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양리더(요약)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찬양리더(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경배에 들어가서는 조금 어두운 조명이 좋습니다. 하나님과 은밀한 관계를 갖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
입니다. 통성기도를 할 때는 모든 전등을 꺼도 좋고, 설교시간에는 설교자에게 집중하여 조명을 비춘다면 회중들이 쉽게 집중할 수 있을 것입니다.
OHP를 비추어 잘 보이게 하기 위해서 강단 쪽의 조명을 아주 꺼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때 앞에서 노래하는 사람들의 얼굴은 어둡게 보여집니다. 어두운 얼굴
을 하고 앞에 서 있다는 사실 앞에 서서 노래할 이유가 없습니다. 노래만 하는 것이라면 앞자리에 앉아서 마이크를 잡고 노래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조명은 ON/OFF로 되어 있는 조명시설보다는 조명 강도를 차츰 줄일 수 있도록 만들어진 조명 장치가 좋습니다. 조명 담당자는 갑자기 어둡게 한다거나 갑자기
밝게 조명을 비추는 것이 아니라 회중들이 거의 느끼지 못하도록 차츰차츰 조명의 도수를 조절할 줄 알아야 합니다. 그래야 찬양경배의 전체적인 분위기가 물 흐르듯 부
드럽게 흘러갈 수 있습니다.
그 외에 악기 나르는 사람, 설비하는 사람도 필요한데, 그것은 모든 악기와 장비를 계속 설치해놓고 사용할 수 있는 교회란 그리 많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는 큰 교
회라도 찬양경배를 드리는 시간과 전통적인 예배를 드리는 시간이 대부분 다릅니다.
이러한 스태프들로 찬양 팀 후보생을 활용해도 좋습니다. 그들이 강대상에 서서 찬양드리기 전에 훈련의 한 과정으로 악보, 조명, 음향 등을 담당할 수도 있습니다. 모든
연습과 훈련 과정에는 찬양 팀과 똑같이 참여합니다. 그러나 예배 때는 뒤에서 스태프의 역할을 하며 선배들의 찬양사역을 배우는 것입니다.
찬양경배 팀 연습(Rehearsal)
찬양경배 팀은 주기적으로 연습해야 합니다. 연습 시간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습니다. 적어도 주1회는 정기적으로 연습 모임이 있어야 합니다. 그 연습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1.찬양경배
경배 팀 자체 내의 예배를 통해 자유롭게 하나님의 임재를 느낄 수 있어야 합니다. 반드시 다음에 드릴 회중 예배 준비곡을 재연하지 않아도 됩니다. 기본적인 암기곡 등
을 사용하는 예배가 되어야 합니다. 자신들이 예배드릴 수 없다면 다른 사람들을 예배하도록 만들 수 없습니다. 혹, 회중들이 예배를 드릴 수 있다고 해도 자신들이 예배
를 드리고 있지 못하다면 그건 위선이 될 따름입니다.
2.음악 연습
음악 연습은 모두 함께 참여해서 연습할 수도 있지만 먼저 두 파트로 나누어서 연습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각각 훈련 포인트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나누어 연습하면 시
간적으로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1)노래 팀 연습
복식호흡을 통한 기본적인 발성 연습을 해야 합니다. 예배 찬양곡의 전체적인 흐름을 살펴야 합니다. 새 노래를 정확히 연습하고 그 가사를 암기하도록 해야 합니다. 만약
2,3부 정도의 화음을 첨가하거나, 대선율을 첨가한다면 미리 연습해야 합니다.
2)악기 팀의 연습
악기 연주자들은 코러스의 리듬을 정해야 합니다. 각 곡의 흐름을 위하여 전주, 간주를 만듭니다. 필요에 따라 악기 독주, 즉흥 연주를 연습해야 하며 어떤 부분에서 어떻
게 전조하고 이조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합니다.
일정 시간 동안 나누어 연습한 두 팀은 함께 모여 연습을 하게 됩니다. 이때 전체적인 흐름을 민감하게 살펴야 합니다. 가능하면 튀어나오는 부분이 없도록 부드러운 흐름
에 주의해야 합니다.
3.기도
음악 연습이 끝나면 기도 시간을 갖습니다. 자신의 헌신을 위해서 새롭게 기도합니다. 팀을 위해서, 교회를 위해서, 회중을 위해서 기도합니다. 때때로 찬양경배를 방해하
는 세력들과 영적 전쟁을 벌여야 할 때도 있습니다.
찬양경배 팀은 연습 시간에는 물론 실제 예배를 드리기 바로 전 시간에도 함께 모여 기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예배 중간에도 수시로 기도해야 합니다. 예배가 끝난 후에
도 함께 모여 감사의 기도를 드릴 수 있으면 더좋습니다.
4.기획
특별히 기획위원회가 따로 없을 때 찬양 팀은 스스로 기획위원회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찬양경배의 큰 틀을 계획하고, 점검하고, 평가하고, 반성하는 일입니다.
찬양경배의 연습에는 사역 후보자들이 함께 참여하면 좋습니다. 후보자들은 이런 시간을 통해서 실제 찬양경배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배울수 있을 것입니다. 때때로 담
임목사가 함께 참석해서 격려해주고 조언해준다면, 찬양경배 팀을 활성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참고로 시카고 윌로우크릭 교회의 찬양경배 팀 연습 계획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시카고 윌로우크릭 교회의 찬양경배 팀 연습 계획■
●예배 17일 전
기획위원회에서 노래를 선곡하고, 설교 주제의 개요, 음악, 드라마, 기타 다른 요소들을 담당할 사람들을 선정한다.
●예배 11-16일 전
찬양 팀 연습에 사용할 찬양곡의 카세트를 녹음(MIDI로 만든 트랙).
●예배 11일 전
찬양 팀 첫 연습(화요일 저녁). 독창과 중창 연습. 기본적인 연습용 사운드 트랙을 만든다.
●예배 5-10일 전
찬양 팀은 곡들을 암기. 오케스트라 부분을 작성한다.
●예배 4일 전
찬양 팀 두 번째 연습(화요일 저녁). 노래. 악기 총연습. 음악이 다듬어진다.
●예배 1-3일전
주말을 준비하며 스스로 작업.
●예배 전날
제작회의를 연다. 조명, 드라마, 기술, 음악 감독들이 참석, 이때 음악 감독은 기술 감독에게 음악을 조정할 수 있는 정보(독창, 악단 구성,
찬양 팀 마이크 수)를 제공한다.
●예배 및 시간 전
음향 점검. 각 찬양 곡마다 두세 번씩 무대 연습을 한다.
●평가
기획 팀은 그 다음 화요일 비디오 테이프를 보면서 지난 주말 예배를 평가, 비평한다.
찬양경배는 팀 사역입니다.
팀 사역이 열매를 맺기 위해서는 아무리 조그만 일이라도 자신이 맡은 일에 책임의식을 가져야 합니다. 동시에 다른 사람을 존중하며 동
일한 목적을 위해서 한마음으로 사역해야 합니다. 자기 자신을 드러내려 한다면 팀 사역은 깨집니다. 그러나 한 지체라는 의식을 갖기 시
작하면 하나님께서는 그 팀을 사용하십니다. 그러면 풍성한 열매를 맺게 될 것입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5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32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