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드라마치료
2. 연극치료
3. 영화치료(시네마치료)
2. 연극치료
3. 영화치료(시네마치료)
본문내용
이가 힘들 때에는 <메디슨 카운티의 다리> <정사>, 신혼 부부에게는 <나의 그리스식 웨딩>이 위안을 얻을 만한 영화다.
하지만 영화가 틀에 박힌 듯 정해져 있는 건 아니다. 상담 과정을 통해 영화 선정 자체가 바뀌는 경우도 있다. 심영섭 씨는 “파키스탄 출신 노동자 남편을 둔 여성들을 집단 상담했는데, 처음엔 여성의 자아 성취에 관한 영화를 들고 갔었다. 그런데, 이야기를 나눠보니 이들의 문제는 이것이 아니었다. 남편이 한국말을 잘하지 못해 남편을 대신해 모든 일을 해야 하는 것, 즉 가정의 모든 생활에서 완벽해야 한다는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그래서 그 다음 번 상담 때 니콜 키드먼이 완벽한 아내로 나왔던 <스탭포드 와이프>를 들고 갔다. 이 영화를 보고 주부들은 세상에 완벽한 사람은 없다는 것을 깨닫고 남편에게 자립심을 심어주는 동시에 자신을 좀 더 해방시킬 수 있었다”고 말한다.
표현 영화 치료는 감상 영화 치료만큼 자주 시행되지는 못하고 있지만 보다 높은 치유력을 발휘한다. 2002년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소개됐던 <김진아의 비디오 일기>의 김진아 감독이 그 대표적인 예다. 김 감독은 20대 후반 심한 거식증을 앓았고, 그 과정을 6년간 비디로로 기록하며 병을 이겨냈다. 즉, 자신이 찍은 셀프다큐멘터리를 보고 병의 원인을 찾아낸 것이다. 며칠을 굶다 폭식한 후 임산부의 배처럼 볼록해진 자신의 알몸을 카메라에 담는 용기를 발휘한 김 감독은 카메라에 비친 자신의 모습에서 거식증의 원인이 ‘엄마에 대한 거부’였음을 깨닫는다. 그는 비디오에서 “나는 음식을 거부한 게 아니라 엄마를 거부한 거였어요. 원래 엄마는 아기에게 밥을 의미하죠. 밥을 먹지 않음으로써 난 무의식적으로 엄마를 거부했던 거예요”라고 말하고, 이후 자신의 병에서 조금씩 빠져 나오기 시작했다. 표현 영화 치료의 경우 최근 애니메이션 제작의 효과 등 보다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감상 영화 치료가 소극적인 성격의 내담자에게 잘 맞는다면, 적극적인 성격의 내담자에게 높은 효력을 보이는 표현 영화 치료는 앞으로 발견해야 할 것이 더 많은 영역이기도 하다.
영화 치료는 생소하면서도, 동시에 영화를 보는 이들 누구나가 이미 경험하고 있는 분야이기도 하다. 영화 치료는 개개인의 일상에 영화를 더욱 밀착시키고 그 안에서 실용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영화 치료를 통해 구체화되고 있는 영화의 실용적 가치, 지금 한국은 그 시작점에 서 있다.
하지만 영화가 틀에 박힌 듯 정해져 있는 건 아니다. 상담 과정을 통해 영화 선정 자체가 바뀌는 경우도 있다. 심영섭 씨는 “파키스탄 출신 노동자 남편을 둔 여성들을 집단 상담했는데, 처음엔 여성의 자아 성취에 관한 영화를 들고 갔었다. 그런데, 이야기를 나눠보니 이들의 문제는 이것이 아니었다. 남편이 한국말을 잘하지 못해 남편을 대신해 모든 일을 해야 하는 것, 즉 가정의 모든 생활에서 완벽해야 한다는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그래서 그 다음 번 상담 때 니콜 키드먼이 완벽한 아내로 나왔던 <스탭포드 와이프>를 들고 갔다. 이 영화를 보고 주부들은 세상에 완벽한 사람은 없다는 것을 깨닫고 남편에게 자립심을 심어주는 동시에 자신을 좀 더 해방시킬 수 있었다”고 말한다.
