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屬(붙을 속/이을 촉) 耳(귀 이) 垣(담 원) 牆(담 장)담장에도 귀가 있다는 말과 같이 경솔히 말하는 것을 조심하라.具(갖출 구) 膳(반찬 선) (밥 손) 飯(밥 반)반찬을 갖추고 밥을 먹으니適(마침 적) 口(입 구) 充(채울 충) 腸(창자 장)훌륭한 음식이 아니라도 입에 맞으면 배를 채운다.飽(배부를 포) (배부를 어) 烹(삶을 팽) 宰(재상 재)배부를 때에는 아무리 좋은 음식이라도 그 맛을 모른다.饑(주릴 기) 厭(싫을 염) 糟(재강 조) 糠(겨 강)반대로 배가 고플 때에는 겨와 재강도 맛있게 되는 것이다.親(친할 친) 戚(겨레 척) 故(연고 고) 舊(옛 구)친은 동성지친이고 척은 이성지친이요 고구는 오랜 친구를 말한다.老(늙을 로) 少(젊을 소) 異(다를 이) 糧(양식 량)늙은이와 젊은이의 식사가 다르다.妾(첩 첩) 御(모실 어) 績(길쌈 적) 紡(길쌈 방)남자는 밖에서 일하고 여자는 안에서 길쌈을 짜니라.侍(모실 시) 巾(수건 건) (장막 유) 房(방 방)유방에서 모시고 수건을 받드니 처첩이 하는 일이다.紈(흰비단 환) 扇(부채 선) 圓(둥글 원) 潔(깨끗할 결)흰 비단으로 만든 부채는 둥글고 깨끗하다.銀(은 은) 燭(촛불 촉) (빛날 위) 煌(빛날 황)은촛대의 촛불은 빛나서 휘황 찬란하다.晝(낮 주) 眠(잘 면) 夕(저녁 석) 寐(잘 매)낮에 낮잠 자고 밤에 일찍 자니 한가한 사람의 일이다.藍(쪽 람) 筍(죽순 순) 象(코끼리 상) 牀(상 상)=床푸른 대순과 코끼리 상이니 즉 한가한 사람의 침대이다.弦(줄 현) 歌(노래 가) 酒(술 주) (잔치 연)거문고를 타며 술과 노래로 잔치하니.接(이을 접) 杯(잔 배) 擧(들 거) 觴(잔 상)작고 큰 술잔을 서로 주고받으며 즐기는 모습이다.矯(바로잡을 교) 手(손 수) 頓(두드릴 돈) 足(발 족)손을 들고 발을 두드리며 춤을 춘다.悅(기쁠 열) 豫(미리 예) 且(또 차) 康(편안 강)이상과 같이 마음 편히 즐기고 살면 단란한 가정이다.嫡(정실 적) 後(뒤 후) 嗣(이을 사) 續(이을 속)적자된 자, 즉 장남은 뒤를 계승하여 대를 이룬다.祭(제사 제) 祀(제사 사) 蒸(찔 증) 嘗(맛볼 상)제사하되 겨울 제사는 증이라 하고 가을 제사는 상이라 한다.稽(조아릴 계) (이마 상) 再(둘 재) 拜(절 배)이마를 조아려 선조에게 두 번 절한다.悚(두려워할 송) 懼(두려워할 구) 恐(두려워할 공) 惶(두려워할 황)송구하고 공황하니 엄중, 공경함이 지극함이라.(3년상 이후의 제사시의 몸가짐이다.)(편지 전) 牒(편지 첩) 簡(편지 간) 要(중요 요)글과 편지는 간략함을 요한다.顧(돌아볼 고) 答(대답 답) 審(살필 심) 詳(자세할 상)편지의 회답도 자세히 살펴 써야 한다.骸(뼈 해) 垢(때 구) 想(생각할 상) 浴(목욕할 욕)몸에 때가 끼면 목욕하기를 생각하고.執(잡을 집) 熱(더울 열) 願(원할 원) 凉(서늘할 량)더우면 서늘하기를 원한다.驢(나귀 려) (노새 라) 犢(송아지 독) 特(특별 특)나귀와 노새와 송아지, 즉 가축을 말한다.駭(놀랄 해) 躍(뛸 약) 超(넘을 초) (달릴 양)뛰고 달리며 노는 가축의 모습을 말한다.