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인터뷰 기술: 면담기법 개발, 인지면담기법(면담자가 내담자(목격자나 증언)의 기억을 활성화해주는 일종의 보조자로서의 역할)
ㄷ. 신문과 자백: 허위자백의 특지와 허위자백을 하게되는 상황을 파악하기
ㄹ. 범죄자 프로파일링: 용의자의 범위를 축소하거나 범죄행동의 진위여부를 판단하는데 도와준다
4.2 판결단계에서의 심리학의 활용
ㄱ.책임능력의 판단과 위험성 평가: 책임 능력의 판단을 위한 법적 기준들이 변화함에 따라 어떤 기준에 의해 책임능력이 판단될 때 유지나 무죄판결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수, 책임 무능력자로 판단된 피고인의 재범 가능성 등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
ㄴ. 범죄의 동기와 원인 연구: 일생동안 범죄 행동이 시작되는 시점, 지속되는 시간, 감소하는 시점 등이 심리학의 연구주제
ㄷ. 배심원 관련
ㄹ. 전문가 증언: 전문 증인으로서의 역할
4.3 판결 단계 이후 심리학의 활용
ㄱ. 교정 교화: 응보적 형벌의 집행이외의 치료 및 재활(교정정책의 주요목표),가석방의 시기조절
ㄴ. 수형자 분류심사: 객관적 분류모델 채택, 다양한 심리평가,개별입소자/재소자의 위험성을 평가,분류하므로써 수용 및 교화의 효율성을 확보
ㄷ. 재범 위험성 추측: 인간의 행동 예측
ㄷ. 신문과 자백: 허위자백의 특지와 허위자백을 하게되는 상황을 파악하기
ㄹ. 범죄자 프로파일링: 용의자의 범위를 축소하거나 범죄행동의 진위여부를 판단하는데 도와준다
4.2 판결단계에서의 심리학의 활용
ㄱ.책임능력의 판단과 위험성 평가: 책임 능력의 판단을 위한 법적 기준들이 변화함에 따라 어떤 기준에 의해 책임능력이 판단될 때 유지나 무죄판결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수, 책임 무능력자로 판단된 피고인의 재범 가능성 등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
ㄴ. 범죄의 동기와 원인 연구: 일생동안 범죄 행동이 시작되는 시점, 지속되는 시간, 감소하는 시점 등이 심리학의 연구주제
ㄷ. 배심원 관련
ㄹ. 전문가 증언: 전문 증인으로서의 역할
4.3 판결 단계 이후 심리학의 활용
ㄱ. 교정 교화: 응보적 형벌의 집행이외의 치료 및 재활(교정정책의 주요목표),가석방의 시기조절
ㄴ. 수형자 분류심사: 객관적 분류모델 채택, 다양한 심리평가,개별입소자/재소자의 위험성을 평가,분류하므로써 수용 및 교화의 효율성을 확보
ㄷ. 재범 위험성 추측: 인간의 행동 예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