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문자와 문물의 도입
1. 문자의 전래
2. 문화 ˑ 문물 ˑ 서적의 도입과 전파
Ⅲ. 시대별 문자 생활
1. 삼국 이전
2. 삼국
3. 고려
Ⅳ. 삼국, 후삼국 시대의 교육 및 문고
1. 삼국
2. 후삼국
Ⅴ. 고려시대의 교육 및 문고
1. 문고 설립 배경
2. 문고의 종류
Ⅵ. 결 론
Ⅱ. 문자와 문물의 도입
1. 문자의 전래
2. 문화 ˑ 문물 ˑ 서적의 도입과 전파
Ⅲ. 시대별 문자 생활
1. 삼국 이전
2. 삼국
3. 고려
Ⅳ. 삼국, 후삼국 시대의 교육 및 문고
1. 삼국
2. 후삼국
Ⅴ. 고려시대의 교육 및 문고
1. 문고 설립 배경
2. 문고의 종류
Ⅵ. 결 론
본문내용
顧問)
문덕전
-
연영전
-
비(서)각
-
-
장령전
-
청연각
-
보문각
-
서적소
(2) 왕실문고 이외의 문고
①수서원(修書院)
성종 9년(990)에 성종은 서경에 수서원이라는 도서관을 설치하고 선비에게 사적(史籍)을 초서(抄書)하게 하여 수많은 전적을 이곳에 옮겨다가 보관, 유지토록 함으로서 서경의 문예를 드높이는 반면 안전성, 영구성, 유용성을 생각하여 장래의 서적 보관의 열의를 보였다고 한다. 당시 수서원은 단순한 장서나 열람, 서적의 수집, 보존, 정리, 검토, 이용 등에만 의미를 부과한 것이 아니라 다분히 학술도서관 또는 국립대학도서관의 성격과 기능을 지녔던 듯하다.
②서적포(書籍鋪)
서적포는 고려 숙종 6년(1101) 3월에 국자감에 둔 문적의 판본과 서적인출의 장소로 쓰여졌던 고려시대 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을 다한 문화기관이었다.
따라서 서적포는 궁중에 독립되어 있었던 고려의 도서관이라기보다는 대학의 역할을 다한 국자감 내에 두었던 기관이었기 때문에 국자감의 부속도서관이라고도 표현할 수 있다. 그만큼 서적포는 국자감과 깊은 인연을 맺고 있었던 것이며 대학 부속도서관으로서의 교재출판과 교육 참고 도서관의 기능을 발휘했던 것이다.
③사원문고(寺院文庫)
고려시대에는 사찰이 많았다. 현재에도 삼국시대 혹은 고려시대에 건립된 큰 사찰이 많이 남아있으며, 이러한 사찰에서는 경판을 새기고 그 경판과 불서를 보존하는 역할도 하였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고려대장경을 들 수 있다. 수많은 사찰문고 중에서도 두 차례에 걸친 대장경과 의천의 속경 사업을 위한 조판은 불경의 장서처로부터 이루어졌을 것이며, 대장도감이나 교장도감이 그 역할의 일부를 담당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몇몇 사찰에서는 사고도 마련되어 있었는데, 고려시대 나라의 역사기록과 중요한 서적 문서를 보관한 국가의 서적고(書籍庫)를 사고라고 하며 특히 사고 안에 따로 역대 실록을 보관한 곳을 사각(史閣)이라 해서 그 보존에 힘을 썼고, 고려는 개국 초에 사관(史館)을 두어 국사의 편찬과 그 보관에 힘쓰다가 전란으로 이들 사기(史記) 등이 소실되어 1227년(고종 14)에 완성된 <명종실록>은 해인사에 사고를 마련하여 이를 보관하여 처음으로 사찰에 실록을 보관하는 선례를 남긴 것으로도 유명하다.
④개인문고
대 석학들의 개인문고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고, 다만 충선왕이 연경에서 연 만권당(萬券堂) 만권당(萬卷堂)은 고려 충선왕(忠宣王)이 원 나라 연경에 세운 독서당(讀書堂) 이름이다. 충선왕은 만권당을 세우고 많은 서적들을 수집하여 당시 원 나라의 거유(巨儒)였던 요수(姚燧), 조맹부(趙孟), 원명선(元明善), 우집(虞集) 등을 불러 경사(經史)를 연구하게 하고, 본국에서 이제현(李齊賢) 등을 불러 그들과 교유하게 하였다.
