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나, 나하나, 너하 나, 나하나, 너하나"라고 말하며 하나씩 번갈아 주면서 나눈다.창훈이는 다섯 마리의 동물 인형에게 각각 한 채씩의 집을 지어준다.
5개 이상의 사물이 있는 집합의 크기를 정확하게 비교한다.지형이는 "우리 모두 열 여덟 장씩 카드를 가졌으니 게임을 시작하자!"라고 말한다.대명이는 열두 개의 컵을 세면서 열두 명의 유아에게 나누어준다.
28.사물의 수세기
수와 사물을 관련짓지 않는다.교사가 "블록 한 개만 집어줄래?" 라고 말하자 정윤이는 블록 두 개를 집어 준다.교사는 유림이에게 "사과를 더 먹고 싶으면 한 조각 더 먹을 수 있다"고 말하지만, 유 림이는 여러 조각을 집는다.
사물 하나 하나를 짚으면서 숫자를 말하지만, 그 순서가 틀리는 경우도 있다. 미술 영역에서 종이가 두 장씩 필요하자, 상준이는 "하나, 둘" 세면서 다른 유아들에게 종이를 두 장씩 나누어준다.효정이는 교사가 책이 몇 권 있냐고 묻자 한 권씩 짚으며 "하나, 둘, 셋..., 여덟, 일곱, 열"이라고 말한다.
3개의 사물을 정확하게 센다.교사가 세 번째 물고기를 어항에 넣자 유성이는 "물고기가 세 마리 있어요."라고 말한 다.정민이는 자전거를 가리키며 "하나, 둘, 셋"하고 센다.
4에서 10까지를 정확하게 센다. 원국이는 나무못 여덟 개를 세어 판에 꽂는다.한솜이는 카드를 열 장씩 나누어준다.
10 이상의 수를 정확하게 센다.현수는 수저로 구슬 스무 개를 정확히 세며 다른 그릇에 한 개씩 옮긴다.홍석이는 교사에게 색종이 스물 다섯 장을 세어 준다.
29. 공간적 관계 기술하기
사람과 사물의 상대적인 위치(위, 아래, 앞, 뒤)나 사물이 움직이는 방향을 나타내는 지시 (위로, 아래로, 앞으로, 뒤로, 안으로, 밖으로)를 따르지 못한다.진주는 "모자의 챙을 앞으로 해서 써 볼래?"라는 교사의 말에 교사를 바라볼 뿐 아무 반응도 보이지 않는다.혜성이는 인형을 의자 뒤에 놓으라는 교사의 말에 인형을 의자 밑에 놓는다.
위, 아래, 앞으로 등의 지시를 따르지만 정확하게 말하지는 않는다. 재희는 "위로"라고 말하면서 손을 옆으로 흔든다.'가라사대' 게임에서 진우는 지시대로 한다.
사물의 상대적인 위치를 묘사하는 단어(너머, 아래, 뒤에, 앞에)를 사용한다.경은이는 "시연아, 내 옆에 앉아."라고 말한다.태상이는 "자, 재훈아. 내 옆에 서 봐!"라고 말한다.
사물의 움직임의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를 사용한다. 승현이는 "네 쪽으로 공을 굴릴게, 잘 잡아."라고 말한다.재윤이는 "거미가 벽을 타고 올라가서 그 옆 싱크대로 내려갔을 거예요."라고 말한다.
사물들간의 상대적인 거리를 묘사하는 용어를 사용한다.동우는 운전하는 시늉을 하며 "한양 아파트는 유치원에서 아주 멀어요. 오래 가야 나오 니까 기다리세요."라고 말한다.경수는 도화지에 유치원, 집을 나란히 그린 후 공원은 멀리 떨어진 곳에다 그린다. 교사 에게 공원이 집에서 유치원보다 더 멀리 있다고 설명한다.
30. 순서와 시간 기술하기
아직은 시간 혹은 사건의 일상적인 순서에 대한 이해를 보이지 못한다.간식을 먹기 위해 손을 씻으며 지만이는 "이제 바깥 놀이 할 시간이다!"라고 말한다.규영이는 다른 친구들이 옷 입고 버스를 기다리는 동안 교실에서 계속 놀이를 한다.
