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되리라 생각하며 개인의 능력을 충분히 활용하는 계기도 되리라 생각한다.
다양성의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새로운 눈으로 우리의 앞을 보아야 미래의 경쟁에서 우리의 위치를 유지 할 수가 있다고 보며 우리의 사고와 행동도 다양성의 시대에 맞게 변해야 한다.
다음으로 기업 내에서 6시그마를 추진해도 성과나 문제점에 대한 해결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기업이나 조직이 존재한다. 이는 6시그마를 단순히 액면 그대로 받아 들여서 추진하는 결과로 6시그마 추진을 해도 성과가 나지 않는다면 처음부터 다시 생각을 하여 문제에 접근해야 될 것이다.
처음부터 다시 바르게 하나씩 하나씩 정립을 하여 진행해야 하는 것으로 자기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방향에서 일을 조명해 봐야 할 것이다.
처음에 기본 개념이 개선 이었다면 일 그 자체를 혁신하는 방향으로 개념을 바꾸어 진행하며 기존의 개선과정을 포기하고 다시 새로운 과정을 만드는 노력이 필요하다.
6시그마는 끝이 없는 계속적인 진행과정을 표시하는 단어로 우리는 이러한 사실을 잊어서는 않된다.
이러하기에 6시그마는 중단없는 전진이며 우리의 사고 행동양식에 그대로 스며 들어 있어야 한다.
“새로운 개척지를 찾아서!(Exploring the New Frontier)” 이것이 경영혁신 최종적인 모토 일 것이다. 이 말은 그만큼 경영혁신을 하기도 어렵고 그것을 이루는 단계 또한 험준한 난관이 기다린다는 의미를 말하며 현재의 우리의 상황은 그 곳을 향해 반드시 가야만 한다는 시대적인 환경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경영혁신이 완성된 기업은 없으며 오직 그 것을 향해 계속 가야만 하는 길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기업은 끊임없이 환경에 대한 자기변신을 해야 하며 그것을 이루는 길은 조직혁신, 프로세스혁신으로 이루어지며 사고의 전환, 행동의 전환으로 가속도가 붙는 것이라고 할 수있다.
조직원 전체가 사고와 행동이 변하면 그만큼 그 조직은 변신을 하기가 쉬워 질 것이며, 혁신의 방향으로 나갈 것이고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강해 질 것이다. 여기서 경영혁신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는 기업에 대해 살펴보면, 제일 먼저 언급되는 것은 기업 문화이다. 현재 경영혁신의 연구대상이 되는 GE조차 경영혁신에 맞는 훌륭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언제 어디서나 문제해결에 대한 상하의 자유로운 토론과 지식공유가 이루어지며 GE그룹 전체가 문제해결에 즉각 도움을 주는 체계를 갖추고 있는 워크아웃과 벽없는 조직은 뛰어난 문화라 할 수 있다. 문제해결을 위한 자기학습의 주변배경이 훌륭하게 갖추어져 있으며, 기업문화가 경영혁신에 걸 맞는 문화를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경영혁신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는 기업이라면 우선 프로세스를 살펴 볼 필요가 있다. “현재 진행되는 프로세스가 정체성을 가진 프로세스 인가?” 아니면 “스스로 자기 진화를 할 수 있는 프로세스 인가?” 를 파악해 보아야 한다. 정체성을 가진 프로세스는 개선을 실시해도 근본적인 문제점이 해결 않되는 구조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반면에 자기 진화 프로세스는 프로세스가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진행 중 스스로 경보시스템이 설치되어 문제가 되기 전에 문제를 개선 하도록 업무 추진자에게 경보를 울려 주며 이 문제를 전체 시스템에 조화 되도록 개선을 해 나가는 프로세스 일 것이다.
그리고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고객과의 만남, 고객과의 의견, 반응이 바로 바로 응답되는 프로세스, 순환적인 면을 가지는 프로세스가 되야 하는데, 이는 프로세스 상에 고객을 포함시켜 프로세스를 만들어야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각각 하나의 업무프로세스가 전체의 프로세스와 융합되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며, 이 지식을 이용하여 새로운 창의적인 발상이나 아이디어가 계속해서 나오는 기업을 만드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사람이 프로세스에 종속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프로세스를 지배하며 이를 변화 시킬 수 능력이 있는 가 하는 점이며, 개선 보다는 혁신을 중요시 하며 일을 바라보는가 생각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조직원의 사고, 행동양식의 변화이다. 업무를 바라보는 관점에서 자기의 고정관념, 조직의 문화, 사회적인 인식 등 토착화된 관점에서 바라보느냐 아니면 자기가 가지고 있는 모든 관념, 생각의 틀에서 벗어나 무한한 상상의 세계에서 일을 바라보고 업무를 혁신하는 면을 가지고 있는가 보아야한다.
