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변동 비율, 변동 간격
2. 인지주의 이론
① Lewin의 인지(認知)조건설
Kohler의 학습이론은 오늘날에 형태심리학에 의한 학습이론에 비한다면 이미 고전적인 것이라 하겠다. 오늘날은 Lewin의 장설(場設)또는 인지조건설, Tolman의 기호(記號)학습설 등으로 발전하고 있다. Lewin은 형태심리학을 위상심리학 또는 벡터심리학으로 발전시켰다. 즉 그는 행동을 규정하는 제 조건을 취급함에 있어 과학적 구성개념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토포로지 기하학의 개념을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이것에 대해서 장의 역동설을 한층 명확하게 하였으며, 이 장의 개념에다 그의 학설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그는 생활체에게 외계가 부여하는 것은 단지 보고, 듣고, 감촉하는 감각의 총체만이 아니고 마음을 끄는 pulus valence라든가 혹은 반발하는 minus valence를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그는 이러한 관계에서 생활체와 이를 둘러싸고 있는 외계와의 관계를 이것으로 파악하며 장의 개념을 성립시켰던 것이다. 인간은 그가 말하는 이러한 장가운데서 행동하고 있는데, 어떤 일정한 순간에 있어서 개인의 행동을 구정하는 조건의 총체를 상활공간아라고 하였다. 이리하여 행동을 이 생화공간의 함수관계(函數關係)라고 하며 이것을 B=f(L)로 표현하였다. 따라서 생활공간은 크게 사람(P)과 환경(E)으로 나눌 수 있기 때문에 B=f(L)는B=f(P,E)로 바꾸어 쓸 수 있다. 이것은 Lewin의 근본적인 행동법칙인 것이다. Lewin은 학습론에서 학습이란 행동의 속도성질개선 등의 변화라 하여 즉 “이전보다는 낫게 되도록 하는 것”이라고 학습을 다음과 같은 형태로 구분하였다.
인지(認知)구조(構造)의 변화로서의 학습
Motivation의 변화로서의 학습
집단의 소속 혹은 이데올로기의 변화로서의 학습
신체적 근육의 유의(有意)적 통제(統制)로서의 학습 등이다.
② 정보처리 이론
- Zanden ⇒ 기억은 현재를 이해할 수 있는 과거에 관한 지식이다.
- 정보처리(Information Processing)
어떤 사실을 기억하는 데에는 그 사실이 기억체제속에 입력되는 과정인 부호화, 그 사실이 필요할 때까지 저장하는 과정인 저장, 그리고 그 사실을 필요로 할 때 인출하는 등의 3단계 과정이 내포되어 있다.
이 단계는 연속적으로 일어난다. 즉 어떤 신호가 들어오면 그것은 저장될 수 있는 상태로 변형된다. 이것을 흔적이라고 말한다. 즉 어떤 사상이 사라진 뒤에 기억 속에 남아 있는 사상의 흔적이다. 부호화되면 흔적은 기억 속에 저장된다. 마지막으로 필요에 따라서 저장된 자료들을 찾게 된다.
- TOTE
1) Test : 상황의 판단
2) Operation : 최초의 상황판단에 따른 문제해결 행동
3) Test : 문제해결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재검토
4) Exit : 문제해결에 따른 과정의 종료
계속적인 검사결과에 따라 작업의 계속여부가 결정되는 것이지만 feed back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이는 비교 검증 및 나타난 결과에 따른 것이다.