만이 기록에 전해지고 있다.
Ⅵ. 결 론
지금까지 각 시대별 문자와 문고를 그 시대의 배경과 더불어 문고가 발달한 배경도 살펴보았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는 중국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조선시대의 왕들 중에서는 도서에 관해 관심이 높은 왕들이 많았으며, 역사서 편찬 사업에 많은 힘을 쏟았다. 또한 이들의 주도하에 도서의 생산과 보존의 기술 또한 상당한 발달을 이루었다.
문자의 도입은 유교, 불교, 도교의 사상과 더불어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었으며, 삼국이 중앙 집권하는 과정에서 문자는 율령의 반포 등으로 인해 그 이용자가 확대되었다. 삼국시대 문고의 특징은 유학의 활성화로 인해 생겨난 기관에서 유학교육을 목적으로 서적을 만들어 활용하였으며, 불교, 도교, 유학의 관점에서 서적의 확대와 수입에 근간을 두고 문고가 형성되는데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고려시대의 경우 사찰문고를 중심으로 발전된 인쇄술은 불서(佛書) 뿐만 아니라 유서(儒書) 율서(律書) 사서(史書) 등 서적들의 편찬과 간행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외국과의 서적교류도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서적문화의 발달로 인하여 서적이 점차 증가하게 되었으며, 서적을 관리 보관할 수 있는 문고의 역할이 중요시되었다. 고려조의 문고시설은 비서각을 비롯한 왕실문고와 국가에서 직접 운영 관리했던 수서원 등의 관영문고가 있었으며, 그 외에도 각 사찰에 설치되었던 사원문고와 개인문고, 교육기관의 문고가 있었다. 특히 이 문고들 중에서도 서적의 간행과 편찬은 주로 왕실과 사찰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고려조의 왕실문고는 일정하게 정해진 하나의 전각만이 왕실문고의 기능을 수행한 것이 아니라 왕의 시대별로 전각의 기능이 자주 변화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듯 도서관은 시대와 상황을 반영하며 변화되고 있었던 것이다.
<참고문헌>
김동환. "고려시대의 도서관 연구 : 보문각을 중심으로" 서지학회 : 서지학 연구 제 32집. 2005
김세익. 도서 인쇄 도서관사. 아세아문화사. 1994
백린. 한국도서관사연구. 한국도서관협회. 1982
송기호. 문자생활과 역사서의 편찬, 서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2002.
송기호. 고대의 문자생활 비교와 시기구분. 강좌 한국사. 서울: 신정, 2003.
이기동. 안압지에서 출토된 신라목간에 대하여 『경북사학』제1집. 1979.3
이현희. 고려시대 도서관 연구(비서성-서적원), 국립중앙도서관. 1970
임지혜. "고려시대 왕실문고에 관한 고찰" 석사학위논문. 동덕여자대학교대학원. 2002
정필모/오동근. 도서관문화사. 구미무역출판부. 1991
정필모. 문헌정보학론. 구미무역출판부. 1996
한국도서관협회. 도서관학개론. 현대도서관학총서편찬위원회. 1979
☞ 참고 웹 사이트
박영선의 문화발전연구소 http://blog.naver.com/pysun1234/72380895
사단법인 고려역사선양회 http://www.koryo.or.kr
수원시 영화초교 홈페이지 www.young-hwa.es.kr
울산광역시 홈페이지 http://guidw.ulsan.go.kr
위키백과, 삼국시대의 교육 ko.wikipedia.org/wiki
파크서던랜드 홈페이지 www.parksouthernland.co.kr
한글창제원리 http://blog.daum.net/sinminsu/15138948
문덕전
-
연영전
-
비(서)각
-
-
장령전
-
청연각
-
보문각
-
서적소
(2) 왕실문고 이외의 문고
①수서원(修書院)
성종 9년(990)에 성종은 서경에 수서원이라는 도서관을 설치하고 선비에게 사적(史籍)을 초서(抄書)하게 하여 수많은 전적을 이곳에 옮겨다가 보관, 유지토록 함으로서 서경의 문예를 드높이는 반면 안전성, 영구성, 유용성을 생각하여 장래의 서적 보관의 열의를 보였다고 한다. 당시 수서원은 단순한 장서나 열람, 서적의 수집, 보존, 정리, 검토, 이용 등에만 의미를 부과한 것이 아니라 다분히 학술도서관 또는 국립대학도서관의 성격과 기능을 지녔던 듯하다.
