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되는데 이것은 휴대가 '가능한 팩스'이다. 문자통신 외에 증권투자 정보나 연예정보, 뉴스 등을 단말기를 통해 입수할 수 있어 농아인의 정보장애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2) 자막수신기디코더 내장형의 경우는 고가이기 때문에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방식은 외장형이며, 미국 수출용 TV에는 의무적으로 영문 캡션용 디코더가 내장되어 있다.(3) 깜박불초인종을 누르거나 전화가 왔을 경우 깜박불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기기이다. 이 깜박불은 보는 문화로 특징지어질 수 있는 농문화의 상징물로 꼽힌다. 그러나 환한 대낮이나 잠들어 있을 때에는 깜박불 신호가 소용이 없으므로 진동장치를 사용하거나 초인종 소리에 반응하도록 조련시킨 애완견을 기르는 방법이 강구될 수 있다.(4) 진동식 시계손목 시계 형태로 개발된 진동식 시계이다. 청인의 자명종 시계와 같은 역할을 한다.
8. 수어와 농문화와의 관계
1) 농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정체성 이론(social identity theory)에서는 사람은 자신의 사회적 정체성에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 무리에 소속되려고 한다고 한다. 그래서 개인이 다수 문화로 이동하여 다수 문화에 적응하고 그곳에서 정체성을 찾으려 하는 경우(individual mobility)와, 자신이 소속된 소속 문화에 적응하고 다수 문화와 차별화 하여 정체성을 찾으려 하는 경우(social change)의 두 가지 전략이 있다고 한다.농아인의 경우에서 보면 전자에서는 보청기와 인공와우와 같은 기기를 통해 잔존청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문화적으로 청인정체성을 갖으려 하는 경우로 학문적이고 직업적인 성취를 중시하는 경우이다. 후자의 경우는 문화적으로 농인정체성을 갖는 경우로 수어를 사용하고 사회적, 시민적, 정치적인 기구에 참여하는 것을 중시하는 경우이다. 다른 경우의 농인정체성도 있는데 이중문화적인 정체성을 지닌 경우로 청인사회에서 직업적으로 성공한 사람이 농인문화에 참여하여 청인정체성과 농인정체성을 모두 지닌 경우이다.이와 같이 비슷한 청력손실이 있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다양한 정체성을 지니는 것은 환경의 영향과 본인의 개성의 영향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이 가질 수 있는 환경적 영향으로는 가족환경과 학교환경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가족환경의 경우는 부모의 청력손실 유무, 부모와 아동의 의사소통 양식이라 할 수 있다. 부모가 청인인 경우 농아유아를 장애를 지닌 사람으로 보고 구어의사소통 양식을 가르치려 할 것이다. 그러나 부모가 농인 경우에는 비교적 쉽게 농자녀를 인정하며 구어적인 의사소통 방식을 자녀에게 강요하지 않는다. 오히려 수어를 통한 의사소통으로 농유아의 정서적 안정을 꾀할 확률이 높다. 학교환경은 농아동이 농학교에 입학하느냐 일반학교에 입학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농학교에 입학하는 경우는 농을 문화로 받아들일 확률이 높지만 일반학교에 입학했을 경우에는 농을 불능으로 받아들일 확률이 높다. 한편 본인 개성에 의해 정체성이 변하는 경우도 있는데 최근에는 대부분의 농아동이 이중문화적인 정체성을 지니며 통합교육이 강조되고 농학생이 일반학급에 더 많이 입급될 수록 더 많은 학생이 이중문화적인 정체성을 지닐 것이다.농정체성은 자기 존중감과 관련이 깊다. 강한 정체성과 소속감을 보이는 경우 더 높은 자기 존중감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문화적으로 농정체성 또는 이중문화 정체성을 지닌 농아동이 청인 정체성을 지닌 농아동보다 더 높은 자기 존중감을 가진다고 가정할 수 있다.Bat-Chava(2000)는 문화적인 네 가지 정체성(농, 청인, 이중문화, 부정적 정체성)과 가족과 학교환경, 자기 존중감과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267명의 농성인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위 네 정체성은 학교환경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문화적으로 농이거나 부정적인 정체성(농지향이나 청인지향 모두가 아닌 정체성)을 지닌 학생이 청인 또는 이중문화 정체성을 지닌 학생보다 농학교에 더 많이 다니고 있었다.둘째, 위 네 정체성은 농이 된 연령과 보청기를 통한 청력상태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문화적으로 농인 집단은 이중문화 집단보다 생활연령이 높았고 문화적으로 청인 집단은 문화적으로 농인 집단보다 최근에 농이 된 경우였고, 청력이 좋을수록 청인집단이나 이중문화 집단에 소속되어 있었다.셋째, 위 네 정체성은 성(性)이나 보청기를 끼지 않은 청력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넷째, 위 네 정체성은 가족의 농 지향성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다섯째, 위 네 정체성은 자기 존중감과 다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7). 즉 문화적으로 농인 정체성과 이중 문화 정체성을 지닌 사람은 다른 경우의 사람보다 더 높은 자기 존중감을 가졌다.여섯째, 정체성의 변화는 남자보다는 여자가 많았는데 이와 같은 이유는 아마도 여자가 남자보다 스트레스를 주는 요인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일 것이다.
