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례관리
2. 사례관리의 이론적 기초
3. 사례관리의 실천기능과 과정
4. 재가 대상자에 대한 적용
2. 사례관리의 이론적 기초
3. 사례관리의 실천기능과 과정
4. 재가 대상자에 대한 적용
본문내용
하기 위해서 가중치를 부여한다는 점이 이색적이다.
본 사례에서는 재정적인 지원과 녹내장 수술을 동일하게 0.4씩 가중치를 부여하고 정서적 지지는 0.2의 비중을 두어 합계가 1이 되도록 하였다. 성과의 측정에서 최적의 향성은 1점, 기대이상은 0.75, 기대한 정도는 0.5, 기대 이하는 0.25 그리고 전혀 성과가 없으면 0점을 주는 방법을 사용했다. 따라서 재정적인 자원은 기대한 정도(0.5)의 성과를 보였고, 녹내장 수술은 최적의 향상(1)을 나타냈으며, 정서적 지지는 기대이하의 성과(0.25)를 보였다고 판정되었다. 그래서 개별적 하위 목표의 달성 수준이 정해지면 전반적인 목표달성의 수준을 쉽게 도출할 수 있다. 전반적인 목표달성의 정도를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전반적인 목표달성 수준(GGAS)
= (하위목표 1의 가중치 × 성과의 수준) + (하위목표 2의 가중치 × 성과수준)
이러한 공식을 본 사례에 대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전반적인 목표달성의 수준 = ( 0.4 × 0.5 ) + ( 0.4 × 1.0 ) + ( 0.2 × 0.25 )
= 0.2 + 0.4 + 0.05
= 0.65
따라서 0.65는 기대한 수준(0.5)보다 0.15가 많으므로 기대한 수준보다 전반적으로 30% 향상된 결과를 얻었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개입의 효과는 상당히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표7> 목표달성 추적표
CM Name 일반목표 : ct의 경제적 문제 완화와 건강 및
: 김 O O 정서적 문제 해결 2008 / 1/ 27
성과의 수준
목표1 : 재정적인 지원
(0.4)
목표2: 백내장수술및 건강관리(0.4)
목표3 : 정서적지지
(0.2)
최적의 향상
(1.0)
* 후원자를 개발하여10만원정도 자립가능한 후원금 지급과 반찬서비스 주 1회 실시
*백(녹)내장 수술후 완쾌와 월1회이상 방문간호 실시 및 차량봉사지원
*ct노모를 아들집으로 보내고, 말벗 자원봉사자 월 2회이상방문 및 가정봉사원 파견
기대이상으로향상(0.75)
* 후원자를 개발하여 월30,000원 이상의 후원금지원과 주 1회 반찬지원
* 백(녹)내장 수술후 완쾌와 월1회이상 방문간호 실시
*ct노모를 아들집으로 보내고, 말벗 자원봉사자 및 가사봉사원 주 1회이상 파견
기대한 정도의 향상(0.5)
* 후원자 개발로 인하여 월20,000이상의 후원금 지원, 월 2회 이상 반찬서비스지원
*백(녹)내장 수술후 완쾌및 차량봉사자 발굴시
*ct노모를 아들집으로 보냄
기대이하의 성과(0.25)
*후원자 개발로 후원금 월10,000원 이상 지원과 월 1회 반찬서비스 실시
*백(녹)내장 수술후 재발과 방문간호 실시
*말벗 자원봉사자 및 가사 봉사원 주1회이상 파견
전혀 성과가 없음(0.00)
* 후원자를 개발 실패 후원금 지원도 없으며 반찬서비스 지원않음.
*백(녹)내장 수술실쾌 방문간호만 실시
*여전히 모친과 동거, 봉사자 파견 못함.