②서적포(書籍鋪)
서적포는 고려 숙종 6년(1101) 3월에 국자감에 둔 문적의 판본과 서적인출의 장소로 쓰여졌던 고려시대 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을 다한 문화기관이었다.
따라서 서적포는 궁중에 독립되어 있었던 고려의 도서관이라기보다는 대학의 역할을 다한 국자감 내에 두었던 기관이었기 때문에 국자감의 부속도서관이라고도 표현할 수 있다. 그만큼 서적포는 국자감과 깊은 인연을 맺고 있었던 것이며 대학 부속도서관으로서의 교재출판과 교육 참고 도서관의 기능을 발휘했던 것이다.
③사원문고(寺院文庫)
고려시대에는 사찰이 많았다. 현재에도 삼국시대 혹은 고려시대에 건립된 큰 사찰이 많이 남아있으며, 이러한 사찰에서는 경판을 새기고 그 경판과 불서를 보존하는 역할도 하였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고려대장경을 들 수 있다. 수많은 사찰문고 중에서도 두 차례에 걸친 대장경과 의천의 속경 사업을 위한 조판은 불경의 장서처로부터 이루어졌을 것이며, 대장도감이나 교장도감이 그 역할의 일부를 담당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몇몇 사찰에서는 사고도 마련되어 있었는데, 고려시대 나라의 역사기록과 중요한 서적 문서를 보관한 국가의 서적고(書籍庫)를 사고라고 하며 특히 사고 안에 따로 역대 실록을 보관한 곳을 사각(史閣)이라 해서 그 보존에 힘을 썼고, 고려는 개국 초에 사관(史館)을 두어 국사의 편찬과 그 보관에 힘쓰다가 전란으로 이들 사기(史記) 등이 소실되어 1227년(고종 14)에 완성된 <명종실록>은 해인사에 사고를 마련하여 이를 보관하여 처음으로 사찰에 실록을 보관하는 선례를 남긴 것으로도 유명하다.
④개인문고
대 석학들의 개인문고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고, 다만 충선왕이 연경에서 연 만권당(萬券堂) 만권당(萬卷堂)은 고려 충선왕(忠宣王)이 원 나라 연경에 세운 독서당(讀書堂) 이름이다. 충선왕은 만권당을 세우고 많은 서적들을 수집하여 당시 원 나라의 거유(巨儒)였던 요수(姚燧), 조맹부(趙孟), 원명선(元明善), 우집(虞集) 등을 불러 경사(經史)를 연구하게 하고, 본국에서 이제현(李齊賢) 등을 불러 그들과 교유하게 하였다.
만이 기록에 전해지고 있다.
Ⅵ. 결 론
지금까지 각 시대별 문자와 문고를 그 시대의 배경과 더불어 문고가 발달한 배경도 살펴보았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는 중국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조선시대의 왕들 중에서는 도서에 관해 관심이 높은 왕들이 많았으며, 역사서 편찬 사업에 많은 힘을 쏟았다. 또한 이들의 주도하에 도서의 생산과 보존의 기술 또한 상당한 발달을 이루었다.
