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양의 의미
<2> 반성과 비판의 계기로서 교양교과
<3> 가벼움과 진지함
<4> 삶의 방향 모색과 창의적 삶을 위하여
<2> 반성과 비판의 계기로서 교양교과
<3> 가벼움과 진지함
<4> 삶의 방향 모색과 창의적 삶을 위하여
본문내용
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없는 것은 아니다. 문제는 대학의 교양교육에 대한 교육과정에서 얼마나 이러한 긍정적 기대감을 재생산해 낼 수 있느냐에 대한 것이다. 이런 문제에 대한 해결은 약간 추상적이고 거창하지만 찾아낼 수 있다. 즉 교양교과 내용은 학습자의 구체적 삶의 양식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첫째 학생들과 함께 우리가 살아야 할 삶의 방향을 공유해야 한다. 삶의 지표라고 말하면 너무나 윤리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 같아서 그런 표현을 자제하지만 최소한 시민으로서의 삶의 방향을 같이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둘째 전공 지식은 삶을 구축하는 벽돌로서 나름대로의 의미를 지니지만, 교양은 그런 지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벽돌을 쌓는 방법과 설계도라는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