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갈등과 불안은 자녀에게 그대로 전이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자녀는 부모로부터 빨리 분리되어 정상적인 일상생활로 돌아와 학교, 친구관계를 다시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3. 자녀는 부모와의 삼각관계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자녀가 부모로부터 분리가 불가능해지면 낮은 학업성적을 나타내고 무단결석, acting-out을 나타내기도 한다.
한쪽 부모와의 계속적인 밀착은 우울, 우유부단함을 나타내고
다른 한쪽 부모에게는 불복종으로 느껴져서 아동의 감정을 분산시키고,
이러한 이중적인(접근-회피)의 갈등상태는 한쪽 부모의 수용이 다른 부모의 거절로 이해하기 쉽고
그 중 한 부모만 선택해야 하는 어린이는 위험에 빠지게 된다.
4. 이혼 후 자녀는 자기비난이나, 부모에 대한 분노를 해결해야 한다.
자녀들이 갖는 부모 이혼에 대한 느낌은 부모 당사자들의 느낌과는 다르다.
언젠가는 부모가 함께 살 것이라는 희망을 갖고 있어 자신은 원가족을 유지하려고 노력하나,
무반응적인 부모에 대해 분노를 느끼고 이혼을 결정한 부모에 대해 분노를 느낀다.
5. 이혼이 불가변한 것이라고 인식시켜야 한다.
6. 자신과 관련된 미래에 대해 현실적인 희망을 성취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왜냐하면 성장 후 대인관계를 두려워하게 되는데
이는 대인관계의 영원성과 불안, 슬픔, 분노가 잠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 성숙한 부모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아이와 함께 해야 한다고 함
엄마와 아빠가 더 이상 잘 지낼 수 없게 되었단다.
함께 사는데 우리는 어려움이 있고,
그래서 많은 생각과 노력 끝에 이혼을 하기로 결심을 하게 되었단다.
그래서 앞으로 엄마와 아빠는 서로 다른 집에서 살게 될 것 같구나.
대부분은 엄마와 살게 되겠지만 가끔은 아버지 집에 놀러와도 되고
또 아버지도 멀리 떠나지 않을 거란다.
엄마와 아빠가 이혼을 하긴 하지만 엄마와 아빠는 여전히 너의 부모이고
또 그래서 너의 문제를 함께 해결할 거야.
그리고 항상 아빠는 너를 사랑할거고 너의 부모로 남아 있을거야.
그리고 너는 크게 달라지는 게 없어.
지금처럼 엄마랑 살며 학교를 잘 다니고 친구들과 잘 놀면 된단다. "
이런 자리에 양부모가 모두 있어야 함은 당연하고,
아이에게 부모는 계속 아이를 사랑할 것이고 돌봐줄 것이라는 확신을 전달해야 한다.
필요하면 주변 친척들도 같이 참석하여 아이들의 확신을 강화시켜주고 지원해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자녀는 부모로부터 빨리 분리되어 정상적인 일상생활로 돌아와 학교, 친구관계를 다시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3. 자녀는 부모와의 삼각관계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자녀가 부모로부터 분리가 불가능해지면 낮은 학업성적을 나타내고 무단결석, acting-out을 나타내기도 한다.
한쪽 부모와의 계속적인 밀착은 우울, 우유부단함을 나타내고
다른 한쪽 부모에게는 불복종으로 느껴져서 아동의 감정을 분산시키고,
이러한 이중적인(접근-회피)의 갈등상태는 한쪽 부모의 수용이 다른 부모의 거절로 이해하기 쉽고
그 중 한 부모만 선택해야 하는 어린이는 위험에 빠지게 된다.
4. 이혼 후 자녀는 자기비난이나, 부모에 대한 분노를 해결해야 한다.
자녀들이 갖는 부모 이혼에 대한 느낌은 부모 당사자들의 느낌과는 다르다.
언젠가는 부모가 함께 살 것이라는 희망을 갖고 있어 자신은 원가족을 유지하려고 노력하나,
무반응적인 부모에 대해 분노를 느끼고 이혼을 결정한 부모에 대해 분노를 느낀다.
5. 이혼이 불가변한 것이라고 인식시켜야 한다.
6. 자신과 관련된 미래에 대해 현실적인 희망을 성취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왜냐하면 성장 후 대인관계를 두려워하게 되는데
이는 대인관계의 영원성과 불안, 슬픔, 분노가 잠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 성숙한 부모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아이와 함께 해야 한다고 함
엄마와 아빠가 더 이상 잘 지낼 수 없게 되었단다.
함께 사는데 우리는 어려움이 있고,
그래서 많은 생각과 노력 끝에 이혼을 하기로 결심을 하게 되었단다.
그래서 앞으로 엄마와 아빠는 서로 다른 집에서 살게 될 것 같구나.
대부분은 엄마와 살게 되겠지만 가끔은 아버지 집에 놀러와도 되고
또 아버지도 멀리 떠나지 않을 거란다.
엄마와 아빠가 이혼을 하긴 하지만 엄마와 아빠는 여전히 너의 부모이고
또 그래서 너의 문제를 함께 해결할 거야.
그리고 항상 아빠는 너를 사랑할거고 너의 부모로 남아 있을거야.
그리고 너는 크게 달라지는 게 없어.
지금처럼 엄마랑 살며 학교를 잘 다니고 친구들과 잘 놀면 된단다. "
이런 자리에 양부모가 모두 있어야 함은 당연하고,
아이에게 부모는 계속 아이를 사랑할 것이고 돌봐줄 것이라는 확신을 전달해야 한다.
필요하면 주변 친척들도 같이 참석하여 아이들의 확신을 강화시켜주고 지원해주어야 한다.
추천자료
이혼 가정에 대해서
조사방법론/논문분석/이혼자녀/연구문제/척도지수/분석/표집/가설
이혼가족과 재혼가정
[맞벌이가정] 맞벌이가정의 자녀보육현황과 대책-맞벌이가정 자녀양육대안, 맞벌이가정 출현...
이혼율의 증가(자녀가 있는 부부의 이혼율)가 아동의 발달단계에 미치는 영향을 서술.
이혼 가정의 아동을 위한 복지
가족과 정신건강 (가족관계, 가정폭력과 정신건강, 이혼과 정신건강)
최근 우리나라 이혼율 변화에 대해 생각해 보고 이러한 이혼율 변화가 초래한 이혼과 재혼을 ...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현황과 다문화가정 자녀(학생) 교육지원방안 (다문화가정의 개념과 다...
[가족복지론] 이혼, 재혼과 가족복지 (이혼 및 재혼의 개념, 특성, 자녀의 반응, 실태 및 문제)
[다문화가정의 자녀 복지] 다문화가정 실태와 쟁점사안, 다문화가정의 자녀 현황, 다문화가정...
이혼 가정 아동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각각의 의견을 자유롭게 토론.
[이혼가족] 이혼가족의 현황과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및 이혼가족 자녀를 위한 복지대...
무자녀 가족이란-딩크족,딘스족,불임부부,무자녀 가족의 특징,출산율 감소, 이혼율 증가,기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