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었습니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가던 중 데이빗은 자신의 소망을 따라 영국으로 유학의 길을 가겠다고 폭탄선언을 했었습니다. 아버지를 떠나겠다고 발언을 해버린 것입니다. 아버지는 폭력을 휘두르시고 협박도 하시면서 말리셨지만 데이빗의 다짐은 굳건했습니다. 데이빗은 결국 가족을 버리고 영국으로 유학을 떠났습니다.
전 아버지의 모든 관심과 사랑을 받던 데이빗이 아버지를 버리고 떠난 것이 괘씸하기도 하였지만 이해가 되기도 합니다. 얼마나 견디기 힘들었을지, 또한 데이빗의 큰 꿈을 조그만 가족 내에서 담아내기엔 역 부족이었을거라 생각이 됩니다.
전 그제야 후회를 합니다. 데이빗을 더 따뜻하게 대해주었어야 했다고 말입니다. 그에게 그런 고민을 나눌 상대가 필요했을 것이고 편히 기댈 수 있는 안정적인 가정이 필요했을 것입니다. 제가 아버지와 데이빗 사이를 더 부드럽게 만들어주고 데이빗을 감싸줄 수 있는 누나가 되었어야 했는데 또 그를 격려해 주고 위로해주는 누나였어야 했는데 그러지 못했던 것을 후회합니다. 전 그저 데이빗에 대한 경쟁의식과 데이빗이 사랑과 관심을 독차지 하고 있다는 질투심에만 빠져있어 데이빗과 가까워지지 못했습니다. 데이빗에게 따스한 가족이 되어주지 못한 것이 후회됩니다.
데이빗이 떠난 후에 전 아버지의 축 처진 어깨를 보게 되었습니다. 또 데이빗의 기사나 소식들을 빠짐없이 스크랩 하시는 아버지를 보게 되었습니다. 또 데이빗의 연주를 녹음한 테잎을 들으시며 눈물 흘리시는 아버지를 보게 되었습니다. 데이빗은 아버지를 떠났지만 아버지는 여전히 데이빗을 놓지 않으시고 바라보고 계십니다. ‘이것이 부모의 사랑이구나’를 느끼게 됩니다. 아버지는 데이빗을 너무나 사랑하셨지만 그 방법에 있어서 올바르지 못하셨던 겁니다. 데이빗이 아버지를 버릴 수밖에 없도록 아버지가 만들어 버리셨던 것입니다. 우리가 이런 조금은 삐뚫어진 아버지의 사랑을 이해할 수 있는 나이가 되면 우리 가족의 엉클어진 부모관계가 다시 회복될 수 있을까요?
데이빗이 떠나고 저 또한 아버지를 떠났습니다. 전 지금 이스라엘에 와 있습니다. 항상 강압적이기만 하셨던 아버지의 지긋지긋한 품을 떠나온 것입니다. 그런 숨 막히는 가족의 테두리에서 벗어난 지금 전 행복합니다. 저만의 삶을 꾸릴 수 있어 행복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늙어버리신 어머니와 아버지를 여동생에게 떠맡기고 온 것 같아 마음이 불편합니다.
아버지의 강압적이고 구속하려고만 하셨던 행동들도 사실은 가족들을 너무나 사랑하는 마음에서 나온 것이었음을 이제는 조금씩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또 아버지에겐 과거의 상처가 있었기 때문임을 이제는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제는 집으로 돌아가야겠습니다. 부모님을 모시며 사랑을 보답해드리고 싶습니다. 힘겨우셨던 삶을 위로해드리고 싶습니다. 또 흩어진 우리 가족들도 모아서 함께 가족애를 느끼고 싶습니다. 과거 부모님의 행동을 이젠 우리도 이해해드릴 수 있는 나이가 되었다고 생각이 됩니다. 이제는 사랑을 바르게 표현하고 서로를 보듬어주는 가족이 되고 싶습니다.
Ⅲ. 결론
지금까지 샤인 영화에서 보여 지는 부모-자녀 간의 갈등 구조를 분석해보고 각 인물들을 나름대로 분석해본 후 그들의 갈등을 해결하고자 노력해보았다.