2) 수어와 농문화
농학생은 성장하면서 농문화의 영향을 받거나 농문화로 흡수된다. 청각장애 유아는 부모와의 관계에서 성장하면서 점차 또래와의 관계로 확장하고 나아가 교사와의 관계를 통해 의사소통을 시작하게 된다. 이러한 성장과정에서 농아 유아의 의사소통 방법은 두 문화에서 하나만을 선택하게 된다. 즉 청인 중심의 언어와 사고에 머물게 되든지 또한 청각장애인 중심의 언어와 사고에 머물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청인 중심의 언어와 사고에 머물렀던 농아동이 성장을 하면서 점차 농아인 중심의 언어와 사고로 전환되는 독특한 현상이 나타난다(최성규, 1999). 이와 같은 이유로 농아인이 성장하면서 수어의 필요성을 더욱 많이 느끼게 된다.최근에 수어와 농문화는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농문화가 성숙하기 위해서는 농인의 언어인 수어의 학문적인 정립과 함께 수어의 통일과 올바른 조어가 이루어 져야 한다. 또한 농사회를 주도할 수 있는 농아인의 성공적인 사례가 많이 발굴되고 동기부여가 되는 농사회 내부의 과제도 성실히 수행해야 한다.
최근의 2Bi와 같은 인본주의적인 농교육의 패러다임의 이동과 인권을 중시하는 사회 조류의 영향으로 수어와 농문화는 모두 중요한 주제로 대두되고 있다.
8. 수어와 농문화와의 관계
1) 농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정체성 이론(social identity theory)에서는 사람은 자신의 사회적 정체성에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 무리에 소속되려고 한다고 한다. 그래서 개인이 다수 문화로 이동하여 다수 문화에 적응하고 그곳에서 정체성을 찾으려 하는 경우(individual mobility)와, 자신이 소속된 소속 문화에 적응하고 다수 문화와 차별화 하여 정체성을 찾으려 하는 경우(social change)의 두 가지 전략이 있다고 한다.농아인의 경우에서 보면 전자에서는 보청기와 인공와우와 같은 기기를 통해 잔존청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문화적으로 청인정체성을 갖으려 하는 경우로 학문적이고 직업적인 성취를 중시하는 경우이다. 후자의 경우는 문화적으로 농인정체성을 갖는 경우로 수어를 사용하고 사회적, 시민적, 정치적인 기구에 참여하는 것을 중시하는 경우이다. 다른 경우의 농인정체성도 있는데 이중문화적인 정체성을 지닌 경우로 청인사회에서 직업적으로 성공한 사람이 농인문화에 참여하여 청인정체성과 농인정체성을 모두 지닌 경우이다.이와 같이 비슷한 청력손실이 있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다양한 정체성을 지니는 것은 환경의 영향과 본인의 개성의 영향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이 가질 수 있는 환경적 영향으로는 가족환경과 학교환경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가족환경의 경우는 부모의 청력손실 유무, 부모와 아동의 의사소통 양식이라 할 수 있다. 부모가 청인인 경우 농아유아를 장애를 지닌 사람으로 보고 구어의사소통 양식을 가르치려 할 것이다. 그러나 부모가 농인 경우에는 비교적 쉽게 농자녀를 인정하며 구어적인 의사소통 방식을 자녀에게 강요하지 않는다. 오히려 수어를 통한 의사소통으로 농유아의 정서적 안정을 꾀할 확률이 높다. 학교환경은 농아동이 농학교에 입학하느냐 일반학교에 입학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농학교에 입학하는 경우는 농을 문화로 받아들일 확률이 높지만 일반학교에 입학했을 경우에는 농을 불능으로 받아들일 확률이 높다. 