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조작적 학습
2. 조작적 학습의 활용
2. 조작적 학습의 활용
본문내용
는 것을 물리적으로 막는 무언가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스ㆍ로마 신화에 나오는 율리시즈와 사이렌들 이야기가 한 예이다.
사이렌들 곁을 지나가려 했던 뱃사공들은 사이렌들이 부르는 노래에 이끌려 암초에 부딪히게 된다.
율리시즈는 그녀들의 노래를 듣고 싶었지만 또한 재난을 피하고자 했다.
그래서 그는 자기 몸을 돛대에 묶은 다음 선원들에게는 귀에 밀랍을 놓으라고 명령했다.
이런 식으로 그는 자기 자신과 선원들이 난파당하는 것을 막았다.
웃지 말아야 할 상황에서 자꾸 웃음이 나온다면 혀를 깨물거나, 손톱을 물어뜯는 버릇을 갖고 있는 사람은 손에 권투장갑을 낄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이 바로 물리적 제지이다.
또다른 기법은 거리 두기(distancint)라고 불린다.
담배를 끊으려는 사람은 될수있는한 술자리를 피해야 할 것이다.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은 책상에 맛있는 것을 싹 비워야 할 것이다.
이처럼 유혹을 견디는 한 가지 방법은 곧 그것을 멀리하는 것이다.
이와 유사한 기법이 주의 분산(distraction)이다.
유혹에 직면했을 때 우리는 흔히 책을 읽거나 영화를 보거나 아니면 운동을 하는 방법으로 자신의 주의를 분산시킬 수 있다.
Skinner(1953)는 박탈과 포만(deprivation and satiation)이라 부르는 기법을 규정하고 있다.
다이어트 중인데 마침 회사에서 큰 회식자리가 있다면 미리 가벼운 식사를 하여 음식에 약간 물린 상태를 만드는 것이다.
또 다른 기법은 목표를 타인에게 알리기이다.
담배를 끊기 원하거나 다이어트 하려는 사람은 그와 같은 의도를 공공연히 알렸을 때 성공할 가능성이 더 높다.
왜냐하면 우리 주위의 사람들은 변화하려는 우리의 노력을 돕거나 아니면 방해하는, 둘 중의 한 가지 방식으로 행동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자기 통제는 목표로 하는 행동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지게끔 환경을 바꾸는 것을 필요로 한다.
때문에 우리는 우리의 목표를 알림으로써 우리의 행동에 더 좋은 영향을 미치도록 그들의 행동을 바꿀 수 있다.
흔히 권장되는 또 다른 자기 통제 기법은 행동 감시(behavior monitoring)이다.
다이어트하는 사람은 몸에 만보기를 차고 다니면서 하루에 움직인 횟수를 체크할 수 있고,
책을 읽으려는 사람은 독서카드 같은 것에 매일 표시를 하면서 표를 만들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단순히 행동을 감시하는 것이 행동 빈도상의 원하는 변화를 가져오는 경우가 흔히 있다.
그리스ㆍ로마 신화에 나오는 율리시즈와 사이렌들 이야기가 한 예이다.
사이렌들 곁을 지나가려 했던 뱃사공들은 사이렌들이 부르는 노래에 이끌려 암초에 부딪히게 된다.
율리시즈는 그녀들의 노래를 듣고 싶었지만 또한 재난을 피하고자 했다.
그래서 그는 자기 몸을 돛대에 묶은 다음 선원들에게는 귀에 밀랍을 놓으라고 명령했다.
이런 식으로 그는 자기 자신과 선원들이 난파당하는 것을 막았다.
웃지 말아야 할 상황에서 자꾸 웃음이 나온다면 혀를 깨물거나, 손톱을 물어뜯는 버릇을 갖고 있는 사람은 손에 권투장갑을 낄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이 바로 물리적 제지이다.
또다른 기법은 거리 두기(distancint)라고 불린다.
담배를 끊으려는 사람은 될수있는한 술자리를 피해야 할 것이다.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은 책상에 맛있는 것을 싹 비워야 할 것이다.
이처럼 유혹을 견디는 한 가지 방법은 곧 그것을 멀리하는 것이다.
이와 유사한 기법이 주의 분산(distraction)이다.
유혹에 직면했을 때 우리는 흔히 책을 읽거나 영화를 보거나 아니면 운동을 하는 방법으로 자신의 주의를 분산시킬 수 있다.
Skinner(1953)는 박탈과 포만(deprivation and satiation)이라 부르는 기법을 규정하고 있다.
다이어트 중인데 마침 회사에서 큰 회식자리가 있다면 미리 가벼운 식사를 하여 음식에 약간 물린 상태를 만드는 것이다.
또 다른 기법은 목표를 타인에게 알리기이다.
담배를 끊기 원하거나 다이어트 하려는 사람은 그와 같은 의도를 공공연히 알렸을 때 성공할 가능성이 더 높다.
왜냐하면 우리 주위의 사람들은 변화하려는 우리의 노력을 돕거나 아니면 방해하는, 둘 중의 한 가지 방식으로 행동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자기 통제는 목표로 하는 행동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지게끔 환경을 바꾸는 것을 필요로 한다.
때문에 우리는 우리의 목표를 알림으로써 우리의 행동에 더 좋은 영향을 미치도록 그들의 행동을 바꿀 수 있다.
흔히 권장되는 또 다른 자기 통제 기법은 행동 감시(behavior monitoring)이다.
다이어트하는 사람은 몸에 만보기를 차고 다니면서 하루에 움직인 횟수를 체크할 수 있고,
책을 읽으려는 사람은 독서카드 같은 것에 매일 표시를 하면서 표를 만들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단순히 행동을 감시하는 것이 행동 빈도상의 원하는 변화를 가져오는 경우가 흔히 있다.
추천자료
(학습이론) 스키너(조작적조건화) & 파블로브(고전적조건화) & 반두라(사회학습이론)...
학습과 행동-조작적처벌에 관하여
수학과 필수학습요소와 수준별학습 수업자료(교육자료), 수학과 도형과 수연산개념 수업자료(...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의와 중요성,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원리와 ...
행동주의적접근법에서 개인의 학습이 발생하게 하는 세가지 유형 고전적학습, 조작적학습, 관...
조작적 처벌과 조작적 학습의 활용
[아동발달이론]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 이론(고전적조건형성이론),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
[학습이론] 고전적 조건형성(고전적조건화)이론, 조작적 조건형성(조작적조건화)이론, 조건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