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한국음식의 특징
II.한국음식의 조리법상의 특징
III.한국음식문화사
II.한국음식의 조리법상의 특징
III.한국음식문화사
본문내용
상차림이 생활화됨에 따라 의례음식과 명절음식이 정립되었으며 사계절에 따른 시식, 절식음식도 다양하게 되었다.
우리의 식생활에 또 하나의 전기를 이룬 것이 고추의 전래다.<지봉유설(1613)>에서 "고추는 일본에서 건너온 것이니 왜개자(倭芥子)라고 하는데 요즘 이것을 간혹 재배하고 있다."라고 하였는데 고추, 호박, 고구마, 감자 같은 식품들이 일본으로부터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채소와 젓갈을 결합시켜 김치를 만들었으니 우리 조상이 개발한 콩장의 맛과 더불어 김치는 우리의 대표적인 음식이 되었고 <동국세시기>(1849)에서 "장 담그기와 김장은 우리네 가정의 연중 2대행사"라고 지적하였다. 이렇게 볼 때 우리의 음식문화사란 유구한 역사와 함께 이루어진 자랑스러운 우리의 민족문화사라고 할 수 있다.
우리의 식생활에 또 하나의 전기를 이룬 것이 고추의 전래다.<지봉유설(1613)>에서 "고추는 일본에서 건너온 것이니 왜개자(倭芥子)라고 하는데 요즘 이것을 간혹 재배하고 있다."라고 하였는데 고추, 호박, 고구마, 감자 같은 식품들이 일본으로부터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채소와 젓갈을 결합시켜 김치를 만들었으니 우리 조상이 개발한 콩장의 맛과 더불어 김치는 우리의 대표적인 음식이 되었고 <동국세시기>(1849)에서 "장 담그기와 김장은 우리네 가정의 연중 2대행사"라고 지적하였다. 이렇게 볼 때 우리의 음식문화사란 유구한 역사와 함께 이루어진 자랑스러운 우리의 민족문화사라고 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