부모-자녀관계는 가장 일차적인 인간관계이며 가장 본능적인 애착이 강한 관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관계는 한 인간의 인격형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관계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관계는 가장 사랑이 넘치는 밀착된 관계가 될 수도 있지만 동시에 갈등이 초래될 소지도 많다.
이 영화에서는 아버지(피터 헬프갓)과 아들(데이빗 헬프갓)의 관계를 중심으로 부모-자녀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아버지의 양육환경과 성격으로 인해 야기된 바람직하지 못한 양육방식과 제약 및 구속이 데이빗의 음악에 대한 열정과 부딪히게 되면서 이 둘의 갈등은 서서히 골이 깊어지게 된다. 이 영화에서는 데이빗이 가족으로부터 떨어져서 살게 됨으로서 부모-자녀관계 갈등이 해결되지 못한 채 끝내 용서와 화해를 하지 못하게 된다. 단지 마지막에 자신의 부인의 사랑과 돌봄으로부터 정신적 안정을 되찾게 된 데이빗이 아버지의 무덤에서 이해와 용서를 하게 됨으로써 영화는 끝을 내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가족내에서의 갈등의 악순환이 너무 오래 지속되어 와서 서로가 변화 될 수 없는 경우 가족으로부터 우선은 잠시 나오게 하는 방법과 맞물려 설명이 되어질 수 있다. 가족으로부터 받지 못한 신뢰감과 애정을 다른 인간관계로부터 얻고 자신이 먼저 안정되고 건강해진 뒤에 가족 내로 들어가 그 갈등의 순환 고리를 끊어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경우 시간이 많이 걸리면 이 영화에서와 같이 부모님의 사망 후에 뉘우치게 되는 경우가 생기게 되는 경우가 생기게 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아버지가 죽기 전의 상황으로 전제 한 뒤, 이 문제를 해결해 보고자 했다.
이러한 갈등의 가장 큰 원인은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지 못하고 받아들이지 못한다는 데에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대화가 부족한 이 가족이 서로 편지를 쓰거나 마음을 전달하는 이야기를 하게 하여 갈등을 해결해보고자 하였다. 가족 모두가 그 갈등에 대해서 바라보고 있는 생각과 그들의 입장을 터놓고, 서로를 깊이 수용할 수 있을 때만이 가장 바람직한 갈등의 해결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족치료의 입장을 사용하여 가족을 분석한 후, 갈등 상황을 함께 나누도록 외상의 재 경험을 하였고, 아니면 서로의 편지를 읽는 형식을 도입할 수도 있다. 그런 후에 갖게 되는 감정들을 나누어서 진정한 화해로 들어가도록 유도하였다.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부모-자녀 관계는 가장 본능적인 애착이 강한 관계 이므로 서로가 끊을 수 없는 사랑의 마음이 흐르고 있다고 전제하게 된다. 그러므로 함께 노력한다면 갈등의 순환 고리를 끊어 버릴 때 가장 쉬울 수도 있는 관계라 생각이 된다. 가족이라는 이름 하나로 모든 것이 용서가 될 만큼 서로의 마음 깊은 곳엔 사랑이 자리 잡고 있으므로 각자의 감정을 솔직히 털어놓으며 자신을 자각하고 상대방을 이해하면 갈등의 순환 고리가 끊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가던 중 데이빗은 자신의 소망을 따라 영국으로 유학의 길을 가겠다고 폭탄선언을 했었습니다. 아버지를 떠나겠다고 발언을 해버린 것입니다. 아버지는 폭력을 휘두르시고 협박도 하시면서 말리셨지만 데이빗의 다짐은 굳건했습니다. 데이빗은 결국 가족을 버리고 영국으로 유학을 떠났습니다.
전 아버지의 모든 관심과 사랑을 받던 데이빗이 아버지를 버리고 떠난 것이 괘씸하기도 하였지만 이해가 되기도 합니다. 얼마나 견디기 힘들었을지, 또한 데이빗의 큰 꿈을 조그만 가족 내에서 담아내기엔 역 부족이었을거라 생각이 됩니다.
