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 베르나르 베르베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뇌 - 베르나르 베르베르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뒀느냐고 힐책한다' 베르베르는 잔잔한 유머를 주면서 생각하게끔 하는 힘을 지녔다.
☞ 125 딥블루Ⅳ회사에서 교육기관으로 넘어간 딥블루Ⅳ는 고물상에서 성 마그리트 병원으로 이양되었다.
☞ 126 아테나 컴퓨터의 회한
웃음, 꿈, 어리석음이 없다
☞ 128 딥블루Ⅳ에 버금가는 컴퓨터가 들어오다. 마르탱이 핀처와 대화를 나누려하자 핀처는 바쁘다며 가서는 나타샤 안데르센을 만나 키스를 한다. 마르탱이 그 모습을 감시 카메라를 통해 바라본다
☞ 135 체르니엔코 박사도 성 마그리트 병원에 있었다
☞ 136 나타샤 안데르센은 그녀의 어머니( 체르니엔코 박사)가 헤로인 중독에서 구해내기 위헤 뇌에 전극을 시'C으나 불감증 여자가 됨
☞ 137 나타샤 안데르센은 나타샤 체르니엔코였다. 그녀는 헤로인 중독의 결핍에선 벗어났지만 감정 이입의 결핍에 시달리고 있었다.
☞ 138 장 루이 마르탱이 살인자다
오딧세우스가 찾아간 오귀기아섬이 성 마그리트 섬이다!!!!!
☞ 139 마르탱과 이지도르의 설전
자신이 영웅 오딧세우스라고 믿는 마르탱(아무)과 악마 퀴클롭스라 우기는 이지도르
☞ 140 하나의 Theme로 합쳐지기 시쟉
☞ 146우리는 무엇에 이끝려 행동하는가? 동기정리
"-복사
☞ 147 7대 중죄
탐식,사치,분노,나태,인색함,교만,시샘
(참고) 호메로스의 [오딧세이]
호메로스(Homeros.BC 800?∼BC 750)
BC 800년경 전후 존재했다는 고대 그리스 최고(最古)ㆍ최대 시인. 유럽문학 최고 최대(最古最大)의 서사시 <일리아스(Ilias)>와 <오디세이아(Odysseia)>의 작자라고 전해진다.
호메로스의 전기(傳記)는 상대(上代)로부터 여러 가지 있으나, 대부분이 작위(作爲)가 많아 믿을 수 없다. 연대는 헤로도토스에 의하면, 헤시오도스와 함께 그보다 400년 전으로 잡고 있는데 이것도 확증이 없다. 고전에 의하면, 그는 이오니아의 멜레스(Meles) 강변에서 태어나 ‘melesigenes'라고 명명되었다고 하는데 언어학적으로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 두 시는 이오니아 방언과 아이올리스 분자(分子)를 섞은 것이다. 호메로스의 이름은 ’합치는 자‘ 등 각종의 어원이 있다. 때로 그의 역사적 존재나 출생지 등이 의문시되고 있다. 또 알렉산드리아 시대에는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를 각각 다른 사람의 작품이라고 하는 이른바 ’분리파’의 학설도 유력하였다.
현대의 주요한 호메로스 학자간에서는 그의 존재를 거의 확실시하고 있는데, 연대는 일치하지 않고 대개는 BC 800년경을 전후한다. 문체ㆍ용어ㆍ종교사상ㆍ처세관 등이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 사이에 차이가 나타나기는 하지만, 이것 또한 결정적은 아니다. 왜냐 하면, 이 두 시 특히 <일리아스>는 단일체가 아니고 약간의 낡은 가요를 골자로 여러 차례의 추보(追補)ㆍ수정을 거쳐 대성된 복합체이기 때문이다.
