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niel Libeskind]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건축 형태의 특징
예술가는 건축을 못하지만, 건축가는 예술을 할 수 있다
세계적인 건축물이 탄생하기까지
치열한 건축세계의 이면을 들여다보다
본질적으로 긍정적일 수밖에 없는 직업
작가소개 및 약력
작품소개

본문내용

물이 영적인 울림을 지니기 위해서는 이 두 가지를 모두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와 같은 그의 태도는 리베스킨트가 자신의 대표작을 만들기까지의 과정을 담은 ―깨진 컵의 파편에서 영감을 얻은 맨체스터 대영 전쟁박물관, 유대인 화가 펠릭스 누스바움의 생애를 건축으로 옮긴 펠릭스 누스바움 미술관, 그리고 뉴욕 항에 배가 정박하는 순간 보았던 뉴욕의 스카이라인, 이민자들 틈바구니에서 입을 다물지 못한 채 바라본 자유의 여신상에 대한 기억을 담은 WTC 재건축 설계 등―흥미진진한 에피소드를 통해 엿볼 수 있다.
치열한 건축세계의 이면을 들여다보다
1989년, 베를린 유대인 박물관 설계 공모에 당선된 리베스킨트는 수많은 장애물을 넘고 넘어 1999년에 이르러서야 박물관을 공개할 수 있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박물관의 운명도 함께 흔들렸고, 그의 설계가 복잡하여 건축할 수 없다는 이유로 설립을 취소하려는 무리도 있었다.
그런데 이 같은 우여곡절의 역사는 베를린 유대인 박물관뿐만이 아니다. 기존 건축과는 다르다는 이유로 그의 건축에 반감을 가진 사람들과 맞서야 했던 빅토리아 앨버트 미술관, 예산이 깎이며 설계 방향을 바꾸어야만 했던 대영전쟁박물관, 그리고 WTC 재건축 설계 공모의 경쟁 등은 건축세계의 이면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특히 온 뉴욕을 뜨겁게 달구었던 건축계 최대의 교전, 프리덤 타워를 두고 빚어진 SOM과의 경쟁을 다룬 에피소드는 한 편의 건축 다큐멘터리를 보는 듯하다.(본문 10장 참고) 그라운드 제로 프로젝트를 둘러싸고 벌어진 이 공방전에는 내로라하는 세계적인 건축가들의 실명까지 거론하고 있어 그 치열했던 현장을 더욱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본질적으로 긍정적일 수밖에 없는 직업
그가 설계한 베를린 유대인 박물관은 1999년 전시품이 없는 텅 빈 상태에서 공개한 후 현재까지 독일에서 관람객이 가장 많은 박물관으로 꼽힌다.
그는 전시품이 아닌 지즈재그형 건물, 바닥을 이리저리 기울여 추방과 이민의 고통을 느끼도록 한 통로, 어둠의 공간인 홀로코스트 탑 등의 설계만으로도 유대인들의 비극의 역사를 직접 체험할 수 있게 하였다. 그는 “건축이란 언어를 이용하여 돌멩이 하나하나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는 건물”을 만들고 싶었다고 한다.
이처럼 리베스킨트가 생각하는 훌륭한 건축이란 “인생의 굽이굽이 등장하는 갖가지 색을 모두 담아내”어 “영혼에 내재된 이야기를 들려”주는 건축이다. 어떤 재료에나 고유한 ‘언어’와 ‘시’가 담겨 있고 다른 재료와 나란히 놓게 되면 운율이 바뀐다.
그는 돌, 쇠, 콘크리트, 나무, 유리처럼 말 못하는 물질을 가지고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고, 사람 이야기를 들려주고, 역사를 제시”해야 한다고 말한다.
‘아이파크 타워’의 디자이너 리베스킨트는 베르나르 추미·프랭크 게리·자하 하디드 등과 함께 모더니즘 건축 논리를 뒤엎고 미완성·비대칭·불확실·부정형이란 키워드를 앞세운 해체주의 건축의 대표주자로 꼽힌다. 새롭게 단장한 통독 수도 베를린에 지그재그식 구조의 유태인 미술관을 설계해 각광 받았고, 뉴욕 9·11테러 현장에 세워질 530m 높이의 기념 첨탑도 디자인했다.
작가소개 및 약력
1946 : 폴란드 로지 태생
1957 : 이스라엘 이주
1960 : 미국 이주
1965 : 미국 시민권 취득 후 뉴욕 쿠퍼 유니온 학교에서 건축 수학
1975~1977 : 런던 건축협회학교 강의
1978~1985 : 미시건 크랜브룩미술대학 학장
1986~1986 : 밀라노에 세계 공간건축연구소 설립
1989 : 뉴욕 현대미술관의해체주의 건축전 전시
1989 : 유태인 박물관 현상 당선 / 베를린 이주
1994 : LA 대학 교수 초빙
1998 : Felix-Nussbaum-Haus, (베를린/독일)
1999 : 유태인 박물관 (베를린/독일)
2001 : London Metropolitan University postGraduate center (런던/영국)
2002 : Imperial WarMuseum (맨체스터/영국)
2003 : Studio Weil (산카를로스항/스페인)
2005-예정 : Extension to The Denver Art Museum (덴버/미국)
2006-예정 : Extension to the Victoria & Albert Museum (런던/영국)
작품소개
베를린 유대인 박물관 (1999)
맨체스터 노스 임페리얼 전쟁 박물관 (2001)
덴버 미술관
Westside Interior
삼성동 아이파크타운
프리덤 타워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33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