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소실된 숭례문 디지털로 복원추진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KAIST, 소실된 숭례문 디지털로 복원추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사용된 바 있어 당시 사용기록을 보관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이번 숭례문 화재 현장을 3D 스캐닝을 통해 기록함으로써 소실 전과 소실 후의 두 기록을 비교해 향후 복원과 방재계획 수립에 활용할 예정이다.
3D 스캐너를 사용할 경우, 석가래가 원래보다 얼마나 쳐져있는지, 남아있는 길이가 얼마인지 등 화재 피해상황을 밀리미터(mm) 단위까지 확인할 수 있다.
문화재연구소 김봉건 소장은 "3D 스캐너를 활용한 촬영에 2주일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며 "60년대 숭례문 수리 당시의 자료 등을 종합해서 3D 촬영 기록과 함께 종합적인 복원과 방재계획을 수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화재현장 작업 후 회수한 부재들은 경복궁 내 보관장소로 옮긴 뒤 재사용 가능한 부재를 따로 분류해 복원에 사용할 방침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46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