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케어 업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케어 업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피부가 눌리는 부위에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기 위해 마사지
4)특수 침대 사용: 누워만 지내는 어르신의 경우 공기 매트리스를 사용
5)피부건강 유지: 피부에 충분한 영양을 공급받지 못하면 더 쉽게 욕창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단백질과 비타민을 섭취하고, 수분섭취도 충분히 해주도록 한다.
6. 치매예방법
1)식사의 균형을 유지 (자신이 먹을 수 있는 양의 80%정도)
2)고혈압예방과 치료, 당뇨병을 조절해야 한다.
3)술은 적당히, 담배는 금연
4)운동은 규칙적으로
5)기억장애 / 언어장애등 치매가 의심될 때는 빨리 검사를 받아야 한다.
6)새로운 친구를 만들며 젊은 사람들과 어울려 지낸다.
7)새로운 정보를 항상 접하고 일상생활에서 적응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8)즐겁고 느긋하게, 긍정적인 태도록 노후생활을 보내도록 한다.
7. 치매증상중 건망증에 대한 케어
노인이 같은 것을 몇 번이고 묻는 것을 병의 탓으로 돌리고 체념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질문을 받은 쪽도 짜증내지 말고 끈기 있게 몇 번이고 같은 말을 되풀이 하는 것이 편하고 노인으로부터 스트레스도 덜 받는다.
8. 화상의 손상정도를 구분 / 응급처치방법
* 응급대응의 원칙
- 곧바로 깨끗한 물에 식힌다.(10분 이상)
- 환부에 직접 수압이 가지 않도록 식힌다.
- 통증이 가라않을 때까지 식힌다.(최저 30분)
화상의 정도
외견상 증상
응급처치방법
1) 제1도 화상
피부색이 붉다. 통증.
표피층만의 손상이 보이며 부종이 있다.
깨끗한 타월을 대고 수돗물로
통증이 없을 때까지 식힌다.
2) 제2도 화상
피부가 붓고 빨갛게 되면서
수포가 발생한곳도 있음. 표피
및 진피손상. 통증 있음. 탄
듯한 느낌
① 상동
② 소독거즈를 대고 수포를
터트리지 않도록 한다.
③ 의사의 진찰과 진료.
3) 제3도 화상
피부가 말라 탄력이 없고 창백
하게 되면서 탄 곳도 있음(괴상)
피부의 감각이 없음
진피, 심부조직까지 손상.
흉터가 보임
① 상위 ①번과 동일
② 소독거즈를 댄다.
③ 의사의 진찰과 진료
* 화상 시 수포가 발생하면 전해질 불균형으로 생명까지 위험해 질 수 있으며 세균으로부터 의 감염이 쉽다.
4). 전신화상
① 옷을 입은 채로 물을 부어 식힌다.
② 통증이 없으면 옷을 벗기고 냉수에 적신 타월이나 천등으로 계속 식힌다.
화상을 입지 않은 곳은 춥지 않도록 따뜻하게 타월로 감싸준다.
③ 옷이 피부에 붙어있을 때에는 그 부분만 남기고 나머지는 잘라낸다.
④ 화상 입은 부분을 계속 식히면서 빨리 병원이나 의사를 부른다.
⑤ 갈증을 호소할 때에는 의사의 허가가 있을 때까지 물을 마시게 해서는 안 된다.
(입안을 살짝 행굴 정도만)
* 화상은 손상정도보다 그 범위가 더욱 중요하다.
(성인 20%이상, 어린이 10%이상 - 쇼크가 온다)
체표면적의 1/2이상이면 거의 사망, 1/3이상이면 아주위험하다
5) 약품에 의한 화상
① 물로 20분 이상 충분히 씻겨낸다.
② 산성약품(염산 등)은 피부를 아프게 한다. 알칼리성 약품(표백제)은 변화가 없는 듯이
보여도 충분히 씻지 않으면 상처가 깊게 된다.
③ 옷 속으로 약품이 들어갔을 때에는 깨끗한 수돗물로 씻어내고 의료기관으로 옮긴다.
6) 저온화상
- 마비가 있는 경우나 노안으로서 피부의 감각이 무딘 경우에는 본인도 느끼지 못하는
경우에 저온 화상을 입을 경우가 있다.
- 피부의 변색 등을 잘 관찰하고 화상의 염려가 있는 경우에는 진찰이나 진료를 받도록 한다.
- 함부로 약 등을 발라 방치하면 큰 화를 입을 수도 있다.
7) 입안화상
뜨거운 음식물로 입안에 화상을 입게 되면 먼저 얼음물로 입안을 몇 번이나 헹구고 나서
입안을 얼음으로 살살 녹여서 식힌다.
9. 상처관리의 원칙
1)피가 흐르는 상처는 지혈은 먼저 한다.
2)오염된 상처는 흐르는 수돗물이나 생리식염수로 세척한다.
3)상처부위를 심장보자 높게 하여 상처부위에 혈액순환을 저하시킨다.
4)상처가 깊지 않고 출혈이 멈추었으면 소독된 거즈로 덮고 반창고로 고정한다.
5)상처가 깊거나 통증이 심하면 소독을 하고 병원에 가도록 한다.
깊게 찔린 상처는 파상풍의 우려가 있어 전문가의 치료가 요구된다.
6)흉터 예방에 있어서 최선의 방법은 상처가 오염되지 않도록 멸균상태를
유지하는 것과 건조되지 않도록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10. 심폐소생술의 단계
1)의식상태의 확인
2)호흡의 확인과 기도의 확인
3)인공호흡(마우스 투 마우스)
4)흉부압박
5)규칙적인 흉부압박과 인공호흡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60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