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중심재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사회중심재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거점보건소 사업추진기(2000~2020) : CBR이 민간기관보다는 국가의 행정조직인 보건소를 활용하여 전국적으로 뿌리내리고자 하는 국가의 의지 표현. 보건과 복지의 연계.
■ CBR 참여기관 : 거점보건소
거점보건소는 ▲지역사회 장애인의 요구와 지역자원 파악을 통한 사업계획 수립 ▲재활대상자 선정 기준 마련 및 등록 ▲장애인 건강증진·가족지지 프로그램 운영 ▲지역주민 대상으로 CBR 홍보
사업 대상은 장애유형과 등급에 상관없이 건강관리, 재활훈련 등이 필요한 재활사업 대상과 고혈압, 당뇨 등의 2차 장애예방이 필요한 장애예방 대상자, 재활서비스 제공자, 가족, 주민 중에서 장애인식 개선 등이 필요한 재활교육 대상자.
각 지역 장애인에게 맞는 새로운 유형별 재활프로그램 모델개발
장애 가정의 보호자 등에게도 그에 맞는 서비스를 지원하고 장애인들간의 정보교환 자리도 마련.
거점보건소 설치 현황(총 45개)
■ CBR 참여기관 : 시-군-구청, 읍-면-동사무소
사회복지전문요원은 노인, 장애인 등 저소득 사회취약계층에게 전문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1987년부터 저소득 밀집지역 읍, 면, 동사무소
에 배치된 전문인력.
2005년 8월 기준으로 7,200명이며, 2006년에는 1,800명이 충원되는 등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사회복지전문요원은 지역 내 장애인 등록업무 및 복지시책 업무, 기초생활수급자 책정과 이들에 대한 사후관리를 담당하고 있는데 기초생활수급자 중 상당수가 재가장애인들이므로 앞으로 사회복지전문요원에 대한 CBR 기본교육 및 사업참여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46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