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탑-한국건축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① 탑의 의미

② 탑의 기원과 형식

③ 탑의 전래

④ 석탑의 조형

⑤ 삼국 말의 시원 석탑

⑥ 신라의 석탑

⑦ 신라 석탑의 전형

⑧ 신라 석탑의 특수형

⑨ 고려와 그 이후의 석탑

⑩ 마치며..

본문내용

근에서 수기와 강원도 평창의 "월정사 8각9층석탑"이 전래되어 있는데, 그 중 일본에 방출된 "을리 5층석탑"은 매우 우수한 작품이다.
신라의 고도인 경상도를 중심으로 한 지역
신라의 고도인 경상도를 중심 삼아 신라 석탑계를 충실하게 계승 하면서 세부에 있어서 변형을 보인다. 예천의 "개심사지 5층석 탑" 같은 것은 기단에 낙문이 있어 연대를 알 수가 있다.
전라, 충청 양도를 중심으로한 지역
전라, 충청 양도에 걸쳐서는 그리 많은 유래는 아니나 익산의 "미륵사탑" 또는 부여의 "정림사탑" 등 백제의 석탑기 양식을 따르고 있다. 부여의 "무량사 5층석탑"과 "장하리 3층석탑"등을 들을수 있다.
⑩ 마치며..
한국의 석탑은 삼국말 600년경에 이남의 양국에서 발생해 오늘에 이르기까지 많은 작품을 남겼다. 신라 통일의 계기를 통하여 한국 석탑의 전형 양식을 얻게 되었다. 고려 시대에 이르러 각 지방의 특색에 맞게 석탑을 표현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조선 시대에도 미쳤으나, 임진왜란 이후 그 추세가 시들었다. 그러나 7세기 이후 약 1000년 동안 수없이 많은 석탑의 건립은 국내 천 수백 기의 석탑을 남기고 있으며, 동양에서의 면목을 오늘날 지내게 된 것이다.
  • 가격1,2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09.12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64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