전 그제야 후회를 합니다. 데이빗을 더 따뜻하게 대해주었어야 했다고 말입니다. 그에게 그런 고민을 나눌 상대가 필요했을 것이고 편히 기댈 수 있는 안정적인 가정이 필요했을 것입니다. 제가 아버지와 데이빗 사이를 더 부드럽게 만들어주고 데이빗을 감싸줄 수 있는 누나가 되었어야 했는데 또 그를 격려해 주고 위로해주는 누나였어야 했는데 그러지 못했던 것을 후회합니다. 전 그저 데이빗에 대한 경쟁의식과 데이빗이 사랑과 관심을 독차지 하고 있다는 질투심에만 빠져있어 데이빗과 가까워지지 못했습니다. 데이빗에게 따스한 가족이 되어주지 못한 것이 후회됩니다.
데이빗이 떠난 후에 전 아버지의 축 처진 어깨를 보게 되었습니다. 또 데이빗의 기사나 소식들을 빠짐없이 스크랩 하시는 아버지를 보게 되었습니다. 또 데이빗의 연주를 녹음한 테잎을 들으시며 눈물 흘리시는 아버지를 보게 되었습니다. 데이빗은 아버지를 떠났지만 아버지는 여전히 데이빗을 놓지 않으시고 바라보고 계십니다. ‘이것이 부모의 사랑이구나’를 느끼게 됩니다. 아버지는 데이빗을 너무나 사랑하셨지만 그 방법에 있어서 올바르지 못하셨던 겁니다. 데이빗이 아버지를 버릴 수밖에 없도록 아버지가 만들어 버리셨던 것입니다. 우리가 이런 조금은 삐뚫어진 아버지의 사랑을 이해할 수 있는 나이가 되면 우리 가족의 엉클어진 부모관계가 다시 회복될 수 있을까요?
데이빗이 떠나고 저 또한 아버지를 떠났습니다. 전 지금 이스라엘에 와 있습니다. 항상 강압적이기만 하셨던 아버지의 지긋지긋한 품을 떠나온 것입니다. 그런 숨 막히는 가족의 테두리에서 벗어난 지금 전 행복합니다. 저만의 삶을 꾸릴 수 있어 행복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늙어버리신 어머니와 아버지를 여동생에게 떠맡기고 온 것 같아 마음이 불편합니다.
아버지의 강압적이고 구속하려고만 하셨던 행동들도 사실은 가족들을 너무나 사랑하는 마음에서 나온 것이었음을 이제는 조금씩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또 아버지에겐 과거의 상처가 있었기 때문임을 이제는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제는 집으로 돌아가야겠습니다. 부모님을 모시며 사랑을 보답해드리고 싶습니다. 힘겨우셨던 삶을 위로해드리고 싶습니다. 또 흩어진 우리 가족들도 모아서 함께 가족애를 느끼고 싶습니다. 과거 부모님의 행동을 이젠 우리도 이해해드릴 수 있는 나이가 되었다고 생각이 됩니다. 이제는 사랑을 바르게 표현하고 서로를 보듬어주는 가족이 되고 싶습니다.
Ⅲ. 결론
지금까지 샤인 영화에서 보여 지는 부모-자녀 간의 갈등 구조를 분석해보고 각 인물들을 나름대로 분석해본 후 그들의 갈등을 해결하고자 노력해보았다.
부모-자녀관계는 가장 일차적인 인간관계이며 가장 본능적인 애착이 강한 관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관계는 한 인간의 인격형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관계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관계는 가장 사랑이 넘치는 밀착된 관계가 될 수도 있지만 동시에 갈등이 초래될 소지도 많다.