사람의 의식을 변화 시킬 수 있다면 또한 바라보는 세계를 크게 볼 수 있다면 창의적인 사고는 누구나 가능하기 때문이다. 창의적인 사고와 발상이 풍부한 기업만이 다가오는 새로운 환경에서 상대를 이길 수 있다고 보며 창조적인 경영이 가능한 기업이다. 사람의 의식변화는 어려우나 우리가 가진 기존의 모든 사고를 파괴하는 새로운 장을 만들어 낼 수 있다면 이는 새로운 창조를 할 수 있는 여력이 만드는 것이라 생각한다. 새로운 목표를 스스로 만들고 자기학습을 통해 이를 현실화 하려고 노력하는 집단, 하나의 인재보다 조직의 사람들 모두 새로운 창의적인 발상을 할 수 있는 집단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창의적인 집단만이 가지고 있는 것만이 이 생존의 세계에서 이길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이라 생각하며 이런 집단을 만들도록 전체가 노력해야 한다.
기업경영에 있어 내적인 요인만 아니라 외적인 요인 또한 매우 중요한데 내적인 요인이 부족하다 할지라도 외적인 요인이 좋으면 기업은 생존을 할 수가 있으나 이러한 좋은 환경이 언제까지나 계속 될 수 없고 이 요인이 사라지면 그 기업은 존재 할 수가 없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경영혁신을 추진해야 하며 기업은 새로운 신 경영문화를 향해서 계속적으로 전진하고, 불굴의 의지를 가지고 목표를 달성하려고 노력하는 집단을 가지고 있는 기업, 새로운 지식창조가 가능한 메카니즘을 가지고 있는 집단을 만드는 것 이 모두가 우리가 바라는 조직이라 할 것이다.
이런 기업을 만들기 위해서 기업 스스로 모든 것을 다시 재창조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에 따르는 고통을 참고 이겨내야 한다. 우리는 계속해서 구미 기업들만 바라보지 말고 가장 한국적인 경영혁신을 실천하는 기업을 만들어 국내 기업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어야 한다.
다양성의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새로운 눈으로 우리의 앞을 보아야 미래의 경쟁에서 우리의 위치를 유지 할 수가 있다고 보며 우리의 사고와 행동도 다양성의 시대에 맞게 변해야 한다.
다음으로 기업 내에서 6시그마를 추진해도 성과나 문제점에 대한 해결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기업이나 조직이 존재한다. 이는 6시그마를 단순히 액면 그대로 받아 들여서 추진하는 결과로 6시그마 추진을 해도 성과가 나지 않는다면 처음부터 다시 생각을 하여 문제에 접근해야 될 것이다.
처음부터 다시 바르게 하나씩 하나씩 정립을 하여 진행해야 하는 것으로 자기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방향에서 일을 조명해 봐야 할 것이다.
처음에 기본 개념이 개선 이었다면 일 그 자체를 혁신하는 방향으로 개념을 바꾸어 진행하며 기존의 개선과정을 포기하고 다시 새로운 과정을 만드는 노력이 필요하다.
6시그마는 끝이 없는 계속적인 진행과정을 표시하는 단어로 우리는 이러한 사실을 잊어서는 않된다.
이러하기에 6시그마는 중단없는 전진이며 우리의 사고 행동양식에 그대로 스며 들어 있어야 한다.
“새로운 개척지를 찾아서!(Exploring the New Frontier)” 이것이 경영혁신 최종적인 모토 일 것이다. 이 말은 그만큼 경영혁신을 하기도 어렵고 그것을 이루는 단계 또한 험준한 난관이 기다린다는 의미를 말하며 현재의 우리의 상황은 그 곳을 향해 반드시 가야만 한다는 시대적인 환경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경영혁신이 완성된 기업은 없으며 오직 그 것을 향해 계속 가야만 하는 길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기업은 끊임없이 환경에 대한 자기변신을 해야 하며 그것을 이루는 길은 조직혁신, 프로세스혁신으로 이루어지며 사고의 전환, 행동의 전환으로 가속도가 붙는 것이라고 할 수있다.