순서상으로 다음에 오는 사건을 계획하거나 예측한다. 소영이는 자유 놀이 후 정리하며 "이제 모이는 시간이다."라고 말한다.모이는 시간이 되자, 원경이는 상아에게 "이제 노래 부를 거야, 어제 배운 거."라고 이 야기한다.
일련의 사건들을 정확한 순서로 묘사한다.세진이는 엄마에게 "점심 먹고 나서 양치질하고, 책을 봤어요."라고 말한다.영식이는 교사에게 자유놀이 시간에 놀이한 것을 순서대로 정확히 말한다.
시간 간격을 정확하게 비교한다. 부영이는 세 발 자전거를 타고나서 교사에게 "선생님 미나보다 제가 더 빨리 타요."하 고 말한다.경서는 자기 생일 다음날에 "또 내 생일이 되려면 아주 멀었어. 아주 오래 기다려야 하 지만 엄마 생일은 조금만 기다리면 돼."라고 말한다.
관례적인 시간 용어(아침, 어제)를 사용하여, 일련의 사건들을 순서상으로 정확하게 묘사 한다.지연이는 교사에게 "정리하고 이제 모이는 시간이니까 다음엔 간식 먹는 시간이죠?"라 고 말한다.주말 지낸 이야기를 할 때 경선이는 "토요일에는 할머니 댁에 갔다왔고 어제는 공원에 갔었어요. 엄마는 오늘도 또 공원에 데려다 주신 댔어요."라고 말한다.
출처: 교사를 위한 유아관찰지침서(한국어린이육영회)
5개 이상의 사물이 있는 집합의 크기를 정확하게 비교한다.지형이는 "우리 모두 열 여덟 장씩 카드를 가졌으니 게임을 시작하자!"라고 말한다.대명이는 열두 개의 컵을 세면서 열두 명의 유아에게 나누어준다.
28.사물의 수세기
수와 사물을 관련짓지 않는다.교사가 "블록 한 개만 집어줄래?" 라고 말하자 정윤이는 블록 두 개를 집어 준다.교사는 유림이에게 "사과를 더 먹고 싶으면 한 조각 더 먹을 수 있다"고 말하지만, 유 림이는 여러 조각을 집는다.
사물 하나 하나를 짚으면서 숫자를 말하지만, 그 순서가 틀리는 경우도 있다. 미술 영역에서 종이가 두 장씩 필요하자, 상준이는 "하나, 둘" 세면서 다른 유아들에게 종이를 두 장씩 나누어준다.효정이는 교사가 책이 몇 권 있냐고 묻자 한 권씩 짚으며 "하나, 둘, 셋..., 여덟, 일곱, 열"이라고 말한다.
3개의 사물을 정확하게 센다.교사가 세 번째 물고기를 어항에 넣자 유성이는 "물고기가 세 마리 있어요."라고 말한 다.정민이는 자전거를 가리키며 "하나, 둘, 셋"하고 센다.
4에서 10까지를 정확하게 센다. 원국이는 나무못 여덟 개를 세어 판에 꽂는다.한솜이는 카드를 열 장씩 나누어준다.
10 이상의 수를 정확하게 센다.현수는 수저로 구슬 스무 개를 정확히 세며 다른 그릇에 한 개씩 옮긴다.홍석이는 교사에게 색종이 스물 다섯 장을 세어 준다.
29. 공간적 관계 기술하기
사람과 사물의 상대적인 위치(위, 아래, 앞, 뒤)나 사물이 움직이는 방향을 나타내는 지시 (위로, 아래로, 앞으로, 뒤로, 안으로, 밖으로)를 따르지 못한다.진주는 "모자의 챙을 앞으로 해서 써 볼래?"라는 교사의 말에 교사를 바라볼 뿐 아무 반응도 보이지 않는다.혜성이는 인형을 의자 뒤에 놓으라는 교사의 말에 인형을 의자 밑에 놓는다.
위, 아래, 앞으로 등의 지시를 따르지만 정확하게 말하지는 않는다. 재희는 "위로"라고 말하면서 손을 옆으로 흔든다.'가라사대' 게임에서 진우는 지시대로 한다.
사물의 상대적인 위치를 묘사하는 단어(너머, 아래, 뒤에, 앞에)를 사용한다.경은이는 "시연아, 내 옆에 앉아."라고 말한다.태상이는 "자, 재훈아. 내 옆에 서 봐!"라고 말한다.
