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회와 수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국(1983)교수의 분류를 살펴보자.
(1) 수형(手形)

의미 있는 위치에서 의미 있는 운동을 하는 한 손 또는 두 손의 결합 구도를 수형이라 하고 한국 수화에는 수형이 30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2) 수위(手位)

수화 행동의 위치 표식으로서 의미있는 결합 구도 즉 수형이 의미있는 운동을 하는 위치를 수위(手位)라 하고 한국 수화에는 23개가 있다.
(3) 수동(手動)

수화 행동의 운동 성분 또는 시상(時相)으로서 특히 의미있는 위치에서 하는 의미있는 결합 구도 즉 수형의 운동(SIG)를 수동이라 하고, 한국 수화에는 36개의 수동소가 있다.
(4) 수향(手向)

수형.수위.수동만이 수화의 시각적인 변별 단위가 되는 것이 아니라 손바닥 또는 손등과 손가락의 방향도 수화의 시각적인 변별 단위가 되는데 수화의 수향은 손바닥의 10개 방향과 손가락의 10개 방향으로 모두 20개가 있다고 한다.
(5) 체동(體動)

수화 기호 중에는 손이나 손가락 이외에 다른 신체 부위의 동작을 취해 보이는 기호가 있다. 손이나 손가락이 아닌 다른 신체 부위의 동작을 체동이라 하고, 이러한 동작은 20가지가 있으며 수화의 일부 기호에만 내포되어 있다고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26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