표현 영화 치료는 감상 영화 치료만큼 자주 시행되지는 못하고 있지만 보다 높은 치유력을 발휘한다. 2002년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소개됐던 <김진아의 비디오 일기>의 김진아 감독이 그 대표적인 예다. 김 감독은 20대 후반 심한 거식증을 앓았고, 그 과정을 6년간 비디로로 기록하며 병을 이겨냈다. 즉, 자신이 찍은 셀프다큐멘터리를 보고 병의 원인을 찾아낸 것이다. 며칠을 굶다 폭식한 후 임산부의 배처럼 볼록해진 자신의 알몸을 카메라에 담는 용기를 발휘한 김 감독은 카메라에 비친 자신의 모습에서 거식증의 원인이 ‘엄마에 대한 거부’였음을 깨닫는다. 그는 비디오에서 “나는 음식을 거부한 게 아니라 엄마를 거부한 거였어요. 원래 엄마는 아기에게 밥을 의미하죠. 밥을 먹지 않음으로써 난 무의식적으로 엄마를 거부했던 거예요”라고 말하고, 이후 자신의 병에서 조금씩 빠져 나오기 시작했다. 표현 영화 치료의 경우 최근 애니메이션 제작의 효과 등 보다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감상 영화 치료가 소극적인 성격의 내담자에게 잘 맞는다면, 적극적인 성격의 내담자에게 높은 효력을 보이는 표현 영화 치료는 앞으로 발견해야 할 것이 더 많은 영역이기도 하다.
영화 치료는 생소하면서도, 동시에 영화를 보는 이들 누구나가 이미 경험하고 있는 분야이기도 하다. 영화 치료는 개개인의 일상에 영화를 더욱 밀착시키고 그 안에서 실용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영화 치료를 통해 구체화되고 있는 영화의 실용적 가치, 지금 한국은 그 시작점에 서 있다.
추천자료
[심리치료와 상담] 심리치료(心理治療)와 상담 이론(相談理論)의 중요성 - 심리치료 이론의 ...
[심리치료와 상담] 분석적 심리치료의 실제와 평가 - 분석적 심리치료의 실제, 분석적 심리치...
[심리치료와 상담] 정신분석 심리치료(精神分析 心理治療) 이론 - 치료의 목표와 원리, 치료...
[심리치료와 상담] 심리치료와 상담의 기본요소,내담자, 심리치료자(심리치료자의 동기와 자...
[심리치료와 상담] 정신분석 치료 이론과 실제 - 치료의 목표와 원리, 치료기법(정신장애,자...
[심리치료와 상담] 일본의 심리치료 - 모리타 치료 (Morita Therapy), 나이칸 치료 (內觀 治...
[심리치료와 상담] 아들러(Adler) 심리치료의 실제와 평가 - 아들러 심리치료단계(관계형성,...
[심리치료와 상담] 한국의 심리치료 - 도(道)정신치료 (핵심감정(核心感情), 치료자의 공감)
[심리치료와 상담] Whitaker(휘태커)의 체험적 가족치료(experiential family therapy) - 칼 ...
[심리치료와 상담] 실존적 심리치료(existential psychotherapy)의 실제 (치료의 진행과정과 ...
[심리치료와 상담] 게슈탈트(Gestalt) 치료의 실제 (치료의 진행과정과 치료자의 역할)와 게...
[심리치료와 상담] 실존적 심리치료 이론 - 실존적 심리치료 이론의 치료목표와 원리 및 치료...
[심리치료와 상담] 인지치료(cognitive therapy)의 실제 (인지치료의 초기, 중기-전반부, 중...
[심리치료와 상담] 효과적인 심리치료의 조건 - 심리치료의 공통요인(common factors), 성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