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제도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성씨제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바우, 개똥이, 향단이, 삼월이, 오월이” 등은 일본처럼 새로이 성씨를 만들지 않고, 이들 대부분이 그 동네 지주나 양반들에게 부탁, 성씨를 얻어 와서는 관청에 신고했다.
이때에 김(金) 씨나 이(李), 박(朴)씨가 갑자기 늘어나는 기현상이 벌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특정 성씨가 총 인구의 20%를 넘어 가는 경우는 없는데, 양반 대우를 받고 싶은 사람이 많았던 우리나라에서 나타난 대단히 특이한 현상이다. 이후 우리나라는 결과적으로 전 국민의 양반화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졌을 뿐 아니라, 예전에 많던 “방자, 향단이, 마당쇠, 개똥이, 바우, 밤쇠”의 자손은 순식간에 자취를 감추게 됐다. 게다가 누구나 “정승, 판서의 몇 대 손”이 되어 양반의 후손만이 존재하는 나라로 변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76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