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기에 서툰 경향이 있다.
6-3.그리기 능력:
.여자아이 : 파스텔 톤
.남자아이 : 어두운 색
=>차이가 나는 것은 망막의 차이이고, 남자가 두껍다.
=>여자아이 : P세포(색깔 질감식별에 유리->분홍색을 좋아하는 이유)
=>남자아이 : M세포(움직임을 잘 포착하고 사물의 방향이나 속도 감지->자동차등 움직이는 차를 좋아하는 이유)
7.뇌의 경로차이, 뇌의 차이,심리적 차이
=>지능과 관련된 회백질이 남자들은 앞부분 정중앙 여자들은 측면부분
=>연구결과 :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동일한 지능에 도달
***따라서 남과 여는 다르게 교육시켜야 한다.
.남자아이 : 사물에 대해 어떻게 느끼니? 가 아니라 뭘 하려고 하니? 이렇게 표현하는 것이 옳다
행동의 결과를 예측하게 해 줘야 한다.
행동이 여아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리기 때문에 많은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야 한다.
.소심한 여자아이 : 아낌없는 격려!!!!
8.손가락 길이에 따른 성별 감별
8-1.손가락 길이 비율 = 검지길이 / 약지길이
=>테스토스테롤의 영향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약지길이가 길다.
8-2.남녀분리
=>8-14주경 테스토스테롤(생식기 성별, 뇌의 성별, 골격차이의 영향을 주는 호르몬)의 영향으로 생식기와 뇌의 성별이 결정
약지 길이에 영향
8-3. 남성 여성 기질 테스트
=>관객이 있을 때와 없을 때의 태도 비교, 퍼즐 맞추기 게임을 통해 남성적 성향 즉 들어내기 위한 showmanship과 공간
인지 능력이 탁월한 남자 아이들의 약지 길이가 길게 나왔다.(축구, 육상 선수들이 대표적)
9.결과
위에서 실험한 결과와 마찬가지로 적응력이 빠른 여자아이의 머리가 남자 아이의 머리보다 뛰어나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어떤 정점을 놓고 결과론을 따져 보자면 그 결과에 도달하기 위해 거치는 뇌의 경로가 다를 뿐이다. 그 경로에 다다르기 위해 수 많은 반복과 연습을 한다면 아이들의 뇌는 좀더 적극적이고 자신감 넘치게 능동적으로 변할것이다.
또한 마지막 테스트에서 발견한 여성적 성향의 남자아이와 남성적 성향의 여자아이는 전체뇌의 17%를 차지하고 있는데이 아이들의 뇌가 양성적인 뇌 즉 우수한 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아이들에 의해 세계가 조금 움직일 수 있지 않을까 추측해 본다. 좌뇌 우뇌 교육은 결국 양성의 뇌(우수한 뇌)를 양성시키기 위한 과정이며. 남성 여성으로 분리되는 아이들의 성을 다방면으로 접근가능하게 한다.
6-3.그리기 능력:
.여자아이 : 파스텔 톤
.남자아이 : 어두운 색
=>차이가 나는 것은 망막의 차이이고, 남자가 두껍다.
=>여자아이 : P세포(색깔 질감식별에 유리->분홍색을 좋아하는 이유)
=>남자아이 : M세포(움직임을 잘 포착하고 사물의 방향이나 속도 감지->자동차등 움직이는 차를 좋아하는 이유)
7.뇌의 경로차이, 뇌의 차이,심리적 차이
=>지능과 관련된 회백질이 남자들은 앞부분 정중앙 여자들은 측면부분
=>연구결과 :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동일한 지능에 도달
***따라서 남과 여는 다르게 교육시켜야 한다.
.남자아이 : 사물에 대해 어떻게 느끼니? 가 아니라 뭘 하려고 하니? 이렇게 표현하는 것이 옳다
행동의 결과를 예측하게 해 줘야 한다.
행동이 여아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리기 때문에 많은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야 한다.
.소심한 여자아이 : 아낌없는 격려!!!!
8.손가락 길이에 따른 성별 감별
8-1.손가락 길이 비율 = 검지길이 / 약지길이
=>테스토스테롤의 영향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약지길이가 길다.
8-2.남녀분리
=>8-14주경 테스토스테롤(생식기 성별, 뇌의 성별, 골격차이의 영향을 주는 호르몬)의 영향으로 생식기와 뇌의 성별이 결정
약지 길이에 영향
8-3. 남성 여성 기질 테스트
=>관객이 있을 때와 없을 때의 태도 비교, 퍼즐 맞추기 게임을 통해 남성적 성향 즉 들어내기 위한 showmanship과 공간
인지 능력이 탁월한 남자 아이들의 약지 길이가 길게 나왔다.(축구, 육상 선수들이 대표적)
9.결과
위에서 실험한 결과와 마찬가지로 적응력이 빠른 여자아이의 머리가 남자 아이의 머리보다 뛰어나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어떤 정점을 놓고 결과론을 따져 보자면 그 결과에 도달하기 위해 거치는 뇌의 경로가 다를 뿐이다. 그 경로에 다다르기 위해 수 많은 반복과 연습을 한다면 아이들의 뇌는 좀더 적극적이고 자신감 넘치게 능동적으로 변할것이다.
또한 마지막 테스트에서 발견한 여성적 성향의 남자아이와 남성적 성향의 여자아이는 전체뇌의 17%를 차지하고 있는데이 아이들의 뇌가 양성적인 뇌 즉 우수한 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아이들에 의해 세계가 조금 움직일 수 있지 않을까 추측해 본다. 좌뇌 우뇌 교육은 결국 양성의 뇌(우수한 뇌)를 양성시키기 위한 과정이며. 남성 여성으로 분리되는 아이들의 성을 다방면으로 접근가능하게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