3) 사후관리
송 할머니에 대한 개입이 시작된 후 6개월 동안 사례관리에 의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를 한 결과 표적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어 사례관리 케이스로는 종결시키고 일반적인 재가복지의 사후관리체계로 전환시켰다. 현재 할머니는 여전히 노모와 함께 생활하면서 본 복지관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반찬서비스와 후원 결연서비스를 받고 있다. 녹내장 수술은 성공적으로 진행되어 지금까지 후유증이 없으므로 완치되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사후관리 차원에서 월 1회정도 방문간호를 실시하고 반찬서비스와 후원결연 서비스는 계속적으로 실시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만두 편역, 1993, Darid Moxley 저, 사례관리실천론(The Practice of Case Management), 홍익재.
김성이?오정수?전광현?황성철, 1997, 비교지역사회복지: 사회복지관과 재가복지의 국제비교, 한국사회복지관협회.
보건복지부, 1999, 1999년도 사회복지관 및 재가복지봉사센터 운영안내, 보건복지부.
장인협, 1995, 지방화시대의 지역복지실천방법론: 케어/케이스 관리, 서울대학교 출판부.
한국사회복지관협회, 1997, 재가복지봉사센터 현황조사 보고서, 한국사회복지관협회.
황성철, 1995, “사례관리실천을 위한 모형개발과 한국적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통권 27호, pp. 275-307.
황성철, 1998, “서구 복지국가 재가복지정책의 발전과 전달체계”, 한국사회사업의 쟁점과 과제, 정진영교수 정년퇴임 기념논총, 서울여자대학교.
Huxley P. and Warner R., 1992, "Case Management,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with Services of Long-Term Psychiatric Patents", Hospital and Community Psychiatry, Vo. 43, pp. 799-802.
Koor W. S. &Cloniger, L. 1991, "Assessment Model of Case Management: An Empirical Approach", Journal of Social Service Research, Vol. 14, pp. 129-146.
Moore, S. T., 1990, "A social Work Practice Model of Case Management: The Case Management Grid", Social Work , Vol. 35, No. 5, p. 440.
Rothman, J. "A Model of Case Management: Toward Empirically Based Practice", Social Work, Vol. 36, 1991, pp. 520-528.
Vourlekis, B. S. & Greene, R. R., 1992, Social Work Case Management, New york: Aldine De Gruyter.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7, World Health Statistics Ammual,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본 사례에서는 재정적인 지원과 녹내장 수술을 동일하게 0.4씩 가중치를 부여하고 정서적 지지는 0.2의 비중을 두어 합계가 1이 되도록 하였다. 성과의 측정에서 최적의 향성은 1점, 기대이상은 0.75, 기대한 정도는 0.5, 기대 이하는 0.25 그리고 전혀 성과가 없으면 0점을 주는 방법을 사용했다. 따라서 재정적인 자원은 기대한 정도(0.5)의 성과를 보였고, 녹내장 수술은 최적의 향상(1)을 나타냈으며, 정서적 지지는 기대이하의 성과(0.25)를 보였다고 판정되었다. 그래서 개별적 하위 목표의 달성 수준이 정해지면 전반적인 목표달성의 수준을 쉽게 도출할 수 있다. 전반적인 목표달성의 정도를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전반적인 목표달성 수준(GGAS)
= (하위목표 1의 가중치 × 성과의 수준) + (하위목표 2의 가중치 × 성과수준)
이러한 공식을 본 사례에 대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전반적인 목표달성의 수준 = ( 0.4 × 0.5 ) + ( 0.4 × 1.0 ) + ( 0.2 × 0.25 )
= 0.2 + 0.4 + 0.05
= 0.65
따라서 0.65는 기대한 수준(0.5)보다 0.15가 많으므로 기대한 수준보다 전반적으로 30% 향상된 결과를 얻었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개입의 효과는 상당히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표7> 목표달성 추적표
