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교육 연구 방법론에 관한 고찰
Ⅰ. 들어서는 말
Ⅱ. 교육 연구 방법론 고찰
참고문헌
Ⅰ. 들어서는 말
Ⅱ. 교육 연구 방법론 고찰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제 확인가설과 연구 질문의 형성
b. 정보의 수집과 평가;정보를 수집하는 틀은 가설과 질문에 의지해서 필요한 정보를 수집한다.
① internal criticism (내부비판) : 타당성에 관한 질문, 역사적 사실을 있는 그대 로 기술하고 있는가에 관심
② external criticism (외부비판) ; 정보의 의미에 관해서, 누가 어떤 목적으로 작성한 연구 보고서인가에 관한 질문
연구문제 확인(가설과 연구 질문의 형성)
가설수정
정보의 수집 평가(외부비판, 내부비판)
분석, 해석, 결론, 가설,지지 또는 기각
가설과 질문의 재형성
정보의 종합 : 수집된 정보를 자기가 가지고 있는 밑그림에 의해서 종합하여 처음 가설과 정보가 맞지 않을 때 가설을 수정해가며 가설과 질문을 끊임없이 형성해간다.
분석, 해석 : 수집된 정보나 가설을 지지 또는 기각한다.
D. 민속지학 연구 방법론(Ethnographic research)1960년대말 H. Garfinkel은 영국을 중심으로 맥을 잇고 있는 상징적 상호작용론(symbolic interactionism)과 현상학(phenomenology)을 종합하여 민속지학 연구방법론으로 발전시켰다.;민속지학 연구방법론은 일상생활(everyday life)에서 일어나는 커뮤니케이션, 의사 결정, 합리성 그리고 행위에 대하여 사람들(ethno)이 어떻게 그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이루어 나아가는가 하는 방법들(method)을 경험적으로 조사 연구하는 학문(-logy)이라고 정의된다.;이 방법론은 질적인 방법으로서 결과보다 과정(process) 그 자체를 중요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은 세상의 지식뿐만 아니라 언어 해석적 행위, 상식적인 경험 구조 그리고 현상학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춘다 이들이 주로 사용하는 연구 방법은 참여 관찰(participatory observation), 현장 연구(action research), 면접(interview), 사례 연구(case study), 참여 연구(participatory research) 등이다.;민속지학 연구 방법론(ethnomethodology)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① 연구자가 기본적인 연구 도구가 된다.
② 탐구의 초점이 한 개의 연구 내용․주제 단위(unit) 별로 집약화된다.
③ 연구 대상 단위에서 야기되는 모든 사건, 상황, 조건들을 탐색 서술 설명한다.
④ 탐색과 기술은 ‘면접’과 ‘관찰’에 의존한다.
⑤ 연구자는 수집된 질적인 자료에 대해서만 서술 분석 해석하려는 경향이 강하다.참여관찰법은 바로 이 민속지학 연구 방법론의 주된 방법으로서 이것은 보다 많은 사례 연구를 장기간에 걸쳐서 해야 한다 이 때 일반적으로 교실의 상황을 참여 관찰에 의해 연구할 때에 생기는 단편성을 보충하기 위하여 만들어 낸 것이 구성적인 민속지(ethnography)이다. 참여연구법(participatory research)은 지역 사회 교육(community education) 이나 사회 교육(adult education) 분야에서 최근 많이 활용되고 있는 방법으로서 과거의 실천연구법(action research)이나 지역 사회 조직 방법(community organization)과 유사한 점이 많다 이것은 발전이나 문제 해결을 전제로 하며 연구 대상이 되는 지역 사회나 특정한 집단의 성원들을 연구에 직접 참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연구자는 해당 지역 사회 주민이나 집단 성원과 공동으로 연구 계획을 세우고 조사 연구를 추진하며 또한 그 결과를 분석하는 동시에 문제 해결의 방안을 자기들 스스로가 결정하고 해결해 나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참여 연구의 주체는 ‘외부 인사’ 즉 학자나 연구자가 아니라 주민 자신들이다.;지역 사회 주민들이 이러한 연구에 참여한다는 것은 이 자체가 학술 논문이나 정책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주민 자신들의 복지를 위한 연구이기 때문에 민속적인 집단 과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를 채택하는 주된 방법은 면접, 참여 관찰, 현장 답사, 단순한, 질문지 조사 및 문서 자료 분석이며 그런 결과를 처리하는 데에는 기술적이거나 간단한 통계를 사용할 따름이다.;사회적 상황 속에서 하나의 복잡한 사건을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설명하기 위해 기록할 때는 고도의 문자 해독력 뿐 아니라 그 기록이 이용되는 사회과학적 목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어떤 현상에 부딪혀 자연스러운 상태대로 기록하고 사회과학을 위한 현장조사 방법을 이론적 분석에 지각을 개념에 짜넣어 현상을 연구하는 방법이다.