조직원 전체가 사고와 행동이 변하면 그만큼 그 조직은 변신을 하기가 쉬워 질 것이며, 혁신의 방향으로 나갈 것이고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강해 질 것이다. 여기서 경영혁신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는 기업에 대해 살펴보면, 제일 먼저 언급되는 것은 기업 문화이다. 현재 경영혁신의 연구대상이 되는 GE조차 경영혁신에 맞는 훌륭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언제 어디서나 문제해결에 대한 상하의 자유로운 토론과 지식공유가 이루어지며 GE그룹 전체가 문제해결에 즉각 도움을 주는 체계를 갖추고 있는 워크아웃과 벽없는 조직은 뛰어난 문화라 할 수 있다. 문제해결을 위한 자기학습의 주변배경이 훌륭하게 갖추어져 있으며, 기업문화가 경영혁신에 걸 맞는 문화를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경영혁신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는 기업이라면 우선 프로세스를 살펴 볼 필요가 있다. “현재 진행되는 프로세스가 정체성을 가진 프로세스 인가?” 아니면 “스스로 자기 진화를 할 수 있는 프로세스 인가?” 를 파악해 보아야 한다. 정체성을 가진 프로세스는 개선을 실시해도 근본적인 문제점이 해결 않되는 구조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반면에 자기 진화 프로세스는 프로세스가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진행 중 스스로 경보시스템이 설치되어 문제가 되기 전에 문제를 개선 하도록 업무 추진자에게 경보를 울려 주며 이 문제를 전체 시스템에 조화 되도록 개선을 해 나가는 프로세스 일 것이다.
그리고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고객과의 만남, 고객과의 의견, 반응이 바로 바로 응답되는 프로세스, 순환적인 면을 가지는 프로세스가 되야 하는데, 이는 프로세스 상에 고객을 포함시켜 프로세스를 만들어야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각각 하나의 업무프로세스가 전체의 프로세스와 융합되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며, 이 지식을 이용하여 새로운 창의적인 발상이나 아이디어가 계속해서 나오는 기업을 만드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사람이 프로세스에 종속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프로세스를 지배하며 이를 변화 시킬 수 능력이 있는 가 하는 점이며, 개선 보다는 혁신을 중요시 하며 일을 바라보는가 생각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조직원의 사고, 행동양식의 변화이다. 업무를 바라보는 관점에서 자기의 고정관념, 조직의 문화, 사회적인 인식 등 토착화된 관점에서 바라보느냐 아니면 자기가 가지고 있는 모든 관념, 생각의 틀에서 벗어나 무한한 상상의 세계에서 일을 바라보고 업무를 혁신하는 면을 가지고 있는가 보아야한다.
사람의 의식을 변화 시킬 수 있다면 또한 바라보는 세계를 크게 볼 수 있다면 창의적인 사고는 누구나 가능하기 때문이다. 창의적인 사고와 발상이 풍부한 기업만이 다가오는 새로운 환경에서 상대를 이길 수 있다고 보며 창조적인 경영이 가능한 기업이다. 사람의 의식변화는 어려우나 우리가 가진 기존의 모든 사고를 파괴하는 새로운 장을 만들어 낼 수 있다면 이는 새로운 창조를 할 수 있는 여력이 만드는 것이라 생각한다. 새로운 목표를 스스로 만들고 자기학습을 통해 이를 현실화 하려고 노력하는 집단, 하나의 인재보다 조직의 사람들 모두 새로운 창의적인 발상을 할 수 있는 집단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창의적인 집단만이 가지고 있는 것만이 이 생존의 세계에서 이길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이라 생각하며 이런 집단을 만들도록 전체가 노력해야 한다.
기업경영에 있어 내적인 요인만 아니라 외적인 요인 또한 매우 중요한데 내적인 요인이 부족하다 할지라도 외적인 요인이 좋으면 기업은 생존을 할 수가 있으나 이러한 좋은 환경이 언제까지나 계속 될 수 없고 이 요인이 사라지면 그 기업은 존재 할 수가 없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경영혁신을 추진해야 하며 기업은 새로운 신 경영문화를 향해서 계속적으로 전진하고, 불굴의 의지를 가지고 목표를 달성하려고 노력하는 집단을 가지고 있는 기업, 새로운 지식창조가 가능한 메카니즘을 가지고 있는 집단을 만드는 것 이 모두가 우리가 바라는 조직이라 할 것이다.
이런 기업을 만들기 위해서 기업 스스로 모든 것을 다시 재창조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에 따르는 고통을 참고 이겨내야 한다. 우리는 계속해서 구미 기업들만 바라보지 말고 가장 한국적인 경영혁신을 실천하는 기업을 만들어 국내 기업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