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신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호신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호신술 의의,예방법,급소 등

본문내용

느냐 사느냐의 사생결단을 하면 자기 힘과 용기가 몇 배나 나타나는 게 인간의 심리다. 겁에 질려 벌벌 떠는 공포감을 없애려면 일단 자신의 마음을 다지는 것이 중요하다.
5) 생활도구가 없거나 앞서의 방법이 통하지 않을 경우
육체적인 호신술을 활용 해야 한다.
무릎, 팔굼치, 머리 등을 이용하여 상대의 급소를 명중 시켜 일격에 격퇴 시키는 것이다. 어설푼 주먹이나 발로 상대를 공격하면 역효과가 나 상대의 심한 폭력을 유발시킬 수도 있다. 일격으로 급소를 가격하여 상대가 충격으로 멈칫거리는 사이에 재빨리 그 자리를 피해야 한다.
6) 많은 여성들이 호신술은 커녕 위급상황에서 제대로 말도 못하는 공포감 때문에 꼼짝없이 당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나는 여자이니까?" "나는 약하니까?" "나는 공격하는 사람이 아니라 보호 받는 여성이니까?" 라는 나약한 생각이 습관화되어 조금만 용기를 낸다면 물리칠 수 있는 위기상황에서 자포자기하는 경우가 있어서는 안 되겠다.
중요한 것은 공포와 위기를 대하는 자신의 태도 문제이다.
피해자도 공포와 위기를 느끼지만 가해자도 그에 못지않게 긴장과 공포감을 느끼고 있다는 사실 을 알아야 한다.
도둑이나 강도는 자기 자신이 검거되면 처벌받는 생각 때문에 극도의 긴장 속에서 발소리도 내지 않는다는 것을 생각해 보자.
여성들을 성희롱·성폭행하는 가해자도 특별히 다를 게 없다는 확신을 갖고
상대가 귀신도 괴물도 아닌 사람이라는 생각을 해야 한다.
사람이 사람을 대한다는 생각으로 자신감과 용기를 잃지 않는다면 어떠한 위기에서도 슬기롭게 모면할 수 있고 과감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갖기 바란다.
7) 자기 몸을 보호하는 방법으로 예방차원에서 여러 친구들과 함께 행동하는 것이 좋고 친지들에게 미리 연락하여 안전한 장소에서 기다리다가 함께 집에 가는 방법이 좋다.
8)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서 호루라기나 위험을 알릴 수 있는 신호기를 소지하고 다닌다.
9). 전철이나 사람이 많은 곳에서 접근하는 남자에게 싫다는 표현을 하지 않으면 이 여자도 좋아한다고 착각을 하게 된다.
그럴 땐 과감하게 싫다는 표현을 한다. 표현할 용기가 없다면 준비해 둔 옷핀으로 찔러준다.
10) 이럴 땐 무조건 치한의 비위에 거슬리지 않게 고분고분하게 대응해 준 다.(아무리 좋은 호신술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위험하게 대응하다가 다치면 안되죠.)
이런 것도 뜻밖의 무기
1. 어깨에 걸치고 있던 백을 휘두르는 것만으로도 치한은 다가서지 못하며, 백이 제대로 얼굴에라도 맞게 되면 약간의 충격을 입힐 수 있습니다.
2. 끼고 있는 반지를 이용해 상대의 손등 따위에 꾹 힘껏 눌러 주는 수도 있고 팔목에 시계를 차고 있으면 그것으로 눈 부위를 공격할 수도 있습니다.
3. 하이힐을 신고 있다면 그 뒤축으로 힘껏 상대의 발을 밟아 주는 것도 효과가 큽니다.
가격을 했을 때 강한 충격을 줄 수 있는 부위와 방법을 알아볼까요?
1. 눈 - 주먹으로 눈 부위를 강하게 친다. 손가락을 쫙 펴서 손끝으로 눈 부위를 가격
(열 손가락 중 한 손가락만이라도 눈을 가격할 수 있다면 강한 충격을 줄 것입니다).
2. 코 - 코는 신체 중 가장 단단한 머리로 가격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회만 생기면 머리로 치한의 코를 강하게 가격합니다.
3. 목 - 키가 작아서 치한의 얼굴까지 공격을 못할것 같으면 목 몸통-명치(급소),늑골(옆구리)
4. 손 - 손등을 뾰족한 것으로 가격
5. 명치 - 몸통의 가운데 부분(늑골이 갈라지기 시작하는 부분)을 힘껏 가격합니다.
명치를 잘 못 찾을 것 같으면 배꼽 위를 가격하세요.
6. 정강이 - 구두 발로 채이면 무지 아프죠.
7. 발등 - 여성의 무기 하이힐 굽으로 강하게 밟아 줍니다.
8. 낭심 - 남자 치한에게 가장 큰 충격을 줄 수 있는 부위입니다.
9. 무릎으로 가격하거나 급하면 주먹으로 라도 있는 힘을 다해 가격합니다.
호신술에 필요한 인체의 중요 급소 알기
1. 인체에는 약 365개의 급소(혈)가 있다. 그중에서 30개의 혈이 중요급소이고 호신술에 사용되는 급소는 약 10개 정도로 압축할 수 있다.
2. 급소는 일격에 상대방의 헛점을 노려 치명타를 입힐 수 있는 혈이다.
급소 공격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과 힘에 의한 정확한 공격이 중요하다.
3. 여성들이 남성을 공격할 때 가장 많이 공격하는 부위는 첫째 고환이다. 둘째는 명치 급소이고 셋째는 얼굴 부위 특히 눈이다.
급소에 대한 해석
1) 고환(낭심) : 남성의 가장 취약한 급소로 정확하게 맞게 되면 그 자리에서 부위를 감싸고 나뒹굴게 된다. 약 30분 정도는 고통을 못 이겨 정상적으로 움직일 수 없다.
2) 명치 : 해부학적으로 '위'부위(양 갈비뼈의 중앙에서 약간 밑)명치를 정확히 맞게 되면 오장육부가 뒤틀리며 호흡장애와 심한 고통을 느낀다. 약 10분 동안 꼼짝 못하고 엄청난 고통을 당한다. (심한 경우 충격과 호흡장애로 사망할 수 있다.)
3) 인중 : 코 바로 밑 부위로서 뇌에 직접 충격이 연결되어 정확히 맞으면 신경이 마비되고 파열당하여 평생을 불구자로 살아야 하는 위험한 급소이다.
호신술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호신술이라 함은 우리에게 많이 알려는 져 있는지 생각만큼 많은 사람들이 배우거나, 알고 있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많이 알려져 있긴 하나 마음처럼 그렇게 쉽게 생활에 적용되기란 힘들다는 걸 많이 느껴왔습니다.
급한 일이 닥쳤을 때 그 순간 호신술을 써야 겠다라는 생각을 하지 못하는 게 일반적인 경우라 생각을 한다. 남자의 경우는 다를 수 있겠지만 여자의 경우 소리를 치거나 “살려 달라”는 소리를 하기 먼저인 것 같다.
그래서 급한 일이 닥쳤을 때 호신술을 사용 할 수 있으려면 항상 호신술을 몸에 베일 수 있게 생활화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학교에서도 체육수업에 수업을 받아야 하고 대학에선 교양과목으로도 배울 수 있게 많은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생각을 한다.
교육내용은 치안을 만났을 때 대처법과 함께 예방법, 급소는 정확히 배워 알고 있어야 하고, 그 순간 당황하지 않고 지혜롭게 대처해 나갈 수 있게 많은 적응 훈련을 해야 된다고 본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46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