1) 현상학적인 측면
현상학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연구되어지고 있는 현상에 대한 사전 가설은 피한다. 실제는 전체적으로 조망되어지고 수집된 자료 또는 경험으로부터 나온 이론으로 몇 개의 단위로 분석되거나 쪼개어질 수 없다.
2) 자연 발생적인 측면
연구가 이루어지는 사항이 실재이며 있는 그대로의 상황이다.
3) 진행
① 현상의 정의 : 현상을 찾는 순간이 포함되어 직접 눈으로 현장 조사를 한다.
② 피험자의(연구대상)의 정의 ; 실제를 잘 반영하는 정의
③ 가설(Hypothesis)도출 : 가설을 만드는 것과 과정은 언제나 수정 가능
④ 자료수집 - 현장에서 상호 작용하는 과정에서 적절한 양과 질의 자료 획득- 참여관찰 또는 관찰 중 선택, 가능 한 다양한 수집 방법이 동원됨- 면접 : 연구대상을 직접 인터뷰 - 삼각측량법 (Triangulation) :타당도를 측정하기 위해 역사연구에서 내부, 외부 비판에 해당- 참여 관찰과 심층 면접 방법등을 통해 문화를 기술하고 설명함에 있어서 그 기술이나 설명의 타당성은 연구자 한사람의 비판에 의한 것이 아니라 같은 문화권내의 구성원들이 갖는 의미가 일치할 때만 타당성을 가짐
⑤ 자료 해석의 단계
⑥ 결론 제시
참고문헌
김순택(1979), 교육 연구 문제의 설정, 서울:문종서관.
송인섭(1997), 연구방법론, 서울:상조사.
이영석(1985), 아동연구 방법론, 창지사.
정우현(1990), 교육사회학 연구, 서울:교육과학사.
한준상(1985), 교육사회학 이론과 연구 방법론, 서울:모음사.
허미화(1987), 질적 사례 연구법, 양서원.
b. 정보의 수집과 평가;정보를 수집하는 틀은 가설과 질문에 의지해서 필요한 정보를 수집한다.
① internal criticism (내부비판) : 타당성에 관한 질문, 역사적 사실을 있는 그대 로 기술하고 있는가에 관심
② external criticism (외부비판) ; 정보의 의미에 관해서, 누가 어떤 목적으로 작성한 연구 보고서인가에 관한 질문
연구문제 확인(가설과 연구 질문의 형성)
가설수정
정보의 수집 평가(외부비판, 내부비판)
분석, 해석, 결론, 가설,지지 또는 기각
가설과 질문의 재형성
정보의 종합 : 수집된 정보를 자기가 가지고 있는 밑그림에 의해서 종합하여 처음 가설과 정보가 맞지 않을 때 가설을 수정해가며 가설과 질문을 끊임없이 형성해간다.
분석, 해석 : 수집된 정보나 가설을 지지 또는 기각한다.
D. 민속지학 연구 방법론(Ethnographic research)1960년대말 H. Garfinkel은 영국을 중심으로 맥을 잇고 있는 상징적 상호작용론(symbolic interactionism)과 현상학(phenomenology)을 종합하여 민속지학 연구방법론으로 발전시켰다.;민속지학 연구방법론은 일상생활(everyday life)에서 일어나는 커뮤니케이션, 의사 결정, 합리성 그리고 행위에 대하여 사람들(ethno)이 어떻게 그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이루어 나아가는가 하는 방법들(method)을 경험적으로 조사 연구하는 학문(-logy)이라고 정의된다.;이 방법론은 질적인 방법으로서 결과보다 과정(process) 그 자체를 중요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은 세상의 지식뿐만 아니라 언어 해석적 행위, 상식적인 경험 구조 그리고 현상학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춘다 이들이 주로 사용하는 연구 방법은 참여 관찰(participatory observation), 현장 연구(action research), 면접(interview), 사례 연구(case study), 참여 연구(participatory research) 등이다.;민속지학 연구 방법론(ethnomethodology)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① 연구자가 기본적인 연구 도구가 된다.