한편 본인 개성에 의해 정체성이 변하는 경우도 있는데 최근에는 대부분의 농아동이 이중문화적인 정체성을 지니며 통합교육이 강조되고 농학생이 일반학급에 더 많이 입급될 수록 더 많은 학생이 이중문화적인 정체성을 지닐 것이다.농정체성은 자기 존중감과 관련이 깊다. 강한 정체성과 소속감을 보이는 경우 더 높은 자기 존중감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문화적으로 농정체성 또는 이중문화 정체성을 지닌 농아동이 청인 정체성을 지닌 농아동보다 더 높은 자기 존중감을 가진다고 가정할 수 있다.Bat-Chava(2000)는 문화적인 네 가지 정체성(농, 청인, 이중문화, 부정적 정체성)과 가족과 학교환경, 자기 존중감과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267명의 농성인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위 네 정체성은 학교환경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문화적으로 농이거나 부정적인 정체성(농지향이나 청인지향 모두가 아닌 정체성)을 지닌 학생이 청인 또는 이중문화 정체성을 지닌 학생보다 농학교에 더 많이 다니고 있었다.둘째, 위 네 정체성은 농이 된 연령과 보청기를 통한 청력상태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문화적으로 농인 집단은 이중문화 집단보다 생활연령이 높았고 문화적으로 청인 집단은 문화적으로 농인 집단보다 최근에 농이 된 경우였고, 청력이 좋을수록 청인집단이나 이중문화 집단에 소속되어 있었다.셋째, 위 네 정체성은 성(性)이나 보청기를 끼지 않은 청력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넷째, 위 네 정체성은 가족의 농 지향성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다섯째, 위 네 정체성은 자기 존중감과 다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7). 즉 문화적으로 농인 정체성과 이중 문화 정체성을 지닌 사람은 다른 경우의 사람보다 더 높은 자기 존중감을 가졌다.여섯째, 정체성의 변화는 남자보다는 여자가 많았는데 이와 같은 이유는 아마도 여자가 남자보다 스트레스를 주는 요인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일 것이다.
2) 수어와 농문화
농학생은 성장하면서 농문화의 영향을 받거나 농문화로 흡수된다. 청각장애 유아는 부모와의 관계에서 성장하면서 점차 또래와의 관계로 확장하고 나아가 교사와의 관계를 통해 의사소통을 시작하게 된다. 이러한 성장과정에서 농아 유아의 의사소통 방법은 두 문화에서 하나만을 선택하게 된다. 즉 청인 중심의 언어와 사고에 머물게 되든지 또한 청각장애인 중심의 언어와 사고에 머물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청인 중심의 언어와 사고에 머물렀던 농아동이 성장을 하면서 점차 농아인 중심의 언어와 사고로 전환되는 독특한 현상이 나타난다(최성규, 1999). 이와 같은 이유로 농아인이 성장하면서 수어의 필요성을 더욱 많이 느끼게 된다.최근에 수어와 농문화는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농문화가 성숙하기 위해서는 농인의 언어인 수어의 학문적인 정립과 함께 수어의 통일과 올바른 조어가 이루어 져야 한다. 또한 농사회를 주도할 수 있는 농아인의 성공적인 사례가 많이 발굴되고 동기부여가 되는 농사회 내부의 과제도 성실히 수행해야 한다.
최근의 2Bi와 같은 인본주의적인 농교육의 패러다임의 이동과 인권을 중시하는 사회 조류의 영향으로 수어와 농문화는 모두 중요한 주제로 대두되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