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악산 금산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악산 금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연혁
1)금산사 이야기
2)미륵성지 금산사 연혁

2. 금산사의 주요 문화재
1) 미 륵 전 (국보 제 62호)
2)노 주 (보물 제 22호)
3) 석 련 대 (보물 제 23호)
4)혜덕왕사 진응탑비 (보물 제 24호)
5) 오 층 석 탑 (보물 제 25호)
6) 사 리 탑(방등계단) (보물 제 26호)
7) 6 각 다 층 석 탑 (보물 제 27호)
8) 당 간 지 주 (보물 제 28호)
9) 대 장 전 (보물 제 827호)
10) 석 등 (보물 제 828호)
11) 삼성각
12) 보제루
13) 대적광전 (보물 476호)

본문내용

주 등은 조선 인조 이전의 목탑 잔영이며 법당 안에는 석가모니불과 상수 제자인 가섭존자와 아난존자를 봉안.
건물은 비교적 단조롭고 소규모이지만 정중 목탑의 변형 건물로 주목되며 석가모니불 후불광배의 조각이 뛰어나게 아름답다.
10) 석 등 (보물 제 828호)
법당앞을 밝히던 등불로 인등, 장명등이라고도 함.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1922년 대장전 이전 시에 함께 옮겼다고 함.
높이는 3.9m이며 화강암으로 건조.
방형판석을 지대석으로, 하대는 원형인데 복련으로 장식.
간석은 팔각형이며 각우마다 선을 쳐서 우주인 듯이 강조.
상대는 앙련으로 장식.
화사석과 개석은 팔각형이며 개석 정상에는 원대를 두어 상륜부를 받들게 함.
11) 삼성각
신각의 명칭은 상성각, 산신각, 산령각, 필성각, 성각 이렇게 5가지로 나타남.
삼성각은 우리 민족 토속신앙인 산신숭배로부터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음.
삼성각의 위치는 가람 배치의 형태에 따라 사찰의 후면이나 가장 구석진 곳, 즉 산신이 거주하는 산의 내부와 가장 가까운 곳을 찾아 사람이 드나드는 입구에서 가장 먼 곳에 위치.
산신이란 신이 지상에 내려와 산악이라는 높은 곳에 살기 때문에 대체로 사찰에서도 가장 높은 부지를 선택하여 삼성각 주위의 공간을 개방하지 않고 사찰내에서 또 하나의 독립된 분위기를 자아낼 수 있도록 숲으로 두르거나 담을 축조
다른 불전들은 중정공간을 공유하고 있는데 반하여 삼성각 자체의 독립적인 공간을 확보하여 대체로 별도의 중정을 가짐.
12) 보제루
루는 청정공간과 예불공간을 구별하여 주는 것으로 단이나 계단과 함께 작용하여 공간분화의 기능.
루를 통하여 중정에 이르는 진입 방법은 누의 밑을 지나서 중정에 이르는 누하진입과 루의 좌우측면을 통하여 진입하는 루 특면진입, 2가지가 있는데 금산사의 보제루는 누하 진입.
13) 대적광전 (보물 476호)
정면 7칸, 측면 4칸의 팔자지붕 건물.
넓은 법당안에는 마루를 깔았으며 후면에는 옆으로 길게 불단이 마련되어 있음.
불단에는 비로자나불과 함께 5신구의 여래 좌상이 있고 그 사이사이에 6보살이 안치.
불단의 후면에는 관음 보살과 동자를 그린 벽화.
구조양식은 조선 중기의 전형적인 법당 건축양식
참고문헌
시대를 담는 그릇 김봉렬 이상건축 1999
http://www.kumsansa.com
http://home.cein.or.kr/~x1kjdong/향토순례-문화유적%20메인.htm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7.07
  • 저작시기200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78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