CM Name 일반목표 : ct의 경제적 문제 완화와 건강 및
: 김 O O 정서적 문제 해결 2008 / 1/ 27
성과의 수준
목표1 : 재정적인 지원
(0.4)
목표2: 백내장수술및 건강관리(0.4)
목표3 : 정서적지지
(0.2)
최적의 향상
(1.0)
* 후원자를 개발하여10만원정도 자립가능한 후원금 지급과 반찬서비스 주 1회 실시
*백(녹)내장 수술후 완쾌와 월1회이상 방문간호 실시 및 차량봉사지원
*ct노모를 아들집으로 보내고, 말벗 자원봉사자 월 2회이상방문 및 가정봉사원 파견
기대이상으로향상(0.75)
* 후원자를 개발하여 월30,000원 이상의 후원금지원과 주 1회 반찬지원
* 백(녹)내장 수술후 완쾌와 월1회이상 방문간호 실시
*ct노모를 아들집으로 보내고, 말벗 자원봉사자 및 가사봉사원 주 1회이상 파견
기대한 정도의 향상(0.5)
* 후원자 개발로 인하여 월20,000이상의 후원금 지원, 월 2회 이상 반찬서비스지원
*백(녹)내장 수술후 완쾌및 차량봉사자 발굴시
*ct노모를 아들집으로 보냄
기대이하의 성과(0.25)
*후원자 개발로 후원금 월10,000원 이상 지원과 월 1회 반찬서비스 실시
*백(녹)내장 수술후 재발과 방문간호 실시
*말벗 자원봉사자 및 가사 봉사원 주1회이상 파견
전혀 성과가 없음(0.00)
* 후원자를 개발 실패 후원금 지원도 없으며 반찬서비스 지원않음.
*백(녹)내장 수술실쾌 방문간호만 실시
*여전히 모친과 동거, 봉사자 파견 못함.
3) 사후관리
송 할머니에 대한 개입이 시작된 후 6개월 동안 사례관리에 의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를 한 결과 표적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어 사례관리 케이스로는 종결시키고 일반적인 재가복지의 사후관리체계로 전환시켰다. 현재 할머니는 여전히 노모와 함께 생활하면서 본 복지관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반찬서비스와 후원 결연서비스를 받고 있다. 녹내장 수술은 성공적으로 진행되어 지금까지 후유증이 없으므로 완치되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사후관리 차원에서 월 1회정도 방문간호를 실시하고 반찬서비스와 후원결연 서비스는 계속적으로 실시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만두 편역, 1993, Darid Moxley 저, 사례관리실천론(The Practice of Case Management), 홍익재.
김성이?오정수?전광현?황성철, 1997, 비교지역사회복지: 사회복지관과 재가복지의 국제비교, 한국사회복지관협회.
보건복지부, 1999, 1999년도 사회복지관 및 재가복지봉사센터 운영안내, 보건복지부.
장인협, 1995, 지방화시대의 지역복지실천방법론: 케어/케이스 관리, 서울대학교 출판부.
한국사회복지관협회, 1997, 재가복지봉사센터 현황조사 보고서, 한국사회복지관협회.
황성철, 1995, “사례관리실천을 위한 모형개발과 한국적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통권 27호, pp. 275-307.
황성철, 1998, “서구 복지국가 재가복지정책의 발전과 전달체계”, 한국사회사업의 쟁점과 과제, 정진영교수 정년퇴임 기념논총, 서울여자대학교.
Huxley P. and Warner R., 1992, "Case Management,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with Services of Long-Term Psychiatric Patents", Hospital and Community Psychiatry, Vo. 43, pp. 799-802.
Koor W. S. &Cloniger, L. 1991, "Assessment Model of Case Management: An Empirical Approach", Journal of Social Service Research, Vol. 14, pp. 129-146.
Moore, S. T., 1990, "A social Work Practice Model of Case Management: The Case Management Grid", Social Work , Vol. 35, No. 5, p. 440.
Rothman, J. "A Model of Case Management: Toward Empirically Based Practice", Social Work, Vol. 36, 1991, pp. 520-528.
Vourlekis, B. S. & Greene, R. R., 1992, Social Work Case Management, New york: Aldine De Gruyter.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7, World Health Statistics Ammual,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