문자의 도입은 유교, 불교, 도교의 사상과 더불어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었으며, 삼국이 중앙 집권하는 과정에서 문자는 율령의 반포 등으로 인해 그 이용자가 확대되었다. 삼국시대 문고의 특징은 유학의 활성화로 인해 생겨난 기관에서 유학교육을 목적으로 서적을 만들어 활용하였으며, 불교, 도교, 유학의 관점에서 서적의 확대와 수입에 근간을 두고 문고가 형성되는데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고려시대의 경우 사찰문고를 중심으로 발전된 인쇄술은 불서(佛書) 뿐만 아니라 유서(儒書) 율서(律書) 사서(史書) 등 서적들의 편찬과 간행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외국과의 서적교류도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서적문화의 발달로 인하여 서적이 점차 증가하게 되었으며, 서적을 관리 보관할 수 있는 문고의 역할이 중요시되었다. 고려조의 문고시설은 비서각을 비롯한 왕실문고와 국가에서 직접 운영 관리했던 수서원 등의 관영문고가 있었으며, 그 외에도 각 사찰에 설치되었던 사원문고와 개인문고, 교육기관의 문고가 있었다. 특히 이 문고들 중에서도 서적의 간행과 편찬은 주로 왕실과 사찰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고려조의 왕실문고는 일정하게 정해진 하나의 전각만이 왕실문고의 기능을 수행한 것이 아니라 왕의 시대별로 전각의 기능이 자주 변화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듯 도서관은 시대와 상황을 반영하며 변화되고 있었던 것이다.
<참고문헌>
김동환. "고려시대의 도서관 연구 : 보문각을 중심으로" 서지학회 : 서지학 연구 제 32집. 2005
김세익. 도서 인쇄 도서관사. 아세아문화사. 1994
백린. 한국도서관사연구. 한국도서관협회. 1982
송기호. 문자생활과 역사서의 편찬, 서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2002.
송기호. 고대의 문자생활 비교와 시기구분. 강좌 한국사. 서울: 신정, 2003.
이기동. 안압지에서 출토된 신라목간에 대하여 『경북사학』제1집. 1979.3
이현희. 고려시대 도서관 연구(비서성-서적원), 국립중앙도서관. 1970
임지혜. "고려시대 왕실문고에 관한 고찰" 석사학위논문. 동덕여자대학교대학원. 2002
정필모/오동근. 도서관문화사. 구미무역출판부. 1991
정필모. 문헌정보학론. 구미무역출판부. 1996
한국도서관협회. 도서관학개론. 현대도서관학총서편찬위원회. 1979
☞ 참고 웹 사이트
박영선의 문화발전연구소 http://blog.naver.com/pysun1234/72380895
사단법인 고려역사선양회 http://www.koryo.or.kr
수원시 영화초교 홈페이지 www.young-hwa.es.kr
울산광역시 홈페이지 http://guidw.ulsan.go.kr
위키백과, 삼국시대의 교육 ko.wikipedia.org/wiki
파크서던랜드 홈페이지 www.parksouthernland.co.kr
한글창제원리 http://blog.daum.net/sinminsu/15138948
추천자료
장서개발에 대하여
시립도서관 및 평생학습관의 독서교실 운영 프로그램의 개선방안
[디지털][디지털혁명][디지털화][디지털경제][디지털시장][디지털사회]디지털혁명(디지털화)...
[인터넷정보검색][검색엔진][인터넷검색엔진]인터넷정보검색의 개념, 인터넷정보검색기법의 ...
[도서관 사서직][도서관 사서][사서][도서관]도서관 사서직의 전문성 성격, 도서관 사서직의 ...
[학위논문, 학위논문가치, 학위논문서지, 학위, 논문] 학위논문의 정의, 특성, 가치, 기본 요...
듀이십진분류법(DDC)의 발전과 듀이십진분류법(DDC)20판의 특징, 듀이십진분류법(DDC)20판의 ...
[전문대학][도서관][문헌정보과][전문대학의 장점][전문대학의 방향]전문대학의 목적, 전문대...
[도서관사서 계속교육]도서관사서 계속교육의 유형, 도서관사서 계속교육의 중요성, 도서관사...
스마트폰을 활용한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
[탈식민성][희곡][아나키즘][문학비평][김지하][도가철학][문헌정보][탈식민지]탈식민성과 희...
[선택적 정보배포][SDI][선택적 정보배포 구현]선택적 정보배포(SDI)의 발전과정, 선택적 정...
[정보사회와 디지털 문화 공통] 1. 컴퓨터에서 인터넷 검색엔진 구글, 다음, 네이버 등에 접...
외국인노동자을 위한 정보서비스, 외국인 노동자 정보빈곤,연구방법 및 데이터 수집방법,외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