사물의 움직임의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를 사용한다. 승현이는 "네 쪽으로 공을 굴릴게, 잘 잡아."라고 말한다.재윤이는 "거미가 벽을 타고 올라가서 그 옆 싱크대로 내려갔을 거예요."라고 말한다.
사물들간의 상대적인 거리를 묘사하는 용어를 사용한다.동우는 운전하는 시늉을 하며 "한양 아파트는 유치원에서 아주 멀어요. 오래 가야 나오 니까 기다리세요."라고 말한다.경수는 도화지에 유치원, 집을 나란히 그린 후 공원은 멀리 떨어진 곳에다 그린다. 교사 에게 공원이 집에서 유치원보다 더 멀리 있다고 설명한다.
30. 순서와 시간 기술하기
아직은 시간 혹은 사건의 일상적인 순서에 대한 이해를 보이지 못한다.간식을 먹기 위해 손을 씻으며 지만이는 "이제 바깥 놀이 할 시간이다!"라고 말한다.규영이는 다른 친구들이 옷 입고 버스를 기다리는 동안 교실에서 계속 놀이를 한다.
순서상으로 다음에 오는 사건을 계획하거나 예측한다. 소영이는 자유 놀이 후 정리하며 "이제 모이는 시간이다."라고 말한다.모이는 시간이 되자, 원경이는 상아에게 "이제 노래 부를 거야, 어제 배운 거."라고 이 야기한다.
일련의 사건들을 정확한 순서로 묘사한다.세진이는 엄마에게 "점심 먹고 나서 양치질하고, 책을 봤어요."라고 말한다.영식이는 교사에게 자유놀이 시간에 놀이한 것을 순서대로 정확히 말한다.
시간 간격을 정확하게 비교한다. 부영이는 세 발 자전거를 타고나서 교사에게 "선생님 미나보다 제가 더 빨리 타요."하 고 말한다.경서는 자기 생일 다음날에 "또 내 생일이 되려면 아주 멀었어. 아주 오래 기다려야 하 지만 엄마 생일은 조금만 기다리면 돼."라고 말한다.
관례적인 시간 용어(아침, 어제)를 사용하여, 일련의 사건들을 순서상으로 정확하게 묘사 한다.지연이는 교사에게 "정리하고 이제 모이는 시간이니까 다음엔 간식 먹는 시간이죠?"라 고 말한다.주말 지낸 이야기를 할 때 경선이는 "토요일에는 할머니 댁에 갔다왔고 어제는 공원에 갔었어요. 엄마는 오늘도 또 공원에 데려다 주신 댔어요."라고 말한다.
출처: 교사를 위한 유아관찰지침서(한국어린이육영회)
추천자료
유아 관찰 평가 방법
관찰법의 종류인 일화기록과 기술평정척도의 특징 및 장단점을 조사하고, (신체, 언어, 정서,...
유아를 대상으로 운동능력, 정서표현, 인지(언어)능력 중 택 1하여 관찰하여 보고하기
관찰 기술의 유형에 대해 설명하고 일화기록 평가의 주요 내용을 바탕으로 일화기록 예시를 기술
영유아 관찰을 통한 영유아발달의 이해 및 개인적견해
[수 개념] [아동수학지도] 영유아기의 수의 기초 개념과 수와 관련하여 획득되어야 할 개념에...
영유아의 객관적 관찰을 위해 교사가 갖춰야할 다양한 노력에 관하여 의견 나누기. 영유아 객...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영유아의 건강 - 건강의 개념, 영유아의 건강관찰 및 진단, ...
유아기의 신체, 운동발달에 대해 설명하고, 신체, 운동발달 영역에서 도움을 필요로 하는 유...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다니는 연령의 유아(만0세~만5세)중 한명의 유아를 관찰하고 관찰한 ...
일화기록법으로 영아의 관찰하고 행동을 분석후 어떤 교육이나 프로그램 혹은 교사의 역할이 ...
영아를 위한 연구방법 중, 관찰법의 [일화기록]에 대한 내용을 작성하고 구체적인 예를 작성
유아교육평가B형 2017년 평정척도법;유아의 다양한 행동들을 유아교육현장 혹은 생활주변에서...
일화기록법과 연속기록법의 특징 장단점을 기술하고 두 관찰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