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주격조사 ‘이/가’와 특수조사(보조사) ‘은/는’의 쓰임은 문맥이나 상황에 따라 미묘하게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한두 가지 사항만으로 요약하여 설명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한국어를 잘 모르는 외국인에게 두 조사의 차이점에 대하여 가르쳐야 하는 경우라면 더더욱 그러할 것입니다. 저희가 그것을 외국인에게 쉽게 이해시킬 수 있는 요령을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만, ‘이/가’와 ‘은/는’의 차이 가운데 중요한 것 몇 가지만 지적하는 것으로 답변을 대신하도록 하겠습니다.
1. ‘이/가’는 한 편의 이야기에서 처음 등장하는 대상에 쓰이고, ‘은/는’은 그 다음에 그 대상을 다시 언급할 때 쓰입니다. ‘옛날에 한 나무꾼이 살았습니다. 그 나무꾼은 어느 날 나무를 팔러 시장에 갔습니다.’와 같이 시작하는 이야기에서 첫 문장의 ‘나무꾼’에는 조사 ‘이’가, 그 다음 문장의 ‘나무꾼’에는 조사 ‘은’이 결합되었는데, 이 둘을 서로 바꾸면 매우 부자연스럽게 됩니다. 결국 ‘은/는’은 담화 속에 이미 등장하였거나 화자와 청자 사이에 이미 서로 알고 있는 것으로 전제되어 있는 대상에 쓰인다고 할 수 있습니다.
1. ‘이/가’는 한 편의 이야기에서 처음 등장하는 대상에 쓰이고, ‘은/는’은 그 다음에 그 대상을 다시 언급할 때 쓰입니다. ‘옛날에 한 나무꾼이 살았습니다. 그 나무꾼은 어느 날 나무를 팔러 시장에 갔습니다.’와 같이 시작하는 이야기에서 첫 문장의 ‘나무꾼’에는 조사 ‘이’가, 그 다음 문장의 ‘나무꾼’에는 조사 ‘은’이 결합되었는데, 이 둘을 서로 바꾸면 매우 부자연스럽게 됩니다. 결국 ‘은/는’은 담화 속에 이미 등장하였거나 화자와 청자 사이에 이미 서로 알고 있는 것으로 전제되어 있는 대상에 쓰인다고 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안에 다른 문장이 내포되어 있는 경우, 모문의 주어(사실은 주제어)에는 ‘은/는’이, 내포문의 주어에는 ‘이/가’가 결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나는 그가 왔음을 안다’와 같은 문장에서 모문의 주어(주제어)에는 조사 ‘는’이, 내포된 명사절 ‘그가 왔음’의 주어에는 조사 ‘가’가 결합되어 있는데, 둘의 위치를 서로 바꾸면 문장이 매우 어색해집니다.
추천자료
시장조사(소비자설문조사)
국어의 격과 조사
국어의 격과 조사
[직업조사][직업][특수학교교사][직업상담원][아나운서][프로게이머][피부관리사][치과의사][...
급식경영(b)형 -방학 중 결식아동 급식사업(지역아동센터 등에서의 급식, 도시락 배달, 음식...
조사 설계에 있어 내적 타당도를 위협하는 요소들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하고, 이에 대하여 각...
패밀리 레스토랑, 아웃백(Outback Steak House) VS 빕스(VIPS) 마케팅조사 비교분석
조사에 있어 윤리적인 문제(쟁점)이 될 만한 것들
[사회복지조사] 사회조사의 방법(연역적/귀납적)에 대한 설명과 이에 대한 예를 들어 사회조...
★ 논문 요약 - 문헌정보학의 문헌정보에 대한 대학생 인식 조사
[구약신학] 민수기 26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제2차 인구 조사
현재 우리나라의 영유아 보육실태를 조사해보고, 그 중 본인이 생각하는 가장 큰 문제점과 이...
서술격조사 이다의 연구사 및 나의의견 (소논문형식)
본인이 관심을 갖고 있는 사회문제에 대한 조사 설계 시 가장 적절한 표집방법이 무엇인지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