誅(벨 주) 斬(벨 참) 賊(도적 적) 盜(도적 도)역적과 도적을 베어 물리침.捕(잡을 포) 獲(얻을 획) 叛(배반할 반) 亡(망할 망/없을 무)배반하고 도망하는 자를 잡아 죄를 다스린다.布(베 포) 射(쏠 사) 僚(벗 료) 丸(알 환)한나라 여포는 화살을 잘 쐈고 의료는 탄자를 잘 던졌다.(산이름 혜) 琴(거문고 금) 阮(악기 완) 嘯(휘파람 소)위국 혜강은 거문고를 잘 타고 완적은 휘파람을 잘 불었다.恬(편안 념) 筆(붓 필) 倫(인륜 륜) 紙(종이 지)진국 봉념은 토끼털로 처음 붓을 만들었고 후한 채윤은 처음 종이를 만들었다.鈞(고를 균) 巧(공교할 교) 任(맡길 임) 釣(낚시 조)위국 마균은 지남거를 만들고 전국시대 임공자는 낚시를 만들었다.釋(놓을 석) 紛(어지러울 분) 利(이로울/날카로울 리) 俗(풍속 속)이상 팔인의 재주를 다하여 어지러움을 풀어 풍속에 이롭게 하였다.竝(아우를 병) 皆(다 개) 佳(아름다울 가) 妙(묘할 묘)모두가 아름다우며 묘한 재주였다.毛(털 모) 施(베풀 시) 淑(맑을 숙) 姿(모양 자)모는 오의 모타라는 여자이고 시는 월의 시라는 여자인데 모두 절세 미인이었다.工(장인 공) (찡그릴 빈) 姸(고울 연) 笑(웃을 소)이 두 미인의 웃는 모습이 매우 곱고 아름다웠다.年(해 년) 矢(화살 시) 每(매양 매) 催(재촉 최)세월이 빠른 것을 말한다. 즉 살같이 매양 재촉하니曦(햇빛 희) 暉(빛날 휘) 朗(밝을 랑) 耀(빛날 요)태양 빛과 달빛은 온 세상을 비추어 만물에 혜택을 주고 있다.璇(구슬 선) 璣(구슬 기) 懸(달 현) 斡(빙빙돌 알)선기는 천기를 보는 기구이고 그 기구가 높이 걸려 도는 것을 말한다.晦(그믐 회) 魄(넋 백) 環(고리 환) 照(비칠 조)달이 고리와 같이 돌며 천지를 비치는 것을 말한다.指(손가락 지) 薪(섶나무 신) 修(닦을 수) 祐(복 우)불타는 나무와 같이 정열로 도리를 닦으면 복을 얻는다.永(길 영) 綏(편안 수) 吉(길할 길) (아름다울 소)그리고 영구히 편안하고 길함이 높으리라.矩(법 구) 步(걸음 보) 引(끌 인) 領(거느릴 령)걸음을 바로 걷고 따라서 얼굴도 바르니 위의가 당당하다.俯(굽을 부) 仰(우러를 앙) 廊(행랑 랑) 廟(사당 묘)항상 남묘에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머리를 숙여 예의를 지키라.束(묶을 속) 帶(띠 대) 矜(자랑 긍) 莊(씩씩할 장)의복에 주의하여 단정히 함으로써 긍지를 갖는다.徘(배회 배) 徊(배회 회) 瞻(쳐다볼 첨) 眺(바라볼 조)같은 장소를 배회하며 선후를 보는 모양이다.孤(외로울 고) 陋(더러울 루) 寡(적을 과) 聞(들을 문)하등의 식견도 재능도 없다.(천자문의 저자가 자기 자신을 겸손해서 말한 것이다.)愚(어리석을 우) 蒙(어릴 몽) 等(등급 등) (꾸짖을 초)적고 어리석어 몽매함을 면치 못한다는 것을 말한다.謂(이를 위) 語(말씀 어) 助(도울 조) 者(놈 자)어조라 함은 한문의 조사, 즉 다음 글자이다.焉(어찌 언) 哉(어조사 재) 乎(어조사 호) 也(어조사 야)‘언재호야’ 이 네 글자는 어조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