예컨대, <일리아스>는 아킬레우스의 노염을 주요한 계기로 하고 약간의 삽화를 집어넣어 수차의 추가ㆍ개변(改變)을 거쳐 성립된 것이라 한다. 따라서, 이에 관여한 몇몇 유력한 작자 중 누구를 호메로스로 할 것인가에 따라 문제는 크게 바뀌어진다. 이 두 시는 예로부터 무사(武士)의 거성(居城)이나 집회에서 악인(樂人)에 의해 영창(詠唱)되어 오는 동안에 점차 변형을 거듭한 것으로, 호메로스가 그 중 최대의 집성자인 것이다. BC 6세기에 판아테나이 대제(大祭)에서 정식으로 채용되어, 페이시스트라트스 왕조 때 거의 현형(現形)으로 되었다 하나 다른 설도 있다.
그 후 알렉산드리아 시대에 유력한 고증학자 아리스타르코스가 나와 ‘호메로스학’이 발전하였다. 그러므로 트로이아 역(役)은 반(半) 사실로서 BC12세기경에다 두게 되었고, 이에 관한 가요(歌謠)도 BC10세기경에 약간 존재하였다고 추정된다.
그러나 호메로스에게는 이러한 낡은 데사리아계의 요소(아이오리스 방언을 주로 쓰고, 내용은 청동시대에 일어난 일이며, 전쟁에는 전차와 길고 둥근 방패를 사용한다)외에 그가 살았던 89세기의 철을 사용하고 둥근 방패와 병렬(兵列)을 가지고 싸웠던 생활 양상이 현저하게 나타나 있다. 따라서, 호메로스 시는 이오니아 방언을 주 요소로 하고, 여기에 아이로리스계의 정귀(定句)성어(成語) 기타를 수시로 적응시켜 채용하고 있는 것이다.
호메로스는 일찍이 고전 그리스에서 전범(典範)으로 존중되었고, 그 삿귀(詞句)도 후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리아스>와 <오딧세이>모두 트로이 전쟁을 다룬 것으로, <일리아스>는 아킬레스의 분노를, <오딧세이>는 오딧시우스의 표랑과 귀국 후에 아내의 구혼자를 살육한 전말을 노래한 대서사시로 그 언어적인 완성, 무기교의 기교, 명랑하면서도 일말의 애감(哀感)을 띠어 아무런 전통적고증학적인 짐을 지지 않은 자유로움과 속도감에 의해 다른 것에 비할 수 없는 아름다움을 갖추고 있다. (학원사: <문예대사전>)
【작품】<일리아스(Ilias)>와 *<오디세이아(Odysseia)> <마르기테스>와 <와서회전(蛙鼠會戰)>
【찬가집(讚歌集)】<호메로스 찬가>
총평(간략하게)
[뇌]는 베르나를 베르베르의 작품 중 우리나라에 가장 많이 알려진 작품이다. 하지만, 나는 이 책을 사서 보지도 않고 PDA를 통해 읽었다. 따라서 문장의 흐름이나 내용의 연결에서 다소 무리를 느끼고 읽었고, 요즘에 가중되는 눈의 피로도는 더없이 책을 읽는데 훼방꾼이 되었다.
[뇌]는 정말 센세이셔널한 소재를 다루고 있다. 그리고 베르나르 베르베르는 정신과 의사인 것으로 착각을 하게 할 정도로 이쪽 분야에 지식이 많다. 그만큼 그가 이 소설을 쓰기 위해 얼마나 많은 정성을 들였는지 알 수 있는 일이다. 단, 그러한 점이 지나치다 보니 베르나르 베르베르가 자신의 의학적인 실력에 도취(?)되어 짐짓 자만을 떤 부분이 군데군데 보인다. 그것이 독자들로 하여금 가끔 식상한 부분이 되게 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 책은 여러 번 읽어보아야 할 만큼 도전적이고 색깔있는 작품이었다.
이 책의 마지막 부분에 누가 정상인이고, 비정상인가 하는 대목이 나오는데 내가 몇 년 전 썼던 소설[상지원]의 주제와 닮아 호감을 더 가게 하는 작품이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48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