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탈주민과 가족문제 / 적응상의 어려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했다는 생각 때문에 상대적 박탈감 내지는 열등감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자신이 원하는 직업이나 목표를 미리 사전에 고정관념화 시키고 거기에 맞추려는 심리 때문에 더욱 좌절감을 느끼게 된다. 즉, 대부분의 북한이탈주민들은 남한사회의 실정은 고려하지 않은 채, 자신의 능력, 북한에서의 경력, 제3국에서 세웠던 기대치 등을 토대로 남한에서 성취하려는 목표를 실제보다 높게 잡기 때문에 적응초기단계에서 사기가 떨어지고 적응력이 감소되는 양상을 빚고 있다.
여덟째, 종교자체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경향을 보이면서도, 종교 자체를 신앙화 하는 데는 많은 갈등과 동요를 나타내고 있다. 탈출 단계에서 정착 단계에 이르기까지 종교단체의 도움을 많이 받기 때문에 북한이탈주민들은 자신을 도와 준 은인이 믿는 신을 의리로 믿는다는 심정을 갖고 있다. 또한 착한 신, 좋은 신을 하나만 믿는 것보다는 여러 개 믿는 것이 좋지 않은가 라는 생각도 하는 경우가 있다. 아무튼 정착 초기, 종교의존도가 크게 도움이 되는 동안에는 종교로 인한 갈등이 표출되지 않지만,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서 정착이 안정화되는 단계에서 종교로 인한 갈등과 동요를 겪는 사례가 적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35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