만화
- 두려움, 걱정, 고통을 그림
- 만화도우미가 아동에게 줄 선물, 즉 문제를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전환시켜 줄 수 있는 것을 그림
- 모든 것이 좋아진 후 에는 문제가 어떻게 보이는 지를 그림
(9) 감정표현하기
▷ 감정 미술: 두려움을 지우는 게임, 아동이 느끼는 감정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주기 위해 사용
- “나는 …을 두려워한다”라는 빈칸을 채우는 문장을 쓰도록 함, 밑줄 친 것을 지우도록 하고, 그리고 그 종이를 구김
- “나는 두려워한다”를 쓰게 하고 “두려워한다”를 지우고 나서 그 종이를 구김
- “나는”을 쓰도록 하고 “는”을 지우고 그 종이를 구김
- “나”를 쓰게 하고 그 단어 주위에 원을 그림. 두 눈과 미소를 그림
▷ 감정차트 만들기
- 아동이 자신의 정서를 색채와 연결시키도록 도움
(10) 기타 기법들
- 자유화: 스스로 그리고 싶은 것을 결정하여 그리는 방법, 색채 사용, 선과 형태, 공간 이용과 형태, 내용을 분석
- 과제화법: 과제를 미리 주고 그리게 함
- 상상화 그리기: 한 장의 종이에 전혀 주제를 주지 않고 상상화를 그리게 하고, 또 다른 한 장에는 사람, 태양, 집 등 세 가지의 내용이 있는 상상화를 그리게 함
- 풍경구성법
- 테두리법: 용지에 테두리를 그어서 건네주는 방법
- 협동화법
- 난화게임법
- 만다라 그리기
- 콜라주 기법: 표현이 쉽고 그리는 것보다 정확한 감정전달이 우수하나, 선택할 수 있는 사진매체가 많아야 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