이 영화에서는 아버지(피터 헬프갓)과 아들(데이빗 헬프갓)의 관계를 중심으로 부모-자녀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아버지의 양육환경과 성격으로 인해 야기된 바람직하지 못한 양육방식과 제약 및 구속이 데이빗의 음악에 대한 열정과 부딪히게 되면서 이 둘의 갈등은 서서히 골이 깊어지게 된다. 이 영화에서는 데이빗이 가족으로부터 떨어져서 살게 됨으로서 부모-자녀관계 갈등이 해결되지 못한 채 끝내 용서와 화해를 하지 못하게 된다. 단지 마지막에 자신의 부인의 사랑과 돌봄으로부터 정신적 안정을 되찾게 된 데이빗이 아버지의 무덤에서 이해와 용서를 하게 됨으로써 영화는 끝을 내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가족내에서의 갈등의 악순환이 너무 오래 지속되어 와서 서로가 변화 될 수 없는 경우 가족으로부터 우선은 잠시 나오게 하는 방법과 맞물려 설명이 되어질 수 있다. 가족으로부터 받지 못한 신뢰감과 애정을 다른 인간관계로부터 얻고 자신이 먼저 안정되고 건강해진 뒤에 가족 내로 들어가 그 갈등의 순환 고리를 끊어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경우 시간이 많이 걸리면 이 영화에서와 같이 부모님의 사망 후에 뉘우치게 되는 경우가 생기게 되는 경우가 생기게 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아버지가 죽기 전의 상황으로 전제 한 뒤, 이 문제를 해결해 보고자 했다.
이러한 갈등의 가장 큰 원인은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지 못하고 받아들이지 못한다는 데에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대화가 부족한 이 가족이 서로 편지를 쓰거나 마음을 전달하는 이야기를 하게 하여 갈등을 해결해보고자 하였다. 가족 모두가 그 갈등에 대해서 바라보고 있는 생각과 그들의 입장을 터놓고, 서로를 깊이 수용할 수 있을 때만이 가장 바람직한 갈등의 해결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족치료의 입장을 사용하여 가족을 분석한 후, 갈등 상황을 함께 나누도록 외상의 재 경험을 하였고, 아니면 서로의 편지를 읽는 형식을 도입할 수도 있다. 그런 후에 갖게 되는 감정들을 나누어서 진정한 화해로 들어가도록 유도하였다.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부모-자녀 관계는 가장 본능적인 애착이 강한 관계 이므로 서로가 끊을 수 없는 사랑의 마음이 흐르고 있다고 전제하게 된다. 그러므로 함께 노력한다면 갈등의 순환 고리를 끊어 버릴 때 가장 쉬울 수도 있는 관계라 생각이 된다. 가족이라는 이름 하나로 모든 것이 용서가 될 만큼 서로의 마음 깊은 곳엔 사랑이 자리 잡고 있으므로 각자의 감정을 솔직히 털어놓으며 자신을 자각하고 상대방을 이해하면 갈등의 순환 고리가 끊어질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가족복지][가족복지정책][가족복지서비스][가족복지체계][가족문제][가족치료][가족정책]가...
사티어(Satir)의 가족치료 관점의 특성과 장단점에 대하여 논하시오 - 정상 가족과 역기능 가...
[가족복지론] 자신의 가족을 여러 가지 가족치료 이론(3가지)에 비추어 분석해 보시오 [가족...
체계이론을 정리한 뒤,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에서 체계이론이 갖는 의의에 대해서 설명...
[아동상담] 역기능적 가족을 치료하는 구조적 가족치료의 주요목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구...
★추천자료★[알코올 중독 가족 사회복지 개입 사례] 알코올 중독 가족 알코올 가족 특성, 알...
[보웬의 다세대 가족家族치료]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치료과정, 치료기법, 가계도, 적용 ...
[솔약국집 아들들, 소문난 칠공주, 욕망欲望의 불꽃] Bowen 다세대 가족치료로 본 3세대 가족...
[치료사례] 공부스트레스가 심한 학생에 대한 치료 개입 사례, 가족치료 사례, 학업 스트레스...
실제 사례에 다음의 세 가지 이론, 보웬(Bowen) 세대간 가족치료, 미누친(Minuchin) 구조적 ...
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에서 활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가족치료모델의 특징과 주요개념을 이...
주변에 구조적 가족문제를 가지고 하나의 가족사례를 선정하여 구조적 가족치료모델을 적용하...
[가족복지론] 구조적 가족치료 모델을 비행청소년 가족에 적용하여 설명하시오 - 구조적 가족...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다세대 가족치료의 치료목표 및 치료과정, 치료자 역할 및 치료기법
소개글