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재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품재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매우 개운해진다.
화상, 타박상에는 무를 갈아 그대로 바르면 좋고, 또 신경통이나 류머티즘에도 무 간 것을 아픈 환부에 바르면 효과가 크다.
목이 부어 목소리가 나오지 않을 때는 무즙을
목이 부어 올라서 목소리가 나오지 않을 때는 무와 생강즙을 섞어서 마시면 효과가 있다.
두통, 면류의 중독에는 무즙
두통에는 무즙을 1~2방울 콧구멍에 넣으면 좋다. 또 면류의 중독에는 무즙을 마시면 즉시 효과가 있다. 국수집에서 무즙을 곁들이는 습관은 거기서부터 유래된 것이다.
자궁후굴, 자궁내막증에는 무 말린 잎으로 좌욕을
겨울에 무잎을 말려 두었다가 2뿌리분의 무잎에 물 한 되와 소금 한 줌을 넣고 끓인 다음 이것으로 좌욕을 한다. 질 속까지 탕이 들어가도록 하여 15분간쯤 한다. 또 이 말린 무잎은 피부병 일체에 대한 효과도 탁월하다.
설사를 할 때도 말린 무잎을 달여 마시면 효과가 크다.

기본양념 파의 효능
예로부터 우리는 음식의 향취를 돋우고 생선 다시마 등 해산물의 비린내를 없애주는 기본 양념으로 파를 사용했다. 파에는 유화알릴이라는 성분이 있어 신경의 흥분을 가라앉히는 작용을 한다. 정신적인 피로나 고민으로 흥분이 가라앉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때 파를 썰어서 직접 냄새를 맡거나 파를 넣고 끓인 물의 증기를 쐬면 효과적이다. 파로 만든 음식을 많이 먹는 것도 좋다. 약효는 몸체보다 뿌리가 좋다. 감기로 인한 두통,오한에는 파뿌리의 흰부분과 뿌리털만 사용하면 된다.
겨울을 지나도 죽지 않는 동총이라는 파는 더운 기운을 많이 간직하고 있다. 파의 하얀 밑동부분은 총백이라 해서 다른 약재의 독을 없애고 대소변을 잘 나오게 한다. 파의 씨는 눈을 밝게 하고 속을 따뜻하게 하며 정액을 보충시킨다. 그러나 뼈마디를 벌어지게 하고 정신력을 분산시키거나 땀을 나게 해 몸을 허하게 만들 수도 있다. 하나님은 이처럼 모든 자연에 신비로운 치유의 성분을 저장해 놓으셨다.
감기에는 파를 넣은 채소죽
파는 발산통기의 작용을 가지고 있어 감기에 유효하다. 파를 많이 썰어 넣은 채소 된장죽을 끓이면 이것으로 웬만한 감기는 낫는다. 또 다른 발한제 등으로 고쳤을 때에도 파를 넣은 된장 채소국을 먹으면 다시 재발하여 나빠지는 일이 없다.
그 밖에 무를 잘게 썰어서 된장과 얇은 생강조각을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 섞어서 뜨거울 때 마시면 땀이 나고 감기가 떨어진다. 감기로 두통이 나고 코가 막혔을 때에는 파의 냄새를 맡기만 해도 효과적이다.
두통에는 파와 생강 달인 즙
감기 따위로 머리가 아플 때에는 파의 흰 부분과 생강 썬 것을 달여서 그 즙을 마시거나, 파 잎사귀 속의 점액을 바르면 탁효가 있다.
위장병에는 생파로 된장을 찍어 먹으면 좋다.
생파의 흰 부분에 된장을 찍어 아침마다 먹으면 혈행이 좋아지고 위액의 분비를 촉진하며, 몸이 더워져서 위장 활동이 활발해지며 위장병이 쾌유된다. 뇌가 나쁜 사람에게도 유효하다.
위경련에는 파즙과 동백기름
위경련이 갑자기 일어났을 때는, 묵은 파의 흰 부분 7부까지(뿌리 포함)를 찧어 그 즙을 짜 동백기름과 섞어 마시면 좋다.
몸이 냉한 사람은 파를 상식
파는 혈행을 좋게 하고 몸을 덥게 하기 때문에 몸이 냉한 사람은 항상 파를 먹으면 크게 효과가 있다.
혈변에 탁효가 있는 파죽
적리 혈변, 기타의 혈변에도 파의 흰 부분을 잘게 썰어 끓인 죽을 먹으면 효과가 있다. 염교로 끓인 죽도 마찬가지로 탁효가 있다.
기생충에는 파를 짠 즙과 채종유
뱃속에 기생충이 생겼을 때는 파즙을 작은 잔으로 반 잔과 채종유 반 잔을 섞어 공복시에 마시면 뿌리를 뺄 수가 있다. 분량은 나이에 따라 적당히 가감한다.
또 기생충 때문에 배가 아플 경우에는 파의 흰 부분을 짠 즙을 1잔 마시고 이어서 참기름 1잔을 마시면 조금 지나 낫는다.
영아의 소변이 나오지 않을 때, 모유에 파즙을 섞어 먹인다.
생후 6~7일이 지나도 소변을 보지 않을 때는, 파의 흰 부분 15cm쯤을 찧어 즙을 짜고 이에 모유를 짜 넣어 섞어서 영아의 입에 넣어 준 다음 젖을 물려 모유를 먹이면 즉시 소변을 보게 된다.
생선뼈가 걸렸을 때는 파의 털뿌리가 좋다.
목구멍에 생선뼈가 걸려 나오지 않을 때는 파의 털뿌리를 달여서 마시면 빠진다. 또 치질로 피가 날 때는 파의 털뿌리 달인 즙으로 환부를 찜질하듯이 씻으면 출혈이 멎는다.
타박상에는 파의 흰 뿌리를 태워서 바르면 좋다.
타박상에서 파란 멍이 사라지지 않을 때는 파의 흰 뿌리를 찧어서 태워 이를 환부에 바르고, 식으면 다시 새 것으로 바꾸어 주면 좋다

키워드

식품재료,   마늘,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72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