② 탐구의 초점이 한 개의 연구 내용․주제 단위(unit) 별로 집약화된다.
③ 연구 대상 단위에서 야기되는 모든 사건, 상황, 조건들을 탐색 서술 설명한다.
④ 탐색과 기술은 ‘면접’과 ‘관찰’에 의존한다.
⑤ 연구자는 수집된 질적인 자료에 대해서만 서술 분석 해석하려는 경향이 강하다.참여관찰법은 바로 이 민속지학 연구 방법론의 주된 방법으로서 이것은 보다 많은 사례 연구를 장기간에 걸쳐서 해야 한다 이 때 일반적으로 교실의 상황을 참여 관찰에 의해 연구할 때에 생기는 단편성을 보충하기 위하여 만들어 낸 것이 구성적인 민속지(ethnography)이다. 참여연구법(participatory research)은 지역 사회 교육(community education) 이나 사회 교육(adult education) 분야에서 최근 많이 활용되고 있는 방법으로서 과거의 실천연구법(action research)이나 지역 사회 조직 방법(community organization)과 유사한 점이 많다 이것은 발전이나 문제 해결을 전제로 하며 연구 대상이 되는 지역 사회나 특정한 집단의 성원들을 연구에 직접 참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연구자는 해당 지역 사회 주민이나 집단 성원과 공동으로 연구 계획을 세우고 조사 연구를 추진하며 또한 그 결과를 분석하는 동시에 문제 해결의 방안을 자기들 스스로가 결정하고 해결해 나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참여 연구의 주체는 ‘외부 인사’ 즉 학자나 연구자가 아니라 주민 자신들이다.;지역 사회 주민들이 이러한 연구에 참여한다는 것은 이 자체가 학술 논문이나 정책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주민 자신들의 복지를 위한 연구이기 때문에 민속적인 집단 과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를 채택하는 주된 방법은 면접, 참여 관찰, 현장 답사, 단순한, 질문지 조사 및 문서 자료 분석이며 그런 결과를 처리하는 데에는 기술적이거나 간단한 통계를 사용할 따름이다.;사회적 상황 속에서 하나의 복잡한 사건을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설명하기 위해 기록할 때는 고도의 문자 해독력 뿐 아니라 그 기록이 이용되는 사회과학적 목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어떤 현상에 부딪혀 자연스러운 상태대로 기록하고 사회과학을 위한 현장조사 방법을 이론적 분석에 지각을 개념에 짜넣어 현상을 연구하는 방법이다.
1) 현상학적인 측면
현상학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연구되어지고 있는 현상에 대한 사전 가설은 피한다. 실제는 전체적으로 조망되어지고 수집된 자료 또는 경험으로부터 나온 이론으로 몇 개의 단위로 분석되거나 쪼개어질 수 없다.
2) 자연 발생적인 측면
연구가 이루어지는 사항이 실재이며 있는 그대로의 상황이다.
3) 진행
① 현상의 정의 : 현상을 찾는 순간이 포함되어 직접 눈으로 현장 조사를 한다.
② 피험자의(연구대상)의 정의 ; 실제를 잘 반영하는 정의
③ 가설(Hypothesis)도출 : 가설을 만드는 것과 과정은 언제나 수정 가능
④ 자료수집 - 현장에서 상호 작용하는 과정에서 적절한 양과 질의 자료 획득- 참여관찰 또는 관찰 중 선택, 가능 한 다양한 수집 방법이 동원됨- 면접 : 연구대상을 직접 인터뷰 - 삼각측량법 (Triangulation) :타당도를 측정하기 위해 역사연구에서 내부, 외부 비판에 해당- 참여 관찰과 심층 면접 방법등을 통해 문화를 기술하고 설명함에 있어서 그 기술이나 설명의 타당성은 연구자 한사람의 비판에 의한 것이 아니라 같은 문화권내의 구성원들이 갖는 의미가 일치할 때만 타당성을 가짐
⑤ 자료 해석의 단계
⑥ 결론 제시
참고문헌
김순택(1979), 교육 연구 문제의 설정, 서울:문종서관.
송인섭(1997), 연구방법론, 서울:상조사.
이영석(1985), 아동연구 방법론, 창지사.
정우현(1990), 교육사회학 연구, 서울:교육과학사.
한준상(1985), 교육사회학 이론과 연구 방법론, 서울:모음사.
허미화(1987), 질적 사례 연구법, 양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