2. 인지주의 이론
① Lewin의 인지(認知)조건설
Kohler의 학습이론은 오늘날에 형태심리학에 의한 학습이론에 비한다면 이미 고전적인 것이라 하겠다. 오늘날은 Lewin의 장설(場設)또는 인지조건설, Tolman의 기호(記號)학습설 등으로 발전하고 있다. Lewin은 형태심리학을 위상심리학 또는 벡터심리학으로 발전시켰다. 즉 그는 행동을 규정하는 제 조건을 취급함에 있어 과학적 구성개념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토포로지 기하학의 개념을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이것에 대해서 장의 역동설을 한층 명확하게 하였으며, 이 장의 개념에다 그의 학설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그는 생활체에게 외계가 부여하는 것은 단지 보고, 듣고, 감촉하는 감각의 총체만이 아니고 마음을 끄는 pulus valence라든가 혹은 반발하는 minus valence를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그는 이러한 관계에서 생활체와 이를 둘러싸고 있는 외계와의 관계를 이것으로 파악하며 장의 개념을 성립시켰던 것이다. 인간은 그가 말하는 이러한 장가운데서 행동하고 있는데, 어떤 일정한 순간에 있어서 개인의 행동을 구정하는 조건의 총체를 상활공간아라고 하였다. 이리하여 행동을 이 생화공간의 함수관계(函數關係)라고 하며 이것을 B=f(L)로 표현하였다. 따라서 생활공간은 크게 사람(P)과 환경(E)으로 나눌 수 있기 때문에 B=f(L)는B=f(P,E)로 바꾸어 쓸 수 있다. 이것은 Lewin의 근본적인 행동법칙인 것이다. Lewin은 학습론에서 학습이란 행동의 속도성질개선 등의 변화라 하여 즉 “이전보다는 낫게 되도록 하는 것”이라고 학습을 다음과 같은 형태로 구분하였다.
인지(認知)구조(構造)의 변화로서의 학습
Motivation의 변화로서의 학습
집단의 소속 혹은 이데올로기의 변화로서의 학습
신체적 근육의 유의(有意)적 통제(統制)로서의 학습 등이다.
② 정보처리 이론
- Zanden ⇒ 기억은 현재를 이해할 수 있는 과거에 관한 지식이다.
- 정보처리(Information Processing)
어떤 사실을 기억하는 데에는 그 사실이 기억체제속에 입력되는 과정인 부호화, 그 사실이 필요할 때까지 저장하는 과정인 저장, 그리고 그 사실을 필요로 할 때 인출하는 등의 3단계 과정이 내포되어 있다.
이 단계는 연속적으로 일어난다. 즉 어떤 신호가 들어오면 그것은 저장될 수 있는 상태로 변형된다. 이것을 흔적이라고 말한다. 즉 어떤 사상이 사라진 뒤에 기억 속에 남아 있는 사상의 흔적이다. 부호화되면 흔적은 기억 속에 저장된다. 마지막으로 필요에 따라서 저장된 자료들을 찾게 된다.
- TOTE
1) Test : 상황의 판단
2) Operation : 최초의 상황판단에 따른 문제해결 행동
3) Test : 문제해결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재검토
4) Exit : 문제해결에 따른 과정의 종료
계속적인 검사결과에 따라 작업의 계속여부가 결정되는 것이지만 feed back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이는 비교 검증 및 나타난 결과에 따른 것이다.
추천자료
학습이론-행동주의와 인지주의
학습이론-인지주의 학습이론, 인간주의적 학습이론, 행동주의적 학습이론의 분석과 예시 고찰...
학습의 정의, 학습의 범위, 파블로프의 행동주의 학습이론, 손다이크의 행동주의 학습이론, ...
[인지주의학습][인지주의학습이론]인지주의학습(인지주의학습이론) 종류,본질, 법칙과 인지주...
[행동주의][형태주의][인지주의][인본주의][구성주의]행동주의(행동주의학습이론), 형태주의(...
구성주의교육(구성주의학습이론)의 유형, 구성주의교육(구성주의학습이론)의 역사와 특징, 구...
교수학습이론의 의미와 동기, 교수학습이론의 행동주의학습이론과 형태주의학습이론, 교수학...
LEANING THEORY (행동주의학습이론, 파브로브고전적조건화, 스키너, Skinner, 손다이크시행착...
행동주의와 인